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우희윤 Oct 30. 2022

포기하지 않고 망하기

당신은 그럴 권리가 있다

내가 그런 인재였다니


"OO씨는 포기하기 아까운 사람이야. 그만큼 기대가 컸다고. 일 년만 더 다녀보자. 어려운 부분이 있으면 내가 최대한 해결해줄게."


퇴사를 선언하자 상사 중 한 분이 만류하면서 한 말이다. 나는 귀를 의심했다. 내가 그렇게 대단한 인재였다고? (평소에도 그렇게 얘기해줬다면 얼마나 좋았을까!)

 

회사는 생각보다 나를 쉽게 포기하지 않았다.


신입사원을 지원하며 자기소개서를 한 번이라도 써본 사람은 알 것이다. 인사팀이 얼마나 당신의 실패에 집착하는지. ‘살면서 겪어본 가장 큰 실패는 무엇이며, 그걸 어떻게 극복했는가’는 자기소개서의 단골 질문이다. 어렵사리 글자수를 채워 서류의 관문을 넘어서면 똑같은 질문이 당신을 맞이한다. 10년차 이상의 까마득한 선배들이 면접장에서 지루함을 숨기며 신선한 자극을 기다리고 있다. 서툴지만 치열했던 이야기. 별 것 아닌 일에도 간절했던 이야기. 실패를 딛고 멋지게 성장한 이야기.


그러나 이 모든 노력은 좋은 이야기꾼을 뽑기 위함이 전혀 아니다. 그만두지 않을 사람을 뽑기 위해서다.


큰 회사일수록 사람 한 명을 뽑는 데에 어마어마한 비용이 들어간다. 홍보에 드는 비용 뿐 아니라 수 천 명의 지원자를 검토하고 선별하는 데에 드는 시간, 현업 부서의 협조, 임원진과 CEO가 비워야 했던 일정, 1달 간의 신입사원 연수까지 모두 비용이다. 업무에 배치된 후에는 1-2년 간 더 큰 비용이 들어간다. 1인분에 한참 못미치는 신입에게 줘야 하는 급여, 본인 업무로도 충분히 바쁜 사수가 쓰는 에너지, '막내를 위한' 회식과 워크샵까지 더하면 비용은 기하급수적으로 올라간다.


그렇게 뽑은 지원자가 직장생활을 그만두면, 회사는 채용에 실패하는 셈이다. 그래서 회사는 웬만해선 우리를 쉽게 포기하지 않는다. 평소라면 하지 않았을 말들을 하면서까지 말이다. 우리가 그토록 다니기 싫어했던 회사도 우릴 포기하지 않는데, 우리는 종종 자신의 손으로 일군 사업이나 프로젝트를 쉽게 놓아버린다.


당신에겐 망할 권리가 있다


이제는 말할 수 있다. 가족과 동료에게 티를 낼 수 없었지만 사업을 하는 3년 6개월 동안 나는 종종 흔들렸고, 끊임없이 포기하고 싶은 유혹에 끊임없이 시달렸다. 창업은 나의 욕심일 뿐이며 애초에 자기통찰에 실패한 것이 아닐까, 다 내던지고 한 살이라도 어릴 때 재취업을 하는 게 현명하지 않을까. 사업이 어려워질 때마다 나를 집요하게 괴롭혔던 질문이다. 어차피 직원도 동료도 비즈니스 관계로 묶인 것인데, 비즈니스가 성립되지 않는다면 관계도 성립이 안 되지 않나. 조금 일찍 주제파악을 하고 포기하는 것이 비난받을 일은 아니지 않나.


다행히 나는 포기하지 않고 끝까지 완주할 수 있었다. 믿어준 동료들을 실망시키고 싶지 않았고, 실패한 결과라도 온전히 나의 것으로 소유하고 싶었다. 이 여정 끝에 무엇이 있는지도 궁금했다. 정든 사무실을 철거할 때는 무슨 기분일지, 내 손으로 만든 서비스를 종료시키는 경험은 어떨지. 내 프로젝트로 성공할 권리는 오직 나에게 있듯, 망할 권리도 오직 나에게만 있다고 생각했다. 그렇다면 나름의 가치가 있는 것은 아닐까.


사업을 정리한 지금, 그 생각이 틀리지 않았음을 느낀다. 포기하지 않은 덕분에 얻은 것들을 간단히 나열하자면 아래와 같다.


1. 본전의 일부 & 끝단의 경험


서비스를 종료하고 사무실을 철거하던 시점에는 정말 무일푼에 가까웠지만, 몇 달 뒤 세금과 공과금을 모두 정산하면서 수 백만원 정도의 자금을 회수할 수 있었다. 작은 금액이었지만, 수입이 끊긴 상황에서 큰 도움이 된 것은 사실이다. 재고 처리나 세금 납부 등 안전하게 폐업하기 위해 고민해야 할 부분도 많았는데, 즐거운 경험이라고 말하긴 어렵지만 분명 알아둘 필요가 있는 내용도 많았다. 바다에 빠지지 않는 것이 가장 좋겠지만, 수영과 같은 생존 기술을 알아서 나쁠 건 없으니 말이다.


2. 신뢰할 수 있는 관계


사업을 정리했다는게 조금씩 알려지자, 감사하게도 지인들을 통해서 '면접 한 번 보지 않겠냐'는 연락이 오기 시작했다. (지인을 통한 직접적인 소개 외에도, 요즘은 많은 IT회사들이 사내 추천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원하는 곳에 재취업을 하는 과정에서도, 함께 창업했던 동료들은 인사팀의 집요한 레퍼런스 체크(평판조회)를 기꺼이 맡아주었다. 다시 한 번 창업을 한다면, 여전히 그들과 함께하고 싶다. 중간에 그만두었더라면 결코 할 수 없었을 생각이다. 세상은 좁고, 신뢰의 힘은 크다.


3. 완결된 스토리


첫 글 <어차피 68%는 망한다>에서 이야기한 것처럼, 잘 망하는 것은 완성도 있는 스토리를 가져가는 일이다. 어떤 스토리든 결말이 있어야 울림을 줄 수 있고, 비로소 가치를 지니게 된다. 개인의 실패가 타인에게도 의미있을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다. 이 글을 쓰고 있는 지금도 그렇다. 중간에 포기했더라면 인생에서 몇 달의 시간을 벌었겠지만, 지금 쓰고 있는 내용을 평생 깨닫지 못했을 수도 있다.


포기하는 것과 실패하는 것은 다르다. 그럼에도 우리는 이를 종종 혼동한다. '이만큼 해봤으면 됐지', '나는 할 만큼 했어' 같은 자기합리화 때문이다. 과연 우리의 고객이나 당신의 동료도 그렇게 생각할까. 만약 지금 하고 있는 것을 포기하고 싶다면, 당신이 가진 ‘망할 권리’와 얻어낼 수 있는 것들에 대해 생각해봤으면 좋겠다.


망하는 것도 경기의 일부이다


안다. 게임은 끝났다는 걸. 스코어는 1:5, 승부는 정해졌다. 그렇다고 당신이 그라운드를 떠나도 된다는 것은 아니다. 몇 골을 먹히든 심판은 경기를 종료하지 않기 때문이다.


2002년 한일 월드컵이 벌써 20년 전이다. 다시 한 번 기적같은 경험을 기다려온 국민들도 이제는 안다. 경기에서 실력과 재능, 피지컬의 한계를 하루아침에 깨트리기 어렵다는 걸. 대신 사람들은 등수나 메달의 색깔이 아닌 경기의 내용을 보기 시작했다. 우리 선수단이 얼마나 흐트러짐 없이 끝까지 최선을 다했는지, 졌지만 잘 싸웠는지. 스코어를 알리는 헤드라인을 넘어서, 경기에 임하는 선수들의 말과 행동이 콘텐츠로 소비되는 세상이다. (커버 이미지는 이에 대해 가장 멋진 명언을 남긴 요기 베라이다.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


당신의 사업이나 프로젝트도 마찬가지이다. 물론 결과는 중요하고,그 게임에 대한 모든 것은 결과로 얘기하는 법이다. 그러나 당신이 평생 한 번의 게임만 치를 것은 아니다. 더이상 선수가 아니라면 스텝이나 코치로, 심지어 감독으로 다시 게임에 참여할 수도 있다.  그렇기에 우리는 끝까지 포기하지 말아야 한다. 망하는 것도 게임의 일부이고, 플레이어로서 우리는 끝까지 게임의 룰을 존중해야 한다. 그래야 우리도 존중받을 수 있으며, 어떤 식으로든 다음 게임에 참여할 기회가 주어진다.


아직 경기는 끝나지 않았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