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시월 Oct 15. 2019

빌려 사는 집이지만

가을이 와서 이불을 바꿨다

동네 산책길에 코인 세탁소 건조기에서 이불을 꺼내는 사람을 봤다. “이봐, 이불 바꿀 때야. 새벽에 추워서 깼잖아.” 우리 집 침실은 아직 시원하고 보드라운 여름 이불 차림이다. H가 더위를 많이 타서 여름이 오기 전 큰 맘먹고 백화점에서 상품권으로 구매한 것이다. 집에 돌아와 흰색 이불을 걷어 세탁기에 넣고, 압축팩에 보관해둔 이불과 커버를 꺼내 잠시 고민한 후 짙은 청록색을 골랐다.


보라색과 자주색의 중간 어디쯤, 커다란 꽃무늬로 채워진 극세사 이불은 여러 번 내 겨울과 함께 했다. 수면 잠옷과 양말이 유행하던 겨울에 인터넷 쇼핑으로 산 기억이다. 커다란 꽃무늬라니, 선드레스를 제외하고는 손이 갈 리 없는 촌스러운 디자인을 별로 괴로워하지 않았던 건 그게 이불이었기 때문이다. 복층 오피스텔에 살았던 나는 '이사 갈 때 버릴 거니까', '누가 와도 안 보이니까'라는 생각으로 10만 원짜리 매트리스를 쓰고 있었고, 그 위에 있는 이불 역시 저렴하고 따뜻하다면 뭐든 상관없었다. 자취를 시작할 때 엄마가 사준 이불도 모서리가 터질 때까지 별 불만 없이 썼으니까.


H가 혼자 살던 집에는 멀바우 침대 위에 녹색 체크 이불이 놓여있었다. 이사 갈 때면 미련 없이 버릴 게 분명한 컴퓨터 책상이나 좌식 테이블, 여기저기 쌓인 짐 때문에 조금 정신없는 방이었지만, 침대가 있는 공간만큼은 잡지에 나오는 '1인 가구 침실' 같았다. 메세나폴리스에 있는 롯데시네마에서 영화를 볼 때면, 영화 시작 전까지 무인양품에서 시간을 보냈다. H는 자주 침구 코너 앞에 멈춰 섰고, 세일이라도 할 때면 좀 더 오래 멈춰 있었다. 한 번은 단정한 네이비 커버를 집어 든 그를 따라 제일 저렴한 걸 나도 사봤다. 10만 원짜리 매트리스 위에 꽃무늬가 사라지고 아이보리색 이불이 덮였다. 아침에 이불을 정리하고 내려갈 때, 자려고 계단을 올라 단정한 모습을 볼 때 기분이 조금 좋아졌다.


이사를 하며 10년 넘는 슈퍼 싱글 생활을 청산하고, 우리는 퀸 사이즈 침대를 갖게 됐다. 내 의지와 상관없이 새로운 침구가 필요했다. 당장 쓸 거 하나만 우선 사려고 했는데, 이건 화려해서 좋고, 이건 깔끔해서 좋고, 이건 귀여워서 좋다며 신이 난 H에 이끌려 이불 커버를 4개 사서 돌아왔다.


10여 년 동안 남의 집을 빌려서 살며 많은 것을 보고도 안 본 척할 수 있게 됐다. 체리색 몰딩이나, 모서리가 들린 시트지, 원래는 흰색이었을 거라 짐작되는 실리콘, 이해할 수 없는 색상 조합이나 무늬가 있는 문 같은 것들이다. '지금과 달랐으면 좋겠는데' 생각하지만, 이 공간을 빌려서 사는 내 마음대로 바꿀 수 없는 어쩔 수 없는 것들이니까 금방 눈에 익어 어떠한 감정도 갖지 않는 능력을 획득한 것 같다.


여전히 우리 집엔 '다음에 이사 갈 때 바꾸자'하고 적당히 고른 것들도 많지만, ‘돈 줄 테니까 침대만큼은 좋은 걸 사라’는 엄마의 말을 들었고, 이불만큼은 마음에 드는 걸 덮고 싶다는 H의 말도 들었다. 여전히 잠들기 1시간 전쯤 들어가 곧 불을 끄고 아침이 되면 나와버릴 침실이지만 이제는 안다. 웬만한 호텔에서는 우리 집 침대를 그리워하게 된다는 걸. 단정하거나 귀엽거나 화려하거나 따뜻한 이불이 있어 자려고 방에 들어갔을 때 기분이 좋을 거라는 걸. 빌려 쓰는 공간인 건 변함없지만, 잠을 자는 동안만큼은 오롯이 우리가 원하는 대로 꾸민 공간에 있다는 걸. 오늘이라도 당장 다른 느낌을 원한다면 얼마든지 바꿀 수도 있다는 걸.




이전 09화 마음을 다치는 명절은 이제 그만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