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괜찮은 작가 imkylim Aug 20. 2024

코피 루왁을 마시며 그리고 믹스커피를 마시며 쓰다

    믹스커피를 처음 마셔본 것은 중학생 때, 어머니와 함께 걷던 길 한쪽에 놓인 자판기에서였다. 어머니가 한 모금만 마셔보라고 주셨는데 그때껏 경험해 본 적 없는 맛이었다. 씁쓸하면서도 달콤했다. 그때 내 표정이 신세계를 경험한 환희에 차 있었나 보다. 어머니는 단호하게 말씀하셨다. 커피를 많이 마시면 머리가 나빠진다고. 그래도 나는 고등학교 시절 종종 자판기 커피를 마셨다. 종이컵 안의 커피는 답답한 고교 생활에 작은 기쁨이었다. 진짜 머리가 안 좋아지면 어쩌지, 하는 근심 따위 대수롭지 않을 만큼. 


  바흐가 커피 칸타타를 작곡했던 17세기에는 의사들이 경고했단다. 커피가 피부를 검게 하고 임신할 수 없게 한다고. 그런데도 커피 칸타타에 등장하는 딸은 커피를 천 번의 키스보다 황홀하고 맛 좋은 포도주보다 달콤하고 부드럽다며 노래한다. 당시 사람들이 커피를 어떻게 마셨는지는 모르겠다. 달콤하고 부드럽다는 말에 비추어 설탕과 우유를 섞어 마셨을 듯하다.


  나는 조금 전, 노트북 옆에 놓인 맥심 아이스커피를 한 모금 마셨다. 고개를 끄덕인다. 바흐가 맛본 커피 맛이 우리나라의 믹스커피에 비할 바는 아니었으리라. 믹스커피는 여러모로 훌륭하다. 일단 손쉽게 같은 맛을 낼 수 있다. 맛있을 가능성이 가장 높은 물양이 적혀 있지만 취향에 따라 물을 더 넣을 수도, 덜 넣을 수도 있다. 카페에서 사 먹는 음료보다 훨씬 저렴하지만 작고 예쁜 잔에 담아 내어놓는다면 캐러멜 마키아토나 바닐라 라테 못지않을 것이다. 문득 믹스커피가 열량과 건강 문제로 뭇매를 맞았던 게 생각난다. 커피 전문점의 캐러멜 마키아토 한 잔과 믹스커피 한 잔, 어느 쪽 열량이 더 높을까. 첨가물은 또 어떨까.


  믹스커피에 대한 인식 변화는 가요만 봐도 알 수 있다. 2001년 발매된 토이의 <좋은 사람>에서 감춰온 마음을 담았던 것도, 2008년에 발매된 장기하의 <싸구려 커피> 속 적잖이 속이 쓰리다는 싸구려도 믹스커피다. (장기하 인터뷰 기사에서 확인한 바 있다). 그뿐 아니라 카페가 많아지면서 믹스커피는 다방 커피, 나이 든 사람이 마시는 커피라는 편견까지 생겼다.  


  고백한다. 코피 루왁 그림을 그려놓고 믹스커피 예찬을 쓰는 것은 마셔 놓고 마음이 편치 않아서다. 내가 마신 건 100% 코피 루왁이 아닌 블렌드다. 꽤 부드럽고 향긋했다. 하지만 풍미라는 고상한 단어와는 어울리지 않았다. 코피 루왁은 사향고양이의 소화 과정을 통해 생산된다. 고양이가 자연적으로 배설한 똥만 수거해서 만드는 게 아니라 생산량을 늘리기 위해 가둬놓고 커피 열매만 먹인다고 한다. 뛰어놀지도, 골고루 먹지도 못하는 그 고양이들은 세상에 대한 증오와 원망의 똥만 눌 것 같다. 그 똥에 묻혀있던 커피라니. 글을 쓰며 되짚어 보니 저 그림 속 코피 루왁도 마시지 말 걸 그랬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