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첫 연장근무를 했습니다(feat. 대설)

백신 맞은 거예요. 하하.

by 소진 Jan 05. 2022

여기저기 울리는 캐롤을 떠올리면, 코로나 덕분에 다들 귀에 꽂은 이어폰으로 캐롤을 감상하고 있겠으나, 이상하게도 눈이 하얗게 내리는 거리가 자연스럽게 떠오르는 것 같다. 화이트 크리스마스! 이름만 들어도 두근두근 설레는 겨울의 특별한 날이다. 그렇지만 우리 팀 관제사의 업무강도는 그냥 내가 대충 느끼기에도 눈이 오면 평소의 약 세 배 정도는 가뿐히 넘어가니, 화이트 크리스마스란 특히 비행장 관제사에게 지옥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라고 하는 것과 같은 것이라고 보면 좋을 것 같다. 누구에게는 한없이 평화롭고 소중한 징글벨 징글벨이 징글징글해지는 시기가 다가왔다.



징글벨.. 징글벨.... 징글징글......



눈이 오는데 왜 관제사가 힘들까. 천천히 생각해보자.


첫째로, 항공기 동체 위에 눈이 쌓이면 그 눈을 치우기 전까지 비행기는 이륙할 수가 없다. 특히 주 날개와 꼬리날개의 경우 비행기가 붕- 뜨는데 반드시 필요한 '양력(lift)'이라는 힘을 얻기 위해 정교한 모양으로 설계되어 있는데, 눈이나 얼음이 그 위에 붙어버리면 이 '양력'이 제대로 발생하지 않는다. 눈과 얼음은 양력을 줄이고, 항력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안전한 비행을 크게 저해하는 요소가 된다. 이 눈과 얼음을 반드시 녹이고 : '제빙', 게다가 다시 얼어붙지 않도록 : '방빙'도 해야 한다.


이어서, 인천공항은 항공기가 이 제빙과 방빙을 특정 '제빙 주기장' 내에서만 진행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다른 나라에서는 그냥 터미널 주기장에서도 제방빙하고 이륙 준비를 하기도 한다던데, 우리나라는 제방빙용액 등 폐수 처리 관련 문제 때문에 제방 주기장을 따로 설계하고 그 안에서만 제방빙을 할 수 있도록 만들어 두었다고 한다. 현 시각 기준으로 인천공항에는 총 스물아홉 개의 제빙 주기장이 존재하지만, 실제로 사용할 수 있는 곳은 열 곳이 조금 넘는다. 그래서 눈이 올 때 비행기가 이륙하고 싶다면 터미널 주기장에서 이 제빙 주기장까지 이동한 후, 제방빙 용액을 뿌리고, 활주로까지 다시 이동해야 한다. 시간도 오래 걸리고 관제 절차도 복잡해진다.


그런데, 우리 팀 관제사가 비행기를 이 제빙 주기장까지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적절한 배치를 위해서 제방빙 순서를 정하는 것도 우리 몫이다. 그러니까 평소 같으면 <터미널 주기장-활주로-이륙>으로 이어지는 간단한 관제 코스가 눈만 오면 <터미널 주기장-제방 주기장-제빙-활주로-이륙>으로 변신한다는 얘기다. 이렇게 비행기만을 위한 절차도 복잡해지는데, 처리해야 할 게 이 관제교신뿐만은 아니다.


무엇이 더 있냐 하면, 눈이 오면 도로가 얼어붙는 것과 같이 비행기가 지나다니는 공항 유도로에도 눈이 쌓이고 심지어는 얼어붙는다. 따라서 유도로 제설작업 또한 같이 해줘야 한다는 게 문제다. 인천공항의 안쪽의 유도로 길은 깨끗하게 닦여 있어야 비행기가 미끄러지지 않고 안전하게 지나다닐 수 있다. 근데 이 제설이 그리 간단하지만은 않다. 특히 활주로와 근처의 평행 유도로는 제설작업 시 우선순위가 되어 차량도 장비도 많이 투입되지만, 주기장 근처의 계류장 유도로는 그 길이와 규모에 비해 제설차량이 덜 투입되기도 한다.


구질구질하게 길게도 적어놨지만 결론은 한 가지다.

"눈 오면 무지 바쁩니다."





다행히 크리스마스는 비켜갔지만, 얼마 전 주간 근무 날에 이번 동절기 처음으로 인천공항에 꽤 많은 양의 눈이 쌓였다. 눈이 오면 공항에서 근무하는 모두가 바빠진다. 특히 우리 팀의 경우는 눈이 올 때 vs 눈이 안 올 때의 근무강도 차이가 하늘과 땅 차이여서, 관제탑 창 밖이 하얗게 변신하면 관제탑에 있는 모든 인원이 예민 보스가 된다....(고 들었다). 물은 흐르고, 구름도 가고, 시간도 달려 나가는구나 하며 이너 피스를 유지하는 나 또한 예외 없이 그 예민 보스가 될 거라는 사실을 나도 알고 싶지 않았다.



다른 날 눈 내리는 공항. 슬로모션



오전에는 여느 때와 다르지 않게 평화로운 관제실에서의 한 때를 보내고 있었다. 예보에 따르면 강설 시작시간은 오후 한 시쯤이었다. 갑자기 창 밖으로 엄청나게 눈이 쏟아지기 시작했다. 이게 얌전히라도 내리면 좋은데, 저시정까지 겹치면서 바깥이 잘 보이지 않게 되었다. 그러니까, 눈이 오는 데다가+저시정이고+유도로 위에 눈이 쌓여 등화시설과 마킹이 보이지 않는 지경까지 이르렀다. 이 정도까지 되니 도저히 정상적인 관제 흐름을 유지할 수가 없었다. 저기 저쪽 제방빙장으로 들어가라는 지시를 준 항공기는 유도로 선도 안 보이고 등화도 보이지 않아서 제방빙장 진입이 어렵다고 답했다. 총체적 난국이라는 말이 완벽히 들어맞는 상황에 부닥쳤다.


그래도 교통량이 크게 많지 않아서 대설을 겪어보지 못한 나 같은 잉여인력도 다행히 그 상황을 어떻게든 컨트롤할 수 있었다. 한바탕 눈이 몰아치고 지나가니 이제 띄엄띄엄 있는 출발기를 신경 쓰기만 하면 되었다. 그래도 현장에는 사람이 계속 필요해서, 평소보다 4시간 더 타워에 있어야 했다. 말로만 듣던 연장근무를 직접 경험하는 순간이었다.


한바탕 눈이 지나가고, 눈이 오는 날에 제빙을 거의 처음 해봤다는 내 말에 우리 팀 대리님은 이렇게 말했다. 앞으로도 내가 겪을 그 수많은 대량 제빙을 예견하듯이,

"예방주사 맞았네요.ㅎㅎㅎ"


내가 휴일인 날에만 로맨틱한 눈아.....(오지 마)

매거진의 이전글 항공교통관제사 되는 방법

브런치 로그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