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낭만교사 Oct 01. 2023

한국 교육의 위기 어떻게 볼 것인가?

한국 영화의 위기를 빗대어

서론 : 요즘 서이초 교사 사건을 시작으로 교권 4법 개정을 요구하는 교사들의 투쟁이 이어지고 있다. 그리고 조금은 한국 교육의 현실에 대해 인식하고 분석하고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  역시 고등학교 교사로서 한국 교육의 문제점과 위기상황을 한번 한국 영화의 위기를 빚대어  생각해보고자 한다.


본론 :

1) 한 언론과 영화 평론가는 한국 영화의 위기를 이렇게 분석하고 있다.

- 코로나 19 이후에 온라인/오프라인 영화 인식 변화

- OTT 플랫폼 대두

- 티켓 가격 상승(15,000원으로 오름) 

- 스크린 독과점 문제(입법이 되지 않음)

- 같은 제작사와 배급사로 인한 수직 계열화

  (영화의 다양성 훼손, 다양한 영화의 흥행 성공으로 지속적 영화 제작의 선순환 구조 만들기 어려워짐)

- 영화 자본과 평론가의 유착, 책임/평론이 아닌 별점가로 전락함(자본으로 인한 제대로 된 비평, 견제 못함)


2) 한국 영화 위기를 빗댄 한국 교육의 위기 원인

- 코로나 이후 학교/수업에 대한 인식 변화(온라인 강의, 디지털 전환 시대, 생태전환 교육, 뉴노멀 교육 패러다임 변화 등)

- 다양한 인강 사교육 강력 대두 / 유튜브로 원하는 수업을 들을 수 있음

- 똑같은 수업, 똑같은 교육과정, 똑같은 평가방식 등의 구조적 문제(과거 산업화 시대에 필요한 인재상을 키우는 교육방식이 21세기 창의적 융합 인재를 키워야 하는 시대적 요구에 뒤처짐)

- 학부모의 교육열과 불안감에 따른 사교육비 증가


- 입시정책 문제(교육과정과 다르게 가는 입시 정책 : 정시 증가, 다양한 전형, 생기부 부담)

- 사회적 임금 문제(고졸 연봉/대졸 연봉 차이로 대학을 가야 하는 차별적 시대)

- 학벌에 따른 사회적 대우 차이

(대졸자 출신 위주의 임금 독과점 문제)

결론

나름대로 이런 구조적, 문화적, 정서적, 산업적 문제를 가지고 있는데 모두 민감하고 이해충돌적인 요소가 많아 점점 더 어려워지는 것 같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번 미래지향적인 마인드로 대안을 제시해 본다면...


1. 사회 임금 구조 혁신(고졸자로 살아도 괜찮은 세상, 꼭 대학을 졸업하지 않아도 나름 직업을 가지고 살 수 있는 세상)

2. 대학 입시 정책 변화(들어가기는 쉽게 졸업하기는 어렵게 만드는 평가제도, 프랑스의 바칼로레아 시험처럼 사고력을 평가하는 시험 평가, 파리 1,2,3 대학과 같은 다양한 서울대화)

3. 다양한 수업 개선 및 학교 교육과정의 변화(PBL 수업, 학생 참여형 수업,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강화 수업, 교사 1인당 더 적은 학생 수, 고교학점제로 인한 선택형 수업, 일반고 이외에 다양한 학교 )

4. 교사, 학생, 학부모의 인식 변화(잘 자라는 것은 어떤 것인가? 고민과 합의점 필요, 사람을 평가하는 기준점의 다양성과 가치관 형성, 어른의 건강한 자존감 )

5. 아이들을 따뜻하게 바라봐주는 따뜻한 사회(한 아이를 키우기 위해 한 마을이 필요하다는 아프리카 속담처럼)

이전 12화 옳고 그름, 적당한 타이밍 그리고 친절함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