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마켙커리어 Apr 11. 2022

상품기획자란? MD?

나는 기획자다 #5. 상품기획자란 무엇인가?

지금까지 말씀드린 전략기획, 사업기획(사업개발), 경영기획(경영관리) 은 누군가에게 업무를 시키(?)거나 누군가를 관리하는 일이었다면, 이제부터는 고객과의 접점을 만들어 직접 팔 수 있는 상품과 서비스를 만드는 기획에 관해 말씀드려 보려 합니다.



상품기획에서 말하는 상품이란?


상품의 사전적인 정의는

팔 수 있는 것


입니다. 사전적 정의에 따르면 '강의(?)' 같은 형태가 없는 콘텐츠도 상품에 포함이 되긴 하나 보통 무형의 상품은 '서비스'로 분류되고, 유형의 제품을 상품이라고 합니다. 쿠팡이나 네이버 스마트 스토어에서 흔히 볼 수 있고, 실물로 배송이 필요한 것을 상품이라고 하지요.


상품기획자는 팔릴만한 유형의 제품을 직접 기획하거나 어딘가에서 가져오는 역할(소싱)을 합니다. 다른 말로 MD(Merchandiser)라고도 부릅니다.


제조업에서 새로운 제품의 사양, 디자인, 적용 기술 등을 기획하는 역할 역시 상품기획이라 할 수 있지만 일하는 형태가 달라 다른 역할로 구분합니다. 이때는 PP(Product Planner)라고 부르는데요. MD는 업무가 이미 만들어진 상품의 판매를 높임에 비중이 있고, PP는 신제품 개발, 제조에 더 우선순위를 두는데요. 상품기획이라고 하면 통상적으로 PP보다는 MD를 뜻합니다.


MD의 가장 궁극적인 목표는 판매예요. 시장이나 고객이 찾는 상품이 무엇일지 미리 알고, 이를 개발하거나 어딘가에서 찾아 가져오는 건데요. 롯데마트나 올리브영 같은 유통기업의 MD라면 잘 팔릴 것 같은 제조 업체를 찾아 업체를 설득해 입점시키는 일이 주요 업무입니다. 이때 MD는 여러 상품을 모아 기획전을 열거나 광고를 통해 입점한 상품의 판매를 증대시키는 일도 함께 합니다.


올리브 영의 기획전 (출처: 올리브영)



상품기획자에게 필요한 건?


그래서 MD에게 필요한 역량은 트렌드 센싱이에요. 이건 다른 모든 기획자에게 필요한 역량입니다만 MD에게는 전략기획자에게 필요한 큰 그림을 그리기 위한 거대한 변화를 감지하는 것보다 당장 어떤 브랜드가 더 잘 팔리고, 다가오는 계절에는 어떤 유행이 있을 것인지 같은 좀 더 가깝고 실제적인 소비자의 변화와 트렌드 파악이 필요하지요.


국내에서는 잘 모르지만 해외에서 잘 나가는 잘 팔리고 있는 상품이 있다면, 바로 수입해 오거나 국내에서 출시가 되었지만 마케팅이 부족해서 잘 안 팔리는 제품을 싼 가격에 가져와 가격을 올리고 공격적인 마케팅으로 많이 팔리게 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기획 MD, 소싱 MD로 업무를 나눠서 하기도 하지만 기획전 같은 제품의 묶음 구성, 그리고 필요한 상품은 직접 제작도 의뢰해야 하기에 제품 자체와 생산, 유통과 물류에 대한 깊은 이해도 필요하지요. 해외에서 개발하거나 물건을 사 오는 경우에는 무역과 통관, 관세에 대해서도 잘 알아야 하고요. 식품같이 인허가가 필요한 경우에는 그 절차를 빠삭(?)하게 알고 있어야 합니다. 상품을 사 와서 브랜드를 바꿔 파는 경우도 있는데, 이 때는 브랜딩에 대한 지식도 있어야 합니다.


상품마다 조금씩의 차이는 존재하지만 기본적으로 상품기획은 공통적으로 시장(트렌드) 조사와 고객(타깃) 분석, 제조사 찾기(소싱 또는 제조 의뢰), 가격 결정, 수량 결정, 재고 관리, 상세 페이지 제작, 진열 등이 주요 업무가 됩니다.


상품기획자는 상품을 더 판매하기 위해 존재하며, 상품 판매는 상시 데이터로 측정이 되기에 실적에 대한 압박도 굉장합니다. 하지만 전략기획, 사업기획, 경영기획보다는 보다 구체적이고, 정량적인 성과와 평가가 뒷따르며 기획한 상품이 대박을 쳤을 때의 그 짜릿함이 상품기획의 매력이라고 부르는 현업들도 꽤 있습니다.


그리고 상품기획 업무 자체가 타 부서와 외부 거래처와 협업이 많아 업무적으로 경험할 수 있는 범위가 굉장히 다양합니다. 그만큼 인적 네트워크도 넓어지고요. 업무가 굉장히 다양한 만큼 윗선에서 일일이 통제할 수 없기에 직급이 낮더라도 권한이 많이 주어지는 것도 무시할 수 없는 장점입니다. MD 출신들이 다양한 경험과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퇴사 후 바로 창업을 하는 경우도 많고요.





이전 글 보기


https://brunch.co.kr/@groschool/72


https://brunch.co.kr/@groschool/69 


https://brunch.co.kr/@groschool/71




목차


프롤로그


1. 기획이 대체 뭘까요?

OO기획 O명에게 물었습니다. 기획이란?

전략 기획이란?

사업 기획이란?

경영 기획이란?

상품 기획이란?

서비스 기획이란?

PM/PO란?


2. 기획을 잘하기 위해 필요한 역량이란?

논리적 사고

문서화/커뮤니케이션

트렌드 센싱

리서치

데이터 분석


3. 기획 단련법?

생각정리, 아이데이션

벤치마킹

퍼실리테이션

자료 따라 만들어 보기


4. 기획 꿀팁

기획 용어 사전

JD를 제대로 해석해 보자

기획자가 알아두면 도움이 될 사이트

기획자의 서재

랜선 사수 리스트


5. 기획자 인터뷰

서비스 기획자

사업 기획자

전략 기획자 (컨설턴트)



일잘러를 위한 교육 플랫폼, 그로스쿨입니다.



일잘러를 위한 교육 플랫폼 <그로스쿨>에서는

재야의 찐 고수분들을 모셔 기획, 마케팅, 비즈니스, 커머스, 생산성 분야의 온·오프라인 강의를 열고 있어요.

커리어 성장을 도와주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만나보세요 :)


그로스쿨 웹사이트

그로스쿨 페이스북

그로스쿨 인스타그램

매거진의 이전글 경영기획은 기획이 아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