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백안 Nov 02. 2024

나의 꿈은 아버지의 장례식에 가는 것이었다.


         



작년 1월에 아빠가 쓰러지시고 1년 4개월이 지났어. 나는 늦둥이 막내딸인지라, 외근이 잦은 어머니를 대신해 공무원시험 준비하면서 가족들 중 유일하게 2년 6개월 정도 아빠의 병 수발을 들었지. 5년 넘게 알츠하이머를 앓고 계셨던 아빠의 요양 등급을 받아서, 요양보호사 선생님을 모셔서 도움을 드리고, 바쁜 형제들을 대신해 아빠가 상한 음식을 드시지 않도록, 거동이 더 편할 수 있게, 좀 더 밝은 곳에서 생활하실 수 있도록 나름대로 최선을 다해 환경을 꾸몄어. 그렇게 하루하루 버티시던 아빠는 어느 날 갑자기 화장실에서 낙상사고를 당했어. 뇌출혈로 쓰러지신 후에는 다시는 일어날 수 없는 상태가 되셨고, 코로나 때문에 수술실 문제로 골든타임이 한참 지나서야 수술을 받을 수 있었지. 이미 뇌의 기능은 많이 망가져서 더 이상 회복이 어려운 상태였어. 언제든 마음의 준비를 하고 있으라는 주치의 선생님이 말대로 아빠의 임종을 맞이할 준비를 했어. 평생 연락 안 하고 지내셨던 외국에 계신 혼외 자녀분도 영사관을 통해 찾아서 상속 절차 등을 알려드리고, 두 분이 그래도 살아생전 모습을 보고 기도드릴 수 있도록, 아빠의 원을 풀어드렸어.      




"그러나 나는 아무리 노력해도 어머니에게 늘 부족한 자식이었어... “

  






 6살에 초등학교에 들어가서 구구단도 다 외우고, 상을 받거나 선생님들께 칭찬을 받아도, 나는 가부장적인 집안에서 장남이 낳은 딸 넷 중 막내에 불과했어. 평생 없었어야 할 '어떤 존재'로 여겨졌고, 슬프게도 나는 그걸 너무나도 익숙하게 받아들이게 됐어. 어느 날 아빠 장례식 절차를 논의하던 자리에서, 어머니에게 "너는 머리가 짧아서 조문객들에게 혐오감을 줄 수 있으니, 가발을 꼭 쓰고 참석해라. 아니면 장례식에 오지 않아도 괜찮다."는 말을 들었어.

그 말은 나에게 사실 사형선고 같은 거였어. 나의 머리 길이가 아빠 장례식에서 누군가에게 혐오감을 줄 수 있다는 이유로 가발을 쓰라는 말은, 내 존엄을 짓밟은 것뿐만 아니라, 삶을 이어갈 이유조차 의문을 갖게 만드는 말이었어. 나는 신체불편증의 범주에 '머리카락'도 포함되는 사람이라, 어머니의 말을 받아들이는 게 너무나도 어려운 일이었어. 그래서 어떻게든 주치의 선생님께 이 사정을 얘기하고, 아빠가 돌아가시면 저에게도 따로 연락을 주실 수 없겠냐고 간곡하게 부탁했지만, 병원에서는 가족 간의 분쟁에 개입할 수 없고, 원칙적으로 보호자 한 명에게만 연락을 드린다는 답변만 돌아왔어. 

‘부모의 장례식조차 갈 자격이 없는 나는, 도대체 어떻게 살아야 하는 걸까? 어디에 설 수 있을까?’라는 생각에 빠져서, 이제 그만 삶을 포기해야 할까…라는 생각마저도 들었어.        

   

삶에 대한 용기가 시들었을 즈음, 자기 춤에 만족하지 못한다는 한 아티스트를 응원하고 싶어서 댄스학원에 수업을 듣러 갔어. 그곳에서 나는 ‘나만의 아름다움을 스스로 찾아서 만들어 보고 싶다’는 강한 동기를 느꼈어. 화려한 조명, 신나는 음악, 그리고 카메라. ‘춤’은 모두에게 열려 있었고, 그곳에서는 누구나 주인공이 될 수 있는 공간이었어. 어쩌면 어머니도 내가 비록 트랜스젠더 외형에 가까운 사람 이만, 내가 나의 몸을 작품처럼 만들어 멋지게 춤을 추고 그 영상을 남길 수 있게 된다면, 예술가로서 그 영상이 많이 알려지게 된다면, 장례식에 불러주지 않을까 싶었어. 중증 우울증으로 매일 고통스러운 삶을 견디고 있던 나는, 그렇게 새로운 꿈을 가지게 되었고, 마이너스 통장을 한도까지 써서라도 죽기 전에 나에게 주는 마지막 선물로 ‘춤’을 배우기로 결심했어.      






‘뚝딱 킹’인 나에게 춤을 배우는 과정은 결코 쉽지 않았어. 춤도 처음이었고, 몸도 너무 뻣뻣하고 유연성도 부족했어. 수업을 따라갈 체력도 부족하다고 느꼈지. 나이가 제일 많고, 춤도 제일 못 추고, 머리도 짧은 여자는 나밖에 없는 것 같아서 수업 중에 몇 번은 뛰쳐나가고 싶었어. 하지만 나는 목표가 있었기 때문에, 내일 죽을 각오로 창피함을 무릅쓰고 춤을 배워왔어. 내 모든 자아를 내려놓고, 무조건 ‘해내야 한다’는 마음으로, ‘할 수 있다’고 믿으며 앞만 보고 달려갔어. 여성의 신체, 남성의 신체 그 중간 어디쯤 있는 나의 몸을 사랑하기 위해 목숨을 걸고 노력했어. 비록 내 모습이 전신 거울에 비칠 때마다 수치심을 느꼈지만, 매번 수업을 들을 때마다 ‘이 문을 나가는 순간, 나는 죽는다’는 마음으로, 그렇게 내 몸을 계속해서 밀어붙였어. 춤은 나의 존엄을 지키고, 나를 살리기 위한 과정, 그 자체였어. 목숨을 걸어 뭐라도 해 보았더니, 그게 나를 살리기도 하더라..

춤은 나를 살려주었고, 살아갈 수 있는 힘이 되어 주었어. 



작품을 시작하기도 전에 춤을 배운 지 몇 달 되지 않아서 아버지가 돌아가셨어. 어머니는 장례식에 참석해도 되지만, 여성상복을 입고 벙거지 모자를 써서 짧은 머리를 가리라는 조건을 달았어. 나답지 않은 모습을 하라는 말이었고, 그 상황에서 정말 죽을 만큼 모멸감을 느낄 수밖에 없었지. 그런데 힐댄스를 하면서 그렇게 열심히 아름다움을 찾으려고 노력해 왔는데... 여성복을 3일 정도 못 입을 게 뭐가 있을까?라는 생각이 들었어. 비록 어머니가 가슴 절제수술을 하고 살아가는 나를 긍정하지 않으셨던 건 정말 속상한 일이었지만, 남은 인생에서 딱 3일만 참고, 그렇게라도 아버지의 마지막 장례식에 참석하고 싶었어.

장례식에는 많은 사람들이 왔고, 어머니랑 친언니는 나의 외모를 비하하면서 “쟤가 남자들하고 일하니까 머리가 저렇게 짧은 거야”라고 말하거나, 잠깐이라도 모자를 벗으려고 하면 다시 쓰라고 화를 내셨어. 언니는 나의 사진을 몰래 찍어서 회사 동료에게 보내며 "장례식에 벙거지 쓴 여동생, 어떻게 설명해야 할까?"라고 하면서 나를 조롱하기도 했어.



  고역 같은 시간들이었지만, 그 시간들을 버틸 수 있었던 힘이 있었어. 바로 '자신감'이야. 춤을 배우기 시작하고 매일 거울 속에 나와 수없이 마주하면서 내가 아름답다고 믿기 위해 목숨을 걸고 노력했던 과정을 겪은 덕분이었지. 우리 집에 있는 가구 중 가장 큰 가구가 '전신거울'인데 그만큼 나의 모습을 사랑하기 위해서 아주 구석구석 집착해 왔었어. 집착은 안 좋은 거라지만, 할 수 있었던 게 나의 모습을 긍정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 밖에 없는 상황에서는 오히려 도움이 되기도 하더라. 그런 상황을 견뎌내면서 어떤 모욕에도 지지 않을 수 있는 힘은 나 자신에 대한 사랑에서 나온다는 걸 깨달았어. '내가 아름답다'라고 믿기 위해, 나 스스로를 사랑하려고 춤을 배워오면서 목숨 걸고 노력한 덕분에 얻게 된 생명 같은 교훈이었어.





‘춤’은... 나의 존재가 무엇이든 “살아서 움직여도 괜찮다”는 힘을 주는 예술이야. 평생 동안 나의 아름다움을 타인에게 짓밟히고 평가받으며 살아온 나에게, 처음으로 ‘어떤 아름다움을 입어도 괜찮다’고 말해 준 예술이었어.

춤을 통해 내 몸을 ‘작품화’ 해야 한다고 생각해서 시작했지만, 이제는 춤이 너무 즐거워. 나를 사랑하기 위해 춤을 추고, 또 춤추는 나를 사랑하기 때문에 춤을 춰. 내 닉네임인 ‘백안’은 ‘아름다움을 보는 눈’이라는 뜻이야.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사람인 나. '스스로의 아름다움을 보는 사람'이라는 뜻이지!     




"당신의 존재 자체로 이미 완성되어 있다"는 내가 한 아티스트에게 응원하고 싶었던 말들이, 더 큰 응원과 지지로 나에게 돌아왔어. 그래서 정말 감사하고, 그 덕분에 살아갈 힘을 얻었어.

나는 '춤'을 통해 삶의 힘을 얻게 되었어. 춤을 추는 이유는 나 자신을 사랑하기 위해서이고, 춤추는 내 모습을 사랑하기 때문이야. 평생 춤처럼 아름다운 삶을 살기를 바라서, 죽을 때까지 춤을 추며 살고 싶어. 물론 내 삶이 행복하고 순조롭게 흘러가려면, 많은 사람들의 지지와 연대가 필요하겠지. 매일매일 목숨을 걸고 살아갈 수는 없으니까. 앞으로도 내 글과 춤이 계속해서 나에게도 너에게도 사랑이 되어 전해질 수 있기를 바라.     



"자신을 사랑하려는 노력보다 더 큰 아름다움은 없습니다."

 




아버지의 장례식. 비록 꿈은 이루어졌지만, 마음은 조금 슬프다.







출처-핀터레스트



고통에 대해 글을 쓰려면, 고통이 괜찮아져야 해.




아니면 글을 쓸 수가 없더라고..

70분씩 뛰면 좀 낫긴 하더라.

그리고 글을 쓰면, 다음날엔 너무 아파.

왜 내가 이렇게 고통스럽고 힘든 이야기들을 꺼내야 할까..

고통에게 때론 거짓말을 하고 싶기도 하지만,

내가 줄 수 있는 충격적인 나의 비주얼이나 이야기들이

한 번쯤 너에게도 생각해 보게 되어서

너의 세상이 넓어지기를 바라고,


아픔이 더 큰 사랑이 되기를 바라니까
아픔을 예쁘게 만들어서

너는 안 아플 수 있게,

전해주고 싶은 마음이야.

빛은 항상 어둠을 이기니까

나 고통보다 힘이 더 강한 사람이 될게.



                                 -백안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