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Art n Money in New York Apr 14. 2023

아프리카의 세종대왕 님

코트디부아르 출신 아티스트 프레데릭 브룰리 부아브레 (1923-2014)


삼성의 브랜드 가치가 소니를 넘어선 역사적인 순간이 있었다. 2006년 그 해는 이건희 회장의 업적이 역사를 이루는 순간이었고 한국 산업에 대 전환점이라고 할 수 있는 시점이기도 했다. 한국인에게는 잊을 수 없는 순간으로 기록되는 그때를 함께했던 지구 저편의 나라에서 온 아티스트가 있었다. 그는 코트디 부아르의 세종대왕으로 불리는 프레데릭 브룰리 부아브레 Frédéric Bruly Bouabré(1923-2014)이다. 삼성은 애니콜을 내어 놓으며 전 세계 휴대폰 시장을 점령하겠다는 원대한 목표를 세웠다. 이건희 회장은 연예인이 등장하는 광고 말고 좀 더 고급스럽고 의미 있는 홍보를 하길 원했고 프레데릭 브룰리 부아브레의 ‘무지개 빛 관대한 손’ 조형물로 제작해 20개 넘는 국제공항에 설치하였다. 그의 작품 ’ 무지개 빛 관대한 손‘ 이 애니콜을 쥐고 있는 이 조형물 광고는 대성공이었다. 애니콜은 기존의 저렴한 삼성의 이미지 대신 고급스럽고 세련된 이미지로 거듭나게 해 주었다. 이 아티스트 콜라보는 지금의 세계적인 삼성 브랜드 가치를 만들었던 시발점이라 여겨진다.



프레데릭 브룰리 부아브레는 제2회 광주 비엔날레에 참여한 적이 있다. 그때 처음으로 한국에 알려진 그는 미술에 조예가 깊었던 이건희 회장의 눈에 들어왔을 것이다. 자신과 주변 사람들의 삶을 작은 종이에 볼펜과 색년필, 크레용 등으로 글과 글림으로 드로잉을 하듯이 담아낸 이 작가의 작업은 그 자체로도 매력이 있어 우리의 마음을 움직이게 하지만 이 작가가 대단한 이유는 이것에 그치지 않는다. 그는 글을 읽고 쓰는 것이 어려웠던 자국민이 좀 더 쉬운 문자를 통해 원활한 소통을 하 길 원했다. 프랑스의 식민지였던 코트티 부아르에서 프랑스어와 토착어를 섞어 사용해야만 했던 상황에서 의사소통의 어려움과 더불어 문화 정체성에 대한 고민도 했으리라 짐작된다.




그는 알파벳 bete라고 불리는 언어를 창조했다. 부아브레는 그림 문자를 발명하기 시작했고 알파벳 베테 (1990-91)를 창조하여 베테 언어를 위한 최초의 문자 체계를 만들었다. 알파벳 베테는 일상 베테 생활을 바탕으로 한 449개의 볼펜과 색연필 그림으로 구성된 이 부아브레의 가장 큰 시리즈이다. 수십 년에 걸쳐 완성된 각 이미지는 단음절 베테 단어와 매우 잘 결합되어 있다. 그래서 그의 작업은 언어학자들이나 문화연구 학자들에 의해 지속적으로 연구되고 있다.


프레데릭 브룰리 부아브레의 작품 활동 경력은 그야 말로 훌륭한 작가가 남기는 전시이력의 모범정석으로 볼 수 있다. 그는 최근 2022년 뉴욕 모마 미술관에서 집중적으로 소개되면서 주류 미술계에 다시 한번 깊은 인상을 남겼는데 2014년 작고하기 전까지 베니스 비엔날레, 테이트 모던, 구겐하임, 디아센터, 퐁피두 센터, 카셀 도큐멘타 등 미술가라면 누구나 한 번쯤 꿈꾸는 명예스러운 세계적인 비엔날레와 미술관에서 전시를 가지며 수십 년간 차곡차곡 그의 작업세계를 전 세계에 보여주는 것을 게을리하지 않았다. 예술가의 작품성을 제대로 평가받기 위해서는 이렇게 전 세계의 주요 미술기관이나 단체의 여러 전문가들에 의해 연구되고 평가되어야 한다. 미술 시장에서 작품성과는 별개로 각광받는 작가들도 있지만 작품성 검증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작가들은 결국 마켓에서도 그 힘을 잃어버리게 된다. 그러나 작품성에 대한 검증이 제대로 이루어진 작가임에도 마켓에서 제대로 된 가격 평가를 받고 있지 않았다면 그 작가는 저평가된 보석으로 언제든지 마켓에서 높은 가격대를 형성할 수 있고 미술계에서 시장을 움직이는 전문가들은 그런 기회를 놓치지 않는다. 특히 요즘처럼 아프리카 출신 디아스포라 작가들이 주목을 받고 있는 시점에 프레드릭 브룰리 부아브레와 같은 위대한 작가는 독보적인 작업의 내용에 걸맞은 독창성과 더불어 전문적인 전시 히스토리를 가지고 있어 최근에 등장한 작가들과 비교가 불가한 차별성을 가진다. 미술시장의 호불호와는 별개로 수 백 년이 지난 후에도 역사에 남을 작가라는 뜻이다.


그가 남긴 드로잉은 수천 점이 넘는다. 알파벳 베테언어를 기본으로 한 낱말카드뿐만 아니라 여성의 인권, 민주주의, 국가 간의 화합, 가족과 주변의 삶 등을 독창적인 방식으로 표현했다.


현재 그가 남긴 작품과 언어 연구에 사용되었던 중요한 기록들을 그의 아들들이 보관하고 있다. 그는 많은 자녀를 낳았는데 현재 그들도 나이가 많이 몇몇 자녀들은 세상을 떠났으며 그중 일부 자녀들이 함께 작품을 관리 중이다. 그의 자녀들과 가족들은 누구보다 프레드릭 브룰리 부아브레를 자랑스럽게 여기고 있으며 그의 업적을 알리기 위해 지금도 노력 중이다.




작품 보러가기




2022: Frédéric Bruly Bouabré: World Unbound, Museum of Modern Art, New York [3]

2013: Venice Biennale, Italy

2012: Inventing the world: the artist as citizen, Biennale Bénin, Cotonou, Bénin

2010–2011: Tate Modern, London, UK

2010: African Stories, Marrakech Art Fair, Marrakech

2007: Frédéric Bruly Bouabré, Ikon Gallery, Birmingham, UK

2007: Why Africa?, Pinacoteca Giovanni e Marella Agnelli, Turin, Italy

2006: 100% Africa, Guggenheim Museum, Bilbao, Spain

2005: Arts of Africa, Grimaldi Forum, Monaco, France

2004–2007: Africa Remix, the touring show started on 24 July

2004 at the Museum Kunst Palast in Düsseldorf (Germany), and travelled to the Hayward Gallery in London, the Centre Georges Pompidou in Paris and the Mori Art Museum in Tokyo.

2003: Frédéric Bruly Bouabré, Musée Champollion, Figeac, France

2002: Documenta 11, Kassel, Germany

2001–2002: The Short Century was an exhibition held in Munich, Berlin, Chicago and New York, organised by a team headed by Nigerian curator Okwui Enwezor

1996: Neue Kunst aus Africa, Haus der Kulturen der Welt, Berlin, Germania

1995: Galerie des Cinq Continents, Musée des arts d’Afrique et d'Océanie, Paris, France

1995: Dialogues de Paix, Palais des Nations, Geneve, Switzerland

1994: Rencontres Africaines, the touring exhibition was shown at the Institut du Monde Arabe in Paris, Cidade do Cabo in Sud Africa, Museum Africa in Johannesburg and in Lisbon, Portugal

1994: World Envisioned, together with Alighiero Boetti, the exhibition hwas shown in DIA Center for the Arts in New York and American Center, Paris, France

1993: Trésor de Voyage, Biennale di Venezia, Venice, Italy

1993: Azur, Fondation Cartier pour l'Art Contemporain in Jouy-en-Josas, France

1993: La Grande Vérité: les Astres Africains, Musée des Beaux-Arts in Nantes, France

1993: Grafolies, Biennale d’Abidjan in Abidjan, Ivory Coast

1992: A Visage Découvert, Fondation Cartier pour l'Art Contemporain in Jouy-en-Josas, France

1992: Oh Cet Echo!, Centre Culturel Suisse, Paris, France

1992: Out of Africa, Saatchi Collection, London

1992: L'Art dans la Cuisine, St. Gallen, Sweden

1992: Resistances, Watari-Um for Contemporary Art, Tokyo, Japan

1991: Africa Hoy/Africa Now, the touring exhibition has shown in Centro de Arte Moderno in Las Palmas de Gran Canaria (Spain), Gröninger Museum in Groningen (Netherlands), Centro de arte Contemporaneo, Mexico City

1989: Magiciens de la Terre, Centre Georges Pompidou and Grande halle de la Villette, Paris, France

1989: Waaah! Far African Art, Courtrai, Belgium

1986: L'Afrique e la Lettre, Centre Culturel Français, Lagos, Nigeria

이전 09화 여기에서 전시하면 떡상한다죠?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