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정인성교수 Jul 15. 2024

17. 논문작성 11주 차: 결론, 연구의 대미 장식

논문작성 여정 11주 차, 17장에서는 연구의 성과와 의의를 요약하며 연구의 대미를 장식하는 Conclusion (결론)을 쓰게 된다. 지난 8장 논문작성 2주 차에서 설명하였듯이, 결론은 내 논문을 마무리하는 부분으로 대략 300 자 전후로 글자 수를 배정하면 된다.

 

크게 세 문단 정도로 결론을 쓰면 될 것이나, 연구자와 논문 특성에 따라 강력하고 설득력 있는 한 두 문단으로 끝낼 수도 있고, 아니면 더 길게 쓸 수도 있다. 결론에서는 소제목을 붙일 필요가 없다. 연구자에 따라서는 연구의 제한점 및 추후 연구 방향을 결론에서 써 주기도 하나, 나는 개인적으로 연구의 제한점 및 추후 연구 방향에 관해서는 Discussion의 마지막 부분에서 논의하고, 결론에서는 1) 연구가 해당 분야에 어떤 기여를 하고 있는가와 (contributions); 2) 연구를 마친 후 ‘so what?’ 질문에 대답을 하는 연구자의 마지막 결론적 문구 (the final say)에 초점을 맞출 것을 제안한다. 만약 토론 부분에서 연구의 주요 포인트나 결과를 요약하지 않았다면 결론의 첫 부분에 간결하게 요약해준다. 


주요 포인트/결과의 요약 

(Summarizing key points)

토론에서 주요 포인트나 연구 결과를 요약하지 않았다면, 다음 전략을 참조하여 한 문단 정도로 연구의 핵심 포인트를 요약해 준다.

 

간결한 요약이 중요하다. 

결론 부분의 첫 문단은 연구의 주요 포인트를 간단히 요약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여기서는 주요 발견과 그 중요성을 간결하게 하여 이전에 쓴 같은 문구의 반복을 피하도록 한다. 

 

핵심 메시지는 강조한다

모든 결과들을 다 요약하여 보고할 필요는 없다. 독자가 기억하길 원하는 핵심 메시지에 집중하면서, 그 부분에서의 주요 기여를 부각하도록 한다. 

 

이전에 썼다면 같은 문구를 반복하여 쓰지 않는다. 

만약 Discussion에서 연구 목적과 함께 주요 연구 결과들을 써 주었다면 결론에서 같은 문구로 반복해 줄 필요는 없다. 결론에서는 주요 포인트의 요약을 생략해도 좋다. 만약 다시 쓰고 싶다면, 이전과는 다른 형태로 더 간결하게 핵심 포인트만을 강조하는 형식으로 써 주면 될 것이다. 


예시 1은 서술적 형태로 쓴 결론의 첫 문장이다. 주요 결과들을 3개 요약해 주면서 핵심적인 부분에서는 좀 더 상세한 발견 사항을 제시하고 있다. 마지막 문장은 주요 결과들을 아우르는 형식으로 쓰고 있다. 

예시 2는 개조식 형태로 쓴 결론의 첫 문장이다. 만약 Discussion에서 서술적 형태로 주요 결과를 이미 요약해 주었다면 예시 2와 같이 좀 더 간결한 형태의 개조식으로 주요 포인트만 강조해 주어도 좋을 것이다. 


예시 1: 

STEM teachers were found to be integrating pdf references, videos, educational websites, and online quizzes as OER throughout the STEM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주요 결과 1을 요약하였다.) The study identified three pedagogical purposes of OER use in the context of STEM education in a less advanced country: 1) maintaining motivation, 2) seeking information, and 3) developing student competencies. (주요 결과 2를 요약하였다.) Teachers reported using certain OER more often than others in accordance with pedagogical purposes. Videos were the most frequently utilized OER to maintain student motivation. Pdf references were the most frequently used OER to provide information and course content. Reading materials were the most common OER used to develop student competencies. (주요 결과 3으로, 이는 주요 결과 1, 2와 관련된 핵심적인 세부 발견 사항들이다.) Findings also showed that the integration of OER in STEM education promotes student engagement and provides students with the opportunity to open their minds, widen their visions, and explore the outside. (주요 결과 3을 제시하였다.) Therefore, a strong argument can be put forward that OER has a positive influence in motivating, teaching new content, and developing 21st-century competencies for STEM school students in Egypt and other developing nations. (이러한 결과들을 아우르는 결론적 문장으로 첫 문단을 끝내고 있다.) 


예시 2: 

Our study has yielded several significant findings: 

Finding One: STEM teachers integrated PDFs, videos, educational websites, and online quizzes as OER throughout the STEM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using different types of OER for various pedagogical purposes.

Finding Two: OER in STEM education served three purposes: 1) maintaining motivation, mostly with videos, 2) providing information, commonly with PDFs, and 3) developing student competencies, frequently with reading materials.

Finding Three: The integration of OER in STEM education enhanced student engagement and broadened their perspectives.

Therefore, a strong argument can be made that OER positively influences motivation, content delivery, and 21st-century competencies for STEM students in Egypt and other developing nations. (예시 1을 좀 더 간결한 요약형 개조식으로 쓴 것이다. 비교하면서 차이점이 무엇인지 찾아보기 바란다.) 


해당 분야에의 기여 강조 

(Highlighting contribution to the field)

내 연구가 해당 분야에 어떻게 기여할 것인가를 강조하기 위해서는 내 연구 결과의 중요성을 더 넓은 맥락에서 보여주는 것이 필요하다. 즉, 내 연구와 현재 지식과의 연계성을 설명하고 내 연구의 발견점들이 어떻게 현재 지식을 발전시키는지를 명확히 해야 할 것이다. 몇 가지 사례들을 참조하기 바란다. 

 

이론적 기여를 강조한다. 

내 연구가 현재의 이론이나 모델을 검증하고 구체화하여 주제에 대한 더 정교한 이해를 제공한다는 것을 부각할 수 있다. 또한 선행 연구들에서 지적된 연구 격차를 다루며, 경험적 데이터와 분석을 제공하여 기존 가정을 강화하거나 도전하고 있음을 강조할 수 있다. 


방법론적 기여를 강조한다. 

해당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방법론과는 달리 내 연구는 다른 연구자들이 사용하지 않은 혁신적인 접근법과 기법을 도입하였다는 점을 강조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들은 새로운 연구 결과를 보여주었으며, 유사한 연구에 적용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어서 그 유용성과 영향력을 확대하였음을 지적할 수 있을 것이다. 


실용적 기여를 강조한다. 

내 연구는 학술적 영역을 넘어 실용적 측면에서도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말할 수 있다. 내 연구로부터 얻은 통찰력은 정책 결정, 행동 수정이나 교육 지원 등에 활용될 수 있어, 생성된 지식이 사회에 긍정적이고 실용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강조한다. 


예시 1은 두 문단으로 연구의 이론적, 실용적 기여를 상세히 논의하고 있다. 

예시 2는 보다 간결한 형태이다. 

예시 3은 방법론적 기여를 강조한 형태이다. 


예시 1:

The present study yields several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이제 이론적, 실용적 함의를 논의하겠다는 첫 문장이다.) Theoretically, planned voluntary change and urgent inevitable change may be radically different, suggesting that studies on these two topics should have different research agendas. While the former may be concerned with factors that induce change, the latter should focus more on the quality, or depth of change and related influencing factors. The current lack of theoretical guidance for the latter line of research calls for new theories or models that specifically address such forced instructional changes in response to emergencies or crises in higher education such as the COVID-19 pandemic we find ourselves facing today. (본 연구의 이론적 가치를 구체적으로 지적하면서, 현재에 부족한 이론적 부분에 어떤 요소가 필요한지를 말하고 있다.)


I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al intervention in response to a crisis can be implemented in two major ways: demonstrating leadership in strategically coping with a crisis by engaging faculty members in planning and then designing faculty development programs to promote innovativeness. Because information communications and technology (ICT) governance is growing in importance as an alternative to face-to-face teaching (especially when it is not feasible, a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universities need to incorporate an ICT center in their main governance system in order to support technology acceptance by faculty and improve the fidelity of instructional supports. (본 연구의 실용적 가치를 논의하고 있다. 그러나, 보다 명확하게 실용적 가치를 논의하겠다는 첫 문장이 필요해 보인다. 예를 들자면, Additionally, this study has practical implications for faculty development in higher education. 과 같은. 


예시 2: 

From a conceptual standpoint, this study enhances the comprehension of policy implementation models by showing how variables like stakeholder involvement and resource distribution affect policy results. It reinforces the idea that successful policy design must account for contextual factors and adaptable strategies. (연구의 이론적 함의/가치를 논하고 있다.) In terms of real-world application, the findings offer significant insights for policymakers, indicating that increased stakeholder engagement and efficient resource management are crucial for attaining policy objectives. These insights can guide the creation of more effective policy approaches, ensuring that future policies are both flexible and responsive to the needs of the communities they aim to serve. (연구의 실용적 가치를 논의하고 있다.) 


예시 3: 

This study is the first to use a mixed-method approach to explore online student engagement in Egypt, significantly enhancing the field. By integrating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data, it offers a comprehensive view of student attachment to online learning. (방법론적으로 처음 사용되었음을 강조하고 있다.) The combination of quantitative data, which reveals trends and patterns, with qualitative data, which provides depth and context, allows for a nuanced understanding of student engagement. (양적, 질적 방법론이 각각 어떤 역할을 하는가를 부연 설명한다.) This approach demonstrates the effectiveness of mixed methods in educational research, particularly in developing countries, and sets a precedent for future studies. (개발도상국의 교육 연구 방벌론으로서의 효과를 지적하면서 미래 연구들의 모델이 될 것임을 부각한다.) In summary, this study's pioneering mixed-method approach provides a thorough understanding of online student engagement, offering valuable insights and setting an example for future research. (마지막 요약 문장이다.) 


The final say - 생각을 자극하는 결론적 문구 

(Ending with a Thought-Provoking Statement)

결론의 마지막 문단은 연구를 마친 연구자가 ‘so what?’이라는 질문에 답을 하는 곳이다. 지금까지 논문의 서론에서부터 결과와 논의, 결론의 앞부분까지 다 쓴 후 마지막에 쓰는 소중한 이 문단을 쓰면서 다음 전략들을 고려하면 도움이 될 것이다. 결국은 연구를 성공적으로 마친 연구자가 독자들이 묻는 ‘so what?’이라는 질문에 대한 답을 한다는 심정으로 쓴다면 매우 적절한 the final say가 될 것이다. 


추가적 탐구나 행동 변화에의 동기를 부여한다.

연구 주제와 관련하여 독자들이나 다른 연구자들이 그 주제를 계속 추가적으로 탐구하거나, 실천가나 정책 입안자들이 행동 변화를 생각하도록 동기를 부여하는 결론적 문구를 생각한다. 


미래 비전을 공유한다.

해당 분야의 미래에 대한 비전 – 낙관적인 전망일 수도 있고 앞으로의 도전에 대한 경고일 수도 있다 – 을 공유하는 결론적 문구를 생각한다. 


기대감과 호기심을 자극한다.

나의 연구로부터 생겨나거나 나타날 수 있는 미래 가능성에 대해 이야기하여 독자들이 기대감과 호기심을 갖도록 자극하는 결론적 문구를 생각한다. 


예시 1: 

We hope that this study will help readers better understand how successful faculty members solved problems, improved their teaching performance in practical and innovative ways, and managed their emotions accordingly in emergency remote teaching during the COVID-19 crisis. (독자들이 연구의 결론으로부터 변화를 위한 핵심 요인을 기억하도록 한 연구자의 짧은 마지막 문단이다.) 


예시 2:

The elements and research areas of open education discussed in this paper are intended as an impetus for further discussion, exploration, and more importantly, as a call to action for local and global parties to exploit the benefits of openness in education. Research teams are encouraged to use these ideas as a starting point, and to build upon them as we approach a new decade that will see further evolution and improvement in the field of open education. As a final remark, we argue that the change starts within, and, therefore, starts with us. Openness is our common ground; it is a core and universal value, and thus, it is time to re-explore the benefits of openness in education to respond to emerging needs, advance the field, and envision a better world. (보다 강력하게 연구자와 실천가에게 변화를 요구하는 마지막 문단으로, 변화의 기반은 연구 주제였던 ‘Openness’ 임을 부각하고 있다.) 


예시 3:

Conclusively, this research provides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essential aspects of technology use in adult learning, revealing significant insights that contribute to the broader understanding of instructional design. Looking ahead, the future of instructional design for adult learning programs appears both promising and challenging. Technological advancements hold the potential to revolutionize our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s, yet they also bring ethical considerations and the need for interdisciplinary collaboration. The possibilities arising from this research are manifold, including exploring related topics such as brain development, adult psychology, and educational technology, which could yield valuable insights and practical applications. This study not only advances our knowledge but also sets the stage for future research in technology-enhanced adult learning, inspiring anticipation and curiosity about the possibilities that lie ahead. As we continue to innovate and explore, the contributions of this research will undoubtedly play a crucial role in shaping the future of adult learning and instructional design, fostering ongoing dialogue and discovery in the field. (연구에 기반하여 전망과 도전을 지적하면서 미래의 가능성을 기대하게 하는 방식으로 쓴 마지막 결론 문구이다.) 


위와 같이 연구 성과를 효과적으로 요약하고, 그 중요성과 기여점을 강조하며, 독자에게 강렬하고 지속적인 인상을 남길 수 있는 연구자의 마지막 문구로 Conclusion을 마무리하면 이제 논문의 본문 내용 쓰기가 성공적으로 끝이 난다. 


Horray!! 


-      끝



위의 예시들은 다음의 논문들의 결론 부분을 그대로 쓰거나 혹은 약간 수정한 것이다. 

1) The power of positive deviance behaviours: From panic-gogy to effective pedagogy in online teaching

2) Enhancing the use of stakeholder analysis for policy implementation research: Towards a novel framing and operationalised measures 

3) Pedagogical purposes of using Open Educational Resources in STEM education: A case study in a STEM High School in Egypt

4) Elements of open education: An invitation to future research


이전 16화 16. 논문작성 10주 차: 논의하기, 발견의 의미탐구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