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최종인 Oct 30. 2024

맛 따라 멋 따라 아버지 따라

노포를 정의하는 자신만의 방법

‘노포’라는 말에 주목하게 된 건 박찬일 작가의 <백년식당>을 읽고부터다. 일본말의 잔재라고도, 그저 낡고 허름한 오랜 식당을 지칭하는 말이 되었다는 등 논란이 제법 있었다. 저마다의 기준과 판단으로 ‘노포’를 정립하는 게 맞지 않나 생각을 하며, 나의 노포는 무엇인지 되물었다. 그리고 가장 먼저 떠오른 곳은 바로 ‘이문설농탕’이었다.


피맛골에 자리한 낡은 이 층짜리 건물이 어린 내 기억에 남아있다. 방학이면 아버지 홀로 나와 동생을 데리고 종로에 갔다. 그리고 극장에서 여름방학 특선영화를 보여주었다. 출출해진 우리를 위해 아버지는 서울에서 가장 오래된 식당이라며 이문설농탕을 찾았다. 1902년 개업이라 당시에는 백 년이 되진 않았지만 기름지고 끈적한 테이블과 소의 누린내 그리고 이 모든 불편함을 감수할 만큼 따뜻하고 맛있던 국물이 아직도 뇌리에 남아있다. 그 이후 성인이 되어 방문했을 때는 맥도날드 빌딩 옆 골목길로 자리를 옮긴 상태였다. 추억이 머무르지 않아서일까. 더는 생각이 자주 나지는 않았다.


일을 하면서 알게 된 사람들 중에 미식가가 유독 많았다. 나보다 열 살은 많은 사람들이라 페이스북을 꾸준히 하는 경우가 많은데, 최근 게시물을 보면 아버지와의 일화, 특히 아버지와의 추억으로 자신 역시 단골이 된 식당 소개를 자주 접하게 된다. 몸이 편찮으신 아버지가 갑자기 드시고 싶다 하는 음식을 포장해 간다는, 다소 서글픈 이야기. 공통적으로 사대문 안에 내로라하는 식당의 대표 음식이 언급되곤했다. 그제야 나는 스스로 ’ 노포‘를 정의할 수 있게 됐다. 대를 이어가는 식당이 아니라, 대를 이어 ‘가는’ 식당이라고.  그리고 내가 가진 노포가 오직 이문설농탕이라는 사실이 다소 아쉬웠다. 물론 우리 가족도 그동안 숱한 외식을 했겠지만 같은 식당을 여러 번 반복한 적도, 기억에 남을 만큼 특별한 곳도 많지 않았기 때문이다.


나름 우리 가족의 추억이 될 식당을 직접 만들어보려 한 적도 있다. 군에서 첫 월급을 받고 나서 부모님을 모시고 인사동에 어느 한식당을 찾았다. 합리적인 가격에 특히 양념게장이 유명한 곳이었다. 하지만 부모님의 반응은 실망스러울 정도였다. 재료의 신선도를 논하면, 이를 알아차리지 못한 나의 혀가 부족한 것 같아 부끄러웠다. 그날 이후부터 가족끼리 외식할 때 메뉴를 정하는 일은 늘 긴장의 연속이었다. 나름 경험치가 쌓인 지금은 괜찮아졌지만… 또, 한 가지 묘수를 찾기도 했다. 바로 중식, 일식, 양식을 선택할지언정 절대 한식당을 가지 않는 것.


팬데믹의 영향도 있지만, 사실 잔치를 벌이는 일이 어색하여 아이의 돌잔치는 조촐히 양가 가족 식사 모임으로 정했다. 적당한 룸 공간에 돌상을 차리고 맛있는 식사를 즐기는 일. 가족의 여러 상황을 고려했을 때 가장 적합한 것은 중식이었다. 코스로 나오는 낯선 요리들 끝에 자장, 짬뽕, 볶음밥 같은 친숙한 식사 메뉴까지. 손주가 주인공이라 차려진 음식에는 관심이 없어서인지 양쪽 부모님 모두 만족하셨다.


최근에 부모님 댁 근처로 이사를 오면서 손주를 보여드릴 겸 자주 외식을 하게 됐다. 집 근처에 유별난 맛집은 없지만 이제는 부담감을 떨치고 과감히 태국이나 인도 같은 해외 음식을 시도해 본다. 어머니야 손주가 잘 먹으면 마냥 행복한 분이라 그렇다 쳐도, 의외인 건 아버지가 무척 만족스러워하신다는 거다. 가족 중에 비행기를 타본 일이 정말 손에 꼽는 아버지. 비록 다소 험한 여정의 해외여행에 도전하기는 어렵겠지만 이렇게 음식으로라도 함께할 수 있는 시간이 있어 참 다행이다. 지금 즐기는 이 식당이 치앙마이의 노포, 뭄바이의 노포, 케이프타운의 노포로 기억되기를. 그리고 나의 아이에게는 푸드트럭에서부터 파인다이닝 레스토랑까지 아빠와 함께한 좋은 음식들이 그만의 노포로 기억되기를 나는 소망한다.

이전 05화 숏폼이 뭐길래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