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일과 삶의 UP & DOWN

일은 단지 일이 아님

    

  나는 삶 주의자다. 삶이 성공보다 중요하고, 돈보다 중요하고, 신앙보다 중요하고, 명예보다 중요하고, 직업보다 중요하고, 이데올로기보다 중요하고, 어떤 성취보다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삶에 집중하려 애쓰는 삶 주의자, 다른 무엇보다 삶에 배고픈 삶 주의자다. 나만 그럴까? 아니다. 누구나 삶에 배고프다. 누구나 돈에 배고픈 것처럼 삶에 배고픈 것 또한 사실이다. 모든 이의 가슴을 열어 보라. 정녕 ‘더 나은 삶’을 향한 갈망이 펄떡이고 있을 것이다. 이것은 사람들이 원하는 만큼의 삶을 살고 있지 못하다는 방증이다.      


  그렇다면 묻자. 사람들은 왜 원하는 만큼의 삶을 살지 못하는 것일까? 그토록 삶을 갈망하는데도 왜 갈망하는 삶을 살지 못하는 것일까? 


  첫 번째 이유는 나 자신이 삶을 일구고 향유할 준비가 덜 됐기 때문이다. 사람은 일 이상의 존재, 즉 일 이상의 삶을 사는 존재여야 하는데 아직 일 이상의 존재로까지 성장하지 못해서다. 

  두 번째 이유는 일을 둘러싼 여러 요인 때문이다. 우리 삶에 가장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 일인데, 이 시대에 일은 거의 돈을 받고 자기 능력과 시간을 파는 거래가 됐기 때문이다. 더욱이 현대사회는 인력 동원체제이다. 사람을 위해 일이 동원되는 게 아니라 일을 위해 사람이 동원되는 체제, 일을 통해 인간과 삶을 UP 시키는 게 아니라 일을 UP 시키기 위해 인간을 동원하는 매우 기이한 체제다. 이런 기이한 체제에서 정말 하고 싶은 일을 한다는 것, 일하며 행복감에 젖는다는 것, 인간과 삶을 UP 시키는 일을 한다는 것, 그리 쉽지 않다. 자기 인생 전체를 걸고 싸운다 해도 쉽지 않다. 


  하지만 아예 길이 없는 건 아니다. 분명히 길은 있다. 내 작은 지혜로 찾은 길은 이것이다.      

  첫째, 인간과 일의 뒤집힌 위상을 바로 잡아라. ‘사람은 일 이상의 존재’라는 원칙을 분명히 하라. 

  둘째, 일과 인간 간의 소외와 분열을 통합시키라. 일과 인간 사이에 벌어진 거리를 최대한 좁히라. 

  셋째, 그러기 위해 나는 누구인지, 나는 어떤 사람인지를 좀 더 구체적으로 묻고 따져보라. 

  넷째, 나에게 맞는 일, 내가 잘할 수 있는 일이 어떤 일인지를 온몸으로 부딪히며 찾으라.     

 

  싱거운가? 너무 원론적인가? 그렇다. 싱거울 만큼 원론적인 거 맞다. 그러나 이것이 가장 유효하고 현실적인 해법이라고 생각한다. 물론 무조건 취업부터 하고 보자고 덤비는 사람, 무슨 일이 됐든 돈만 벌 수 있다면 닥치고 GO 하는 것이 현실에서 강자가 되는 길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다. 하지만 그런 방식으로는 원하는 만큼의 삶을 살 수 없다. 비록 원론적인 이야기 같고, 당장 일해야 먹고사는 장삼이사들에게는 먼 이야기라는 생각이 들 수도 있지만, 그래도 이것이 원하는 만큼의 삶을 살 있는 길이라고 생각한다. 


  이와 관련해 나누고 싶은 근사한 이야기가 있다. 장자 양생주(養生主) 편에 나오는 소 잡는 포정(庖丁) 이야기이다. 정리하면 이렇다.  

    

포정이 한 번은 문혜군(文惠君)을 위해 소를 잡았다. 포정이 손에 칼을 들고 발과 어깨를 움직일 때마다 살점이 스르르 떨어져 나가는 것을 보고 문혜군이 “소 잡는 기술이 참 탁월하구나.”라고 감탄하자 포정이 칼을 내려놓고 대답하기를, “제가 좋아하는 것은 도(道)입니다. 기술에서 더 나아간 것이지요. 처음 소를 잡을 때는, 눈에 보이는 것이 온통 소뿐이었습니다. 3년이 지나고부터는 소가 한 덩어리가 아니라 뼈와 살로 분리돼 보였습니다. 그러나 지금은 눈으로 소를 보지 않습니다. 내 존재 전체로 소를 파악합니다. ……

뛰어난 요리사는 일 년 단 한 번 칼을 바꾸는데 그것은 살을 자르기 때문이요, 서툰 요리사는 매달 새 칼로 바꾸는데 그것은 뼈를 다치게 하기 때문이지요. 저는 지난 19년간 이 칼 하나로 수천 마리 소를 잡았습니다. 그런데도 칼날은 방금 숫돌에 간 것처럼 날카롭습니다. 소의 육체 조직에 부여된 하늘의 섭리를 좇아 잘라나갑니다. 뼈와 살 사이에 연결된 빈틈을 따라 잘라나가면 칼이 뼈와 부딪칠 일이 없습지요. 그러니 19년을 사용했지만 방금 새로 간 것 같을 수밖에요. 가끔 단단하게 엉킨 이음새들이 있고 느런 게 느껴지면 뒤로 물러나 속도를 늦추고 면밀히 지켜보며 칼을 거의 움직이지 않습니다. 그러고 나면 어느 순간 ‘쩍’ 하며 소의 살점들이 흙덩이처럼 분리돼 나가지요. 그러면 저는 칼을 거두고 가만히 서서 흐뭇한 마음으로 칼을 닦아 갈무리합니다. 포정의 이야기를 다 들은 문혜군은 흐뭇한 마음으로 “참으로 훌륭하구나. 오늘 내가 포정의 말을 듣고 양생의 도(삶을 제대로 사는 길)를 얻었노라.”라고 말했다.    

  

  여기서 보듯 포정이 소를 잡을 때 조금의 저항이나 막힘이나 억지가 없다. 소의 모든 것을 꿰뚫어 알고, 각각의 성질에 맞는 칼질을 하기 때문에 모든 칼질이 자연스러우면서도 예리하다. 포정이 소 잡는 걸 보면 소와 소 잡는 사람, 그리고 소 잡는 일이 가히 혼연일체다. 장자는 바로 이 경지를 일컬어 삶을 사는 ‘도’라고 했다.      

  나는 탁월한 연주자들의 연주를 들을 때 종종 그런 경지를 느낀다. 피아노 연주를 듣거나 첼로 연주를 듣거나 오케스트라 단원이 혼연일체가 되어 연주하는 교향곡을 들을 때, 즉 연주자와 음악과 악기가 혼연일체임을 볼 때 말로 표현할 수 없는 황홀함을 느낀다. 특히 최근에 반 클라이번 국제 피아노 콩쿠르에서 최연소로 우승해 화제가 된 피아니스트 임윤찬의 초절정 기교 연습곡(리스트 작곡) 연주는 가히 압권이었다. 연주 영상을 보면서도 ‘어떻게 저런 연주를 할 수 있지?’라는 생각이 들 정도로 환상적이었다. 


  이뿐 아니다. 예술의 경지에 이른 이소룡의 무술, 한때 프랑스 축구의 중심이었던 지네딘 지단의 송곳 패스 감각부터, SBS TV [생활의 달인]에 나오는 사람들 - 수십 년간 한 분야에 종사하며 부단한 열정과 노력으로 달인의 경지에 이르게 된 사람들의 빼어난 솜씨를 볼 때마다 감탄이 절로 나온다. 정말이다. 소 잡는 일이든, 공 차는 일이든, 요리하는 일이든 어떤 경지에 이른 사람들이 일하는 걸 보면 말하기 힘든 어떤 우아함을 느낀다. 일하는 사람과 일이 혼연일체인 데서 오는 어떤 감동과 희열을 느낀다. 그러면서 흔히들 말하는 천국도 어쩌면 바로 이런 곳, 즉 모든 사람이 자기 하고 싶은 일을 하고, 일과 사람이 혼연일체가 되어 삶이라는 꽃봉오리를 피워내는 곳, 일없이 축제만 벌이는 세상이나 일없이 소비만 하는 세상이 아니라 모두가 자기 능력을 맘껏 발휘하며 일하는 세상, 서로가 서로의 일을 기뻐하고 환호하는 세상, 이런 세상이 바로 천국 아닐까 하는 생각까지도 해본다. 


  그리고 바로 이런 자들이 삶의 주인공이라고 생각한다. 돈이나 권력을 쥐고 흔드는 사람이 아니라 포정이 소를 잡고 임윤찬이 피아노 연주를 하듯 일하며 사는 사람, 정말 하고 싶은 일, 자기와 궁합이 잘 맞는 일을 하고, 그 일을 통해 인간과 삶을 UP 시키는 사람이 진짜 삶의 주인공이라고 생각한다.     

 

  이런 삶의 주인공은 아무나 되지 않는다. 무조건 취업부터 하고 보자며 덤벼서 되지 않는다. 무슨 일이 됐든 돈만 벌 수 있다면 닥치고 GO 해서 되지 않는다. 무턱대고 열심히 일한다고 해서 되지 않는다. 돈이 많다고 해서 되지 않는다. 권력을 휘두른다고 해서 되지 않는다. 나를 알고, 세상을 알고, 일의 요령을 알아야 삶의 주인공이 될 수 있다. 인간과 일의 뒤집힌 위상을 바로 잡고, 일과 인간 사이에 벌어진 거리를 좁혀 나에게 맞는 일, 내가 잘할 수 있는 일을 할 수 있을 때 비로소 삶의 주인공이 될 수 있다.   

   

  그러므로 진짜 삶의 주인공으로 살고 싶다면 반드시 나는 누구인지, 나는 어떤 사람인지를 따져 물어야 한다. 나에게 맞는 일, 내가 잘할 수 있는 일이 어떤 일인지를 찾아 묻고, 여기저기 문을 두드려야 한다. 옷을 살 때 이 옷이 내 몸에 잘 맞는지 꼼꼼하게 살피듯, 배우자를 선택할 때 소중한 삶을 함께 할 수 있겠는지 섬세하게 살피고 이런저런 일을 겪어보듯, 일 또한 자기에게 잘 맞는지를 섬세하게 따져보고 겪어보며 신중하게 선택해야 한다. 그럴 때 인간과 삶을 UP 시키는 일을 하며 살 수 있다. 


  물론 쉬운 일이 아니다. 옷을 고르는 것도 쉽지 않고, 배우자를 선택하는 것도 쉽지 않지만, 나에게 맞는 일을 선택하는 것 또한 쉽지 않다. 나를 알고, 세상을 알고, 나와 궁합이 맞는 일이 어떤 일인지를 감식할 수 있는 심미안이 있어야 가능하고, 시기적절한 기회가 맞아떨어져야 가능하고, 제때 선택할 수 있는 용기가 있어야 가능하다.      

  인생을 사는 일, 정말 간단치 않다. 나 하나만 해도 작은 우주인데, 이런 우주들 70억이 얽히고설켜 돌아가는 세상을 살아가는 건 얼마나 복잡하고 어렵겠는가. 더욱이 제대로 살기란 얼마나 더 깊은 지혜가 필요하겠는가. 우리가 쉼 없이 공부하고 성장해야 하는 이유다. 


  내가 살면서 힘겹게 발견한 진실이 있다. 사람은 변하지 않는다는 것. 사람은 타고난 기질과 성향대로 대로 산다는 것. 사람은 공부로 변하지 않고, 회심으로 변하지 않고, 깨달음으로 변하지 않는다는 것. 최근에 저널리스트 캐럴라인 냅의 책을 읽다가 “변화는 어렵다. 생물학이 운명이다”(명랑한 은둔자. 39쪽)는 문장에 깊이 공감한 것도 그런 배경 때문일 것이다. 옳다. 사람은 변하지 않는다. 하지만 사람은 성장할 수 있고, 성장해야 한다. 공부한다고 해서 네모난 사람이 세모난 사람으로 변하진 않으나 공부를 통해 성장할 수는 있다. 안목이 넓어지고 깊어지는 성장, 높은 시선으로 세상과 사람을 볼 수 있는 성장, 자기 안의 다양성을 발견하고 자기 밖의 다양성까지 품을 수 있는 성장은 할 수 있다. 내가 오늘도 멈추지 않고 공부하는 이유다.    

  

  은퇴 이후는 이런 공부를 할 수 있는 최적의 시간이다. 은퇴 이후는 인생의 근원 진실에 눈뜰 수 있는 시간, 진짜 삶을 향해 거짓의 장벽을 뛰어넘을 수 있는 시간, 안목이 넓어지고 깊어지며 높은 시선으로 세상과 사람을 볼 수 있는 성장의 시간, 자기 안의 다양성을 발견하고 자기 밖의 다양성까지 품을 수 있는 성숙의 시간이다. 그러므로 은퇴를 두려워하지 말라. 은퇴를 거부하지 말라. 생존을 확보할 수만 있다면 당당하게 은퇴하고 두려움 없이 방황하라. 은퇴 이후는 또 다른 성장의 기회다.           

이전 16화 일과 삶, 그 미묘함에 대하여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