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새벽 Oct 26. 2024

편견 너머를 보기 위한 조건

여섯 번째 질문

9화 [수수하지만 굉장한 교열_좋아요, 댓글] 편을 쓰면서 생성형 댓글을 [창작과 예술을 통한 소통의 특별함]과 [약한 연결의 힘]의 댓글창에 입력하고, 실제로 댓글을 받은 것처럼 답글을 달았다. 형식이란 게 중요하단 생각이 들었다. 만약 그냥 글로 쭉 적어내려갔다면 댓글창에 쓰는 것처럼 생생한 기분을 느끼지 못했을 것이다.


때로는 댓글에 답글을 쓰면서 새롭게 정리되거나 새로운 발상을 하게 되는 경우도 있다. 꼭 댓글 내용이 기발하거나 예리하지 않아도 상관없다. 그냥 조금 생각을 환기시키는 것만으로 같은 것을 다르게 볼 수 있다. 연재가 끝나면 이전 글에도 댓글을 생성해서 답글을 쓰는 작업을 해볼 작정이다.


ChatGPT 4o

1. 짧은 만남에서 받은 작은 조언이, 이후의 삶에서 불현듯 더 큰 깨달음으로 다가오는 순간이 있다면 그 순간은 어떤 감정을 불러일으킬까요?

2. 사람의 인상이 처음과 달라지는 경험을 통해 우리는 어떤 통찰을 얻을 수 있을까요?

3. 서로 잘 모르는 사람들이 대화 속에서 편견을 넘어서게 되는 순간은 어떤 조건들이 갖춰졌을 때 가능한 걸까요?

4. 예기치 않은 만남에서 영감을 얻는 과정은 우리에게 어떤 변화를 가져다줄 수 있을까요?

5. 가벼운 호기심에서 시작한 새로운 습관이 인생에 뿌리내리기까지 어떤 요소들이 중요한 역할을 할까요?


질문을 고를 때마다, 다른 사람들은 어떤 질문을 고를지 궁금해진다. 나와 같은 고민을 고르는 사람도 있을 것이고 다른 질문을 고르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질문을 고르는 이유도 저마다 조금씩 다를 것이다. 당연한 일이지만, 답변이 떠오르는 질문을 고르기 마련이다. 그렇다는 건 질문은 이미 자기 안에 있었다는 의미기도 하다.


ChatGPT 4o

서로 잘 모르는 사람들이 대화 속에서 편견을 넘어서게 되는 순간은 어떤 조건들이 갖춰졌을 때 가능한 걸까요?


가장 직접적인 건 상대방이 그 편견에 반대되는 생각이나 행동을 하는 모습을 보게 되는 것이다. 편견에 대한 확실한 반증이 되기 때문이다. 의심이 많은 사람이라면 바로 믿지 않을 수 있다. 내숭을 떨고 있는 거라던가, 꾸며낸 모습이라던가, 자신을 속이고 있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도 반복적으로 그런 모습을 계속 보인다면 결국 보이는 모습을 신뢰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 경우 갖춰져야 하는 건 믿음과 신뢰가 쌓일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이다. 인간관계에서 시간이 절대적인 것은 아니지만, 최소한 쌓아야 할 시간의 양은 존재한다.


시간을 통해 입증하지 않아도 편견을 넘어설 수 있다. 어쩌면 이 쪽이야 말로 진정으로 편견을 넘어선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그것은 '동질감'이다. 이 사람도 나와 마찬가지구나, 이 사람도 결국 같은 사람이구나,라는 동질감이 들면 다소 어떤 편견이 있다고 하더라도 친밀감을 느낄 수 있다.


누군가에게 동질감을 느낄 수 없으면 설사 편견이 없던 사람이라도 해도 가까워지기는 어렵다. 마주 보는 사람의 사소한 행동을 따라 하게 되는 미러링도 동질감을 높이려는 반응이다. 가까운 관계라면 같은 생각을 하고 같은 행동을 해야 한다는 극단적인 생각을 하는 사람들도 있다.


길에서 처음 보는 사람에게 부탁을 하기 전에 아이스 브레이킹으로 대화를 시작하면 수락할 확률이 급격히 올라간다. 스몰 토크가 유용한 것은 거부감 없이 서로에 대한 정보를 교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대방에 대해 사소한 것이라도 아는 것이 많아질수록 가까워졌다고 생각하기 쉬워진다. 사실 정작 중요한 건 아무것도 몰라도.


그러나 가장 중요한 것은 사람과 세상을 보는 태도다. 보이는 것을 보이는 대로, 들리는 것을 들리는 대로 받아들이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자신이 보고 싶은 것을 보고, 듣고 싶은 것을 듣는 사람이라면 모든 것이 무의미하다.


선입견이나 편견은 외부 정보를 편하고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간소화 작업이다. 매번 모든 정보를 취합해 제로 베이스에서 새롭게 판단하는 건 많은 에너지를 필요로 하는 일이다. 그렇기에 여유가 필요하다. 어쩌면 그렇지 않을 수도 있는 여지를 남겨두는 여유.


ChatGPT 4o

예기치 않은 편견을 넘어서는 순간은, 상대방을 있는 그대로 바라보려는 여유와 개방적인 태도에서 시작됩니다. 그리고 이를 현실에서 실현하는 데는 몇 가지 구체적인 조건들이 크게 작용합니다.

첫째는 직접적인 반증의 경험입니다. 상대가 편견에 부합하지 않는 모습을 보여줄 때, 우리는 그 사람을 새롭게 인식할 기회를 얻습니다. 물론, 한 번의 경험만으로는 선입견이 쉽게 사라지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일관되게 그런 모습을 보인다면, 편견의 벽은 서서히 무너지기 시작합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시간은 신뢰를 쌓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둘째로, 동질감은 매우 강력한 편견 해소의 조건입니다. 우리가 상대와의 유사성을 인지할 때, 편견은 쉽게 풀리고 오히려 친밀감이 형성되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작은 스몰 토크나 상대방의 행동을 무의식적으로 따라 하는 미러링도 동질감을 키우는 데 효과적입니다. 동질감은 단순한 외적인 유사성에 기반하지 않고, 상대와 나를 같은 인간으로 바라보게 하면서 편견을 넘어서는 데 큰 도움을 줍니다.

마지막으로, 가장 중요한 것은 편견에 얽매이지 않는 태도입니다. 새로운 정보에 열려 있고, 어떤 상황에서도 상대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려는 마음의 여유가 필요합니다. 선입견이나 편견은 우리가 일상에서 효율적으로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본능적 장치이지만, 때로는 우리가 놓칠 수 있는 가능성과 사람들의 다채로운 면모를 차단하기도 합니다. "그럴 수도 있겠구나"라는 열린 가능성을 남겨 두는 태도는 편견을 넘어선 진정한 만남의 시작이 될 수 있습니다.


순간적인 느낌이나 감정적인 판단이 굉장히 높은 적중률을 가진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인간에게는 직관이란 것이 있다. 혹시나 했지만 역시나 하는 경우가 너무 많기 때문에 애써 가능성을 열어두는 게 바보처럼 느껴질 때도 많다. 편견이나 고정관념을 강화되고 꼭 그렇게까지 서로 이해하고 살아야 하나 싶은 생각이 들 수도 있다.


언제 타인에 대해서 가능성을 열어 두어야 할지 판단해아 할까. 무엇을 기준으로 이 사람을 아직 잘 모르지만 그래도 편견 너머에 있는 무언가를 찾기 위해 모험을 감수해야할까. 이 질문의 답 또한 다르지 않은 것 같다. 작은 신호가 점차 커지면서 결국 편견을 넘어서게 되는 순간이 오는 게 아닐까.


요전부터 내 글을 재구성하는 반응만 내놓고 있어서 조금 재미가 없어졌다. 이렇게 생성형 AI가 식상한 답변을 내놓으면 조금 실망하게 된다. 어쩌면 이제 생성형 AI가 너무 당연한 것이 됐기 때문일 것이다. 처음 챗 GPT가 출시됐을 땐 내 글을 이렇게 순식간에 재구성해서 쓴다는 것에 얼마나 놀라워했던가.


뭐든지 익숙해지면 그것이 기본이 되고 평균이 되고 당연한 것이 된다. 아무리 생성형 AI가 놀라운 수준으로 발전해도 조금 지나면 그 이상을 원할 수밖에 없게 될 것이다. 인간의 끝없는 욕망을 생성형 AI는 어디까지 채워줄 수 있을까. 생성형 AI만으로는 부족할지도 모른다. 또 다른 혁신적인 무언가가 필요할지도 모른다.


현재 살고 있는 우주가 실재하는 세계가 아니라 거대한 시뮬레이션이라는 시뮬레이션 우주 가설이란 게 있다. 그와 같은 가상 시뮬레이션을 구현하여 생성형 AI처럼 사용할 수는 있는 기술이 생긴다면 더 재밌는 걸 만들 수 있을지도 모른다.

이전 09화 수수하지만 굉장한 교열_좋아요, 댓글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