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rewr Apr 25. 2021

'지금, 여기'에서 행복한 퀴어 영화가 필요하다

넷플릭스 영화 〈네 마음에 새겨진 이름〉(2020)

  1980년대 계엄령이 해제된 직후의 대만. 장개석은 죽었고, 고등학교는 남녀 공학으로 바뀌었다. 즉, 세상이 변하고 있다. 하지만 자한과 버디를 힘들게 하는 동성애혐오적 세상은 그대로다. 기쁨과 설렘으로 가득해야 할 이들의 사랑은 주변의 시선, 자기 검열, 회의와 비관으로 얼룩져 어긋나 버린다. 그들은 '수십 년 후'라는 설정 속에서만 유예된 사랑을 실현할 수 있다.


〈네 마음에 새겨진 이름〉 스틸컷 ⓒ넷플릭스


  하지만 '수십 년 후'에라도 서로를 온전히 사랑할 수 있다는 건 판타지다. '수십 년 후'라는 설정은 가장 아름다웠던 때를 온전히 만끽하지 못한 자들을 위한 장치다. 지나간 시간을 쓸쓸히 추억하든 아름답게 재연하든, 오래전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한 사랑을 어떤 식으로든 복권하기 위한 장치 말이다.


  퀴어 영화나 퀴어 소설에서 이러한 장치의 효과가 더 두드러지는 건 이 때문이다. '보편적' 사랑 담론에는 그들의 자리가 없기에, 대부분의 퀴어는 사랑에 실패한다. 그 실패의 아픔은 먼 미래에야 치유될 수 있는 것으로 상상된다. 즉 퀴어들은 '수십 년 후'라는 장치의 효과를 가장 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존재들이다.


  그래서 나는 퀴어 영화나 소설의 '수십 년 후'라는 설정이 싫다. 이것이 현실적 제약에 더럽혀진 가장 아름다운 순간을 패배주의적으로 복기하는 것만 같기 때문이다. 박탈당한 현재의 아픔을 '환상적인' 미래에 던져버림으로써 지금을 포기해버리는 것 같기 때문이다.


  자한과 버디의 재회가 대만이 아닌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이뤄지는 것도 불만이었다. '수십 년 후'가 '지금'의 시간성을 박탈한다면, '몬트리올'은 '여기'의 장소성을 박탈한다. 《네 마음에 새겨진 이름》의 낭만적 결말이 공허한 이유다. 수십 년 후 몬트리올에서 재회하는 자한과 버디는 '지금 여기'를 빼앗긴 비참한 존재들일뿐이다.


〈네 마음에 새겨진 이름〉 스틸컷 ⓒ넷플릭스


  자한과 버디가 '지금 여기'를 되찾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힌트를 주는 장면이 있다. 영화 중간에는 괴로워하는 자한을 달래주는 노인이 나온다. 그는 인자한 모습으로 자한을 위로해준다. 그러나 어느덧 돌변해 자한을 애무하기 시작한다. 자한이 소리친다. "전 그런 사람 아니에요. 당신 같은 사람이 아니라고요!"


  자한과 버디가 빼앗긴 시간성과 장소성을 회복하는 일은 이 노인과 자한의 관계를 복원하는 일에서 시작해야 한다. 자한이 스스로를 노인과 구분 짓지 않을 때, 그와 자신이 연결된 존재임을 자각할 때, 노인을 밀어내는 대신 "당신은 이 슬픔을 어떻게 견뎌오셨나요?"라고 물을 때, 자한과 버디의 사랑은 '지금 여기'의 가능성을 되찾아 올 수 있다. 대만 퀴어의 역사성·계보에 자한과 버디의 사랑이 추가될 수 있는 것이다.


  이로 인해 잉태되는 미래의 가능성은 '수십 년 후의 몬트리올'이 표상하는 미래보다 단단하다. 구체적 현실에 발 디디고 있기 때문이다. 퀴어의 행복한 미래는 더 이상 먼 미래 혹은 '퀴어 친화적인 서구'라는 현실도피적 시공간성에 갇혀선 안 된다.


〈네 마음에 새겨진 이름〉 스틸컷 ⓒ넷플릭스


  "넌 어디도 갈 수 없어"라는 자한의 말은 이성애규범적 사회에서 개별적 존재로 찢겨 방치된 퀴어들의 연결성을 회복할 때 "갈 수 있어"라는 버디의 말로 나아갈 수 있다. 고립된 채 방치된 존재들은 서로의 존재를 느끼고 연결됨으로써만 집단적 미래로 나아갈 수 있다. 연결의 매개는 이성애규범적 사회를 살아가는 퀴어들이 실패의 슬픔을 품은 존재일 수밖에 없다는 자각이다.


  《네 마음에 새겨진 이름》의 아름다운 정서는 먼 미래의 환상적 공간에 내팽겨질 만큼 하찮은 것이 아니다. 말랑말랑한 영화의 결말은 '지금, 여기'에서 완결되어야 할 자한과 버디의 사랑을 이성애규범적 사회보다도 더 가혹하게 방치한다는 점에서 무책임하다. 《네 마음에 새겨진 이름》에는 '지금, 여기'의 퀴어 정치성을 촉구하는 더 좋은 결말이 필요했다. 슬프도록 아름다웠던 이 영화가 아쉬운 이유다.

이전 19화 "그렇지만 이제 나는 게이처럼 죽어가고 있어."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