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보영 Sep 12. 2024

죽은 낱말에 매달리는 사람들

'접하다'를 쓰지 말아야 하는 까닭

“너무 단조로워서 그러는데 좀 생기 있게 고쳐주세요.”


이런 부탁을 받으면 지레 겁이 납니다. 대부분은 엄청 지루한 글일 때가 많거든요.


아니나 다를까 구어체를 써가며 분위기를 밝게 하려고 한 티가 물씬 납니다. 그러나 헛짚었습니다. 문제는 낱말이니까요.


살아있는 낱말을 골고루 써야 합니다. 한 문장, 문단에 같은 낱말을 되풀이하지 않아야 하고요.

 

단조롭다고 하는 글을 보면 딱 이 반대입니다. 죽은 낱말을 쓰고 또 써놨죠. 그런데 죽은 낱말은 저 혼자 죽지도 않습니다. 주변에 있는 싱싱한 낱말들을 썩혀서 맛을 떨어뜨립니다.


‘접하다’도 죽은 말 가운데 하나입니다. 이런 말에 매달리는 사람이 쓴 글은 재미가 없습니다. 됨됨이가 어떻고 얼마나 아름다운 사람이건 간에 글에서 아름다움은 찾아볼 수 없죠.


아래에서 짧게 살펴보겠습니다.




오늘 고칠 문장

[보기] 그 소식을 접하고 깊은 슬픔에 빠졌다.




1) ‘접(接)’


[보기] 그 소식을 접하고 깊은 슬픔에 빠졌다.


[고침 1] 그 소식을 듣고 깊은 슬픔에 빠졌다.


‘접하다(接ーー)’는 한자말에서 왔습니다.


이 말을 쓴다는 건 ‘지영, 수영, 소영, 효영, 기영, 혜영’과 같은 이름을 ‘영’ 하나로 부르는 것과 같습니다. 이름뿐만 아니라 생긴 거 하며 목소리, 성격이 다 다른데도 말이죠.


‘접하다’가 얼마나 많은 우리말을 죽이는지 볼까요?


ㄱ. 많은 일을 접할수록 (→ 겪을)

ㄴ. 한 번도 접해본 적 없는 맛이다. (→ 먹어본)

ㄷ. 전시에서 다양한 그림을 접했다. (→ 보았다.)

ㄹ. 그 문제를 접할 때마다 (→ )

ㅁ. 문화를 접할 기회가 (→ 누릴)

ㅂ. 그 사람을 접하고 (→ 만나고)

ㅅ. 찻길과 학교가 접하고 있어 (→ 맞닿아)


'겪다.', '먹다.', '보았다.', '풀다.', '누리다.', '만나다.', '맞닿다.'


보다시피, 이 가운데 같은 말은 하나도 없습니다.

이 많은 우리말을 '접하다.' 하나와 퉁쳐서는 안 될 일입니다.



그 소식을 듣고 깊은 슬픔에 빠졌다.




조지 오웰의 『1984』에는 사임이라는 사람이 나옵니다. 그는 진리부에서 뉴스피크 사전의 새로운 판본을 집필하는 일을 하죠.


그는 군더더기라고 생각하는 낱말들을 없애는데 아주 푹 빠져있습니다. 이를테면 '감칠맛이 난다.', '입맛에 맞다.' 하는 표현을 모조리 없애고 '맛있다.' 하나만 살려두는 식이죠.


좀 지나치긴 해도 저는 '접하다.'와 같은 말을 일삼는 것도 같은 일을 저지르는 짓이라고 생각합니다. 사람들이 새로운 것을 떠올리거나 만들지 못하게 틀에 가두는 짓이라고 말이죠.


  



이전 15화 할래요, 되어질래요?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