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희량 Apr 21. 2019

쓰레기로 전하는 메시지

럭셔리브랜드의 업사이클링

패션과 자연에 대해 글을 열심히 쓰다보니까, '패션을 해석하다' 매거진에는 조금 소홀했습니다. 이 매거진은 제가 패션의 예술적, 사회적, 정치적 기능을 분석하고 싶었던 마음에 만들었는데, 샤넬 글을 마지막으로 오랫동안 무심했어요. 그러다가 예전에 발행하다 말았던 '업사이클링' 글을 다시금 붙잡았습니다. 조금 다른 이야기를 하고 싶어졌거든요.


사실 업사이클링, 우린 보통 환경적 배경으로 접근하잖아요. 쓰레기에 새 삶을 부여하는 거니까. 폐기물 많은 요즘 세상에 쓰레기로 새로운 제품을 만드는 것 자체가 중요한 접근이죠.


그런데 업사이클링은 우선, 직사각형의 원단을 잘라서 옷을 제작하는 전통적인 방식이 통하지 않습니다. 미 완성된 옷을 해체하고 재조합하거나, 새로운 재료를 활용하는 방법을 고민하는 과정이 수반되기 때문이죠. 하나 혹은 많아봤자 두세 가지의 원단으로 하나의 옷이 제작된다는 규칙도 파괴됩니다. 폐기물이 되어버린 여러 재료의 새로운 탄생을 고민하는 상황에서, 기존에 옷을 만들던 방식이 중요할까요?


업사이클링을 위해 선택한 소재가 하나의 제품을 만들기에 충분한 경우도 드물 거예요. '솔메이트삭스'라는 미국의 양말 브랜드는 버려진 스웨터나 티셔츠 등에서 실을 뽑아 양말을 만듭니다. 그래서 한 쌍의 똑같은 양말을 만들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 오히려 짝짝이 양말을 팔아버립니다. 양쪽의 무늬가 같아야 한다는 암묵적 규칙은 업사이클링 세상에서는 통하지 않는 거죠.

Solmate socks


업사이클링의 재료는 무한합니다. 구성 방식도, 표현 방식도 무한합니다. 틀도 없고, 규칙도 없습니다. 업사이클링은 단순히 옷을 재사용하는 것을 넘어선 새로운 창작이며, 기계가 아닌 사람의 손으로 이루어지는 정성스런 작업입니다. 그리고 재료를 구하고 해체하고 재조합하는 고민의 과정에서 굉장히 다양한 디자인이 나옵니다. 독특하고 하나뿐인 디자인이죠. 리미티드 에디션! 세상에 얼마 나올 수 없는 제품들입니다.


무한한 재료와, 무한한 표현방식, 정해진 틀 없음, 단 하나뿐인 디자인. 이런 특징들을 가지고 있어서일까요. 업사이클링은 환경적 가치뿐만 아니라 여러가지 내재적인 의미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또 다른 가치를 지니고 있어요. 정해진 규칙을 깬다는 것에서부터 시선을 끌고, 그것을 통해서 어떤 메시지를 분명하게 전달하는 거죠. 비유와 상징, 사회적인 메시지 등이 담기기에 너무도 효과적인 표현방식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제가 지금까지 낙하산이나 공병을 활용한 업사이클링 제품, 혹은 자동차 시트를 활용한 패션 잡화 등등 우리가 생활 속에서 만나볼 수 있는 브랜드들은 소개를 몇 번 해드렸어요. 환경적 가치가 있는 제품들이죠. 그런데 업사이클링의 또 다른 묘미를 다른 관점에서 보여드리고 싶더라구요. 지금까지 제 눈길을 끌었던 디자이너들이 여럿 있었고, 어떤 메시지들이 담겨있는지, 혹은 어떻게 느꼈는지에 대해서 자유롭게 대화할 수 있는 예술적 표현에 대해 소개해보고 싶었습니다. 만나보시죠!



모스키노, 쓰레기로 만든 옷

우선, 대놓고 쓰레기를 활용했다고 보여주는 컬렉션입니다. 그래너무 인상깊었던 컬렉션이에요. 오뜨 꾸뛰르 컬렉션에서 등장하는 쓰레기들이라니. 치와 과시욕으로 상징될 수 있는 럭셔리 브랜드 패션쇼에서 등장한 쓰레기들이어서 그런지 훨씬 풍자적인 것 같습니다. 노Moschino는 지난 2017년 FALL 레디 투 웨어 컬렉션에서 봉지와 , ,   용한 업사이클링 디자인을 선보였습니다. 고 많은 쓰레기 중 왜 하필 비닐봉지, 쇼핑백, 택배박스, 에어캡일까요. 종 물건을 사는 데 쓰이는 일종의 포장재죠. 소비와 동시에  .   ,  '과소비'와 '낭비'    션이에요.

MOSCHINO FALL 2017 READY-TO-WEAR ; VOGUE

그리고 보다보면, 재질의 특징들을 너무 잘 표현했다는 생각이 들어요. 에어캡의 드레이퍼리한 느낌을 살린 드레스며, 종이가방의 구겨진 질감을 살린 투피스며, 박스테이프 처리를 한 디자인까지. 참 센스 있네요.



마리 카트란주, 고철과 생명력이 공존하는 아이러니

     Mary Katrantzou 2012년 봄 레디투웨어 시즌컬렉션에서   John Chamberlain       . 존 챔버레인은 철을 녹이고 찌그러트리고 꼬아서 독특한 조각품을 만드는 걸로 유명합니다. 마리 카트란주는 존 챔버레인의 작품과 같이 찌그러트린         린트한 디자인을 선보였습니다.   기, 꽃과 같은  연물을 함께   지를 전달합니다. 이미 죽은 물질, 쓰임을 다하고 버려진 고철과 역동하는 생명체의 병치는 굉장히 역설적이지만 조화롭기도 하죠. 생명체와 폐기물. 어쩌면 상반된 존재들이 모릅니다. 특히 요즘처럼 선순환구조가 강조되기 시작하는 시대라면요. 폐기물에도 다시 태어날 수 있는 많은 가능성이 있는 거죠.

존 챔버레인의 작품(좌측)과 마리 카트란주X존 챔버레인의 콜라보레이션 작품. 우측 착장이 가장 챔버레인 작품의 특징을 잘 나타내는 듯 합니다.
산호의 이미지와 고철의 이미지가 함께 프린트된 모습 보이시나요? 대조되면서도 조화롭기도 하네요.
Mary Katrantzou 2012 Spring Ready-to-wear ; Vogue



빅터앤롤프, 패치워크와 함께 전달하는 다양성의 메시지

빅터앤롤프Viktor&Rolf는 구제시장에서 얻은 옷이나 그동안 패션쇼에서 사용해온 자신들의 옷을 직접 업사이클링해서 새로운 디자인을 만듭니다. 다른 디자이너에 비해 이들은 꾸준히 지난 패션쇼 작품을 업사이클링해왔습니다. 그들은 헤진 옷들을 해체하고 다시 붙여 새로운 형태와 디테일을 만듭니다. 아래는 2017년 FW 컬렉션입니다. 이 시즌에서는 오래된 옷들과 버려진 군용점퍼들을 활용해 업사이클링한 디자인입니다.


빅터앤롤프의 업사이클링은 '패치워크'를 기반으로 합니다. 패치워크는 여러 헝겊 조각들을 조각조각 이어붙이는 공예기법입니다. 마치 조각보처럼요. 우리 전통바느질의 '누비'와도 같은 개념입니다. 빅터앤롤프는 패치워크를 통해 다양성에 대한 메시지를 담고 싶었다고 이야기합니다. 크기도 제각각, 색깔도 제각각인 천 조각들이 모여서 완성되는 패치워크가 다양성에 대한 메시지를 어떻게 전달할 수 있는지 이해되시죠? 패치워크로 제작한 인형얼굴로 인종에 대한 이야기도 함께 전하려고 했다는 걸 확인할 수 있네요. 인형얼굴을 포함해서 작품의 여러군데에서 패치워크를 발견할 수 있어요. 낡고 헤진 옷들을 모아 이렇게 깊은 의미를 지닌 특별하고 아름다운 옷으로 탈바꿈한 그들의 재능이 놀라울 뿐입니다.


아래는 2017년 SS 컬렉션이에요. 자신의 지난 컬렉션이나 오래된 옷들을 활용해서 드레스까지 선보입니다. 오래된 옷들을 이용해서 럭셔리한 드레스를 만  업사이클링의 개념을 한껏 강조하는 것 같습니다. 헌 옷과 드레스의 대조가 업사이클링이 주는 가능성을 더욱 극적으로 드러내죠. 여기에도 패치워크들이 붙어있습니다.

Viktor & Rolf's Spring 2017 Couture show ; Vogue


  2016 FW 컬렉션. 도 본인들의 지난 작품들을 업사이클링해서 새로운 작품을 선보였죠. 정말 아까울 거 같은데 자르고 잘라가며 또 엄청난 작품으로 재탄생했으니, 그 과감함에 박수를... 지난 컬렉션을 확인하는 재미도 있을 거 같네요. 제가 패션쇼에 관한 글을 쓰면서, 1년에 두 번이나 패션쇼를 진행하면서 소비하는 자원들과 배출되는 폐기물에 대해 걱정했었는데, 빅터앤롤프처럼 지난 작품들을 활용한다면 자원을 매우 아낄 수 있겠어요. 이번엔 우븐Woven, 즉 직물을 직조하는 방식과 러플Ruffle을 이용해 다양한 색감과 모양 나타냈습니다.


그러다가 빅터앤롤프는 결국 재고를 모두 활용해서, 2020년 Spring Couture 컬렉션에서는 공급업체들에서 쌓아둔 스와치(소재 샘플)들을 활용했다고 합니다. 스와치는 거의 손바닥만한 크기인데, 이걸 또 패치워크로 디자인했으니 어마어마한 수작업을 했겠네요.

Victor & Rolf Spring 2020 Couture - 출처: Vogue


 

마르지엘라, 해체주의와 업사이클링

저는 졸업작품을 준비하면서 해체주의를 배웠습니다. 해체주의는 정형화된 방식, 형태, 디자인, 사고방식 등 우리가 보편적으로 여겨온 모든 것들을 해체하고 재구성하는 사조예요. 오랫동안 굳건히 자리를 지켜온 울타리를 벗어나 바깥의 넓은 세상을 들여다보는 느낌이죠. 그 어디에도 정해진 규칙이란 없다고 외치는 순간 모든 가능성이 열리는 거예요. 새롭게 정의하고, 누구도 생각하지 못했던 독창적인 디자인들을 보는 게 정말 즐거웠던 기억이 납니다.


마르지엘라는 '포스트모던 해체주의자'라고 불릴 정도로, 틀을 바꾸고 깨는 획기적인 시도를 많이 했던 브랜드예요. 특히 유명한 건, 옷의 정해진 형태를 거부했다는 거예요. 꼭 완성된 형태가 아니어도 되고, 대칭이나 균형 잡힌 모습이 아니어도 되며, 생각지도 못한 곳에서 뚝뚝 잘라서 새로운 원단을 연결해도 되는 거죠. 그래서 마르지엘라는 시접도 그대로 보여주고, 마감처리를 제대로 하지 않는다든가, 안감이 밖으로 드러나는 등의 디자인을 보여줍니다. 아래쪽 좌측 사진을 보면, 안감이 바깥으로 나오고, 바이어스 테이프나 심지  완성된 순간에는 보이지 않는 자켓의 내부를 그대로 보여줘요. 일반적인 자켓의 모습과는 다르죠. 그리고 아래 우측 사진처럼 불균형하거나, 비대칭적인 디자인도 많이 보여줬어요. 남성복과 여성복의 구분도 모호하게 만들 수 있구요.


Maison Margiela 11FW Haute Couture(좌) 17FW Haute Couture Photo: Indigital Media (우)


마르지엘라에는 원래 '레플리카(replica)'라, 한때 유행이었지만 지금은 낡고 오래된 이미지를 가지고 있는 물건을 되살려서 새롭게 선보이는 라인이 있었어요. 레트로 감성이 유행하듯이요. 마르지엘라는 여기서 출발해서, 'Recicla'라고, Recycle과 Replica를 섞어서 새로운 라인을 만들어요. 빈티지 제품들을 새롭게 구성해서 독창적인 디자인을 고민하는 거죠. 이미 누군가 사용한 천이나 원단을 마르지엘라만의 디자인으로 재탄생시킵니다. 보통 하나의 제품만 존재하는 빈티지 제품에서 만들어졌으니, 작품 하나하나는 그야말로 리미티드 에디션이죠. 누군가의 손을 거쳐간 낡은 제품에 가치를 다시 부여하는 것이야말로 럭셔리 브랜드의 새로운 정의라는 말에 진심으로 동의합니다.(Mower)


렇게 해체주의와 업사이클링이 만납니다. 업사이클은 위에서도 말씀드렸지만, 소재가 굉장히 다양하고, 각각의 재료들을 이으면서 구성방식 또한 매우 다양합니다. 하지만 버려진 무언가를 활용하기 때문에 소재의 양이 매우 제한적일 수 있어요. 그렇기 때문에 소재를 구성하면서 기존의 전통적인 의복 구성방식을 따르지 않아도 되고, 따를 수도 없을 거예요. 이런 점에서 해체주의와 맥을 같이 한다고 볼 수도 있죠. 낡은 청바지를 잘라서 자켓을 만드는데, 뒷주머니가 배 한복판에 오든 어깨에 오든, 안 될 게 뭐 있나요. 해체주의와 업사이클링, 함께 엮을 만하죠. 둘이 만나면 모두 동시에 빛을 발할 수 있는 시너지효과를 발휘하는 것 같습니다.


2020년 FW 레디투웨어랑 SS 레디투웨어에서 업사이클링과 해체주의의 조화가 잘 드러닙니다.

Maison Margiela 2020 Fall Ready-to-wear / Photo: Alessandro Lucioni / Gorunway.com


위 작품에서도 균형을 거부하고 비대칭적인 구조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우리가 생각하는 코트의 형태보다 약간 비틀어진 모습이고, 좌우대칭 등의 균형을 확인할 수 없죠. 한쪽은 빳빳하지만 다른 한쪽은 드레이퍼리하는 등 소재의 모습도 차이가 나구요.


Maison Margiela 2020 Fall Ready-to-wear / Photo: Alessandro Lucioni / Gorunway.com
Maison Margiela 2020 Spring  Ready-to-wear / Photo: Alessandro Lucioni / Gorunway.com


위 작품에서는 재단할 때 초크로 긋고 표시한 선이나 메모 같은 것들도 남아있구요, 가봉할 때처럼 시침질이나 홈질한 스티치도 보여요. 그리고 마감 처리를 안 해서 실밥이 삐죽삐죽 튀어나온 모습도 확인됩니다. 이런 미완성 요소들을 통해 옷이 완성된 모습이어야 한다는 정해진 틀을 깨고 새로운 디자인을 보여주는 거죠.


어떻게 보면 괴상한데, 어떻게 보면 굉장히 폼나지 않나요. 해체주의는 정해진 틀을 극복하는 것 그 자체에 의미가 있는 것 같습니다. 사실 우리가 보편적으로 생각하는 정의나 의미는 완전무결하고 절대적인 게 아니죠. 전통적으로 그렇게 생각되어 왔을 뿐, 우리는 얼마든지 뒤집을 수 있는 거잖아요. 이런 메시지는 항상 중요한 것 같아요. 절대적인 정답이 없다고 여겨야 타인의 의견에도 귀기울일 수 있지 않을까요. 그렇기 때문에 다양성을 외치는 거고, 서로의 다름과 개성을 존중하는 거죠. 여러가지 가능성을 보여줄 수 있는 주제라고 생각해요.




럭셔리브랜드는 패션쇼를 통해서 보여주는 만큼 관념적인 부분을 강조하기에 효과적인 무대를 갖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앞서 보여드린 작품들도 업사이클링이라는 방식과 함께 다양한 메시지를 던지면서, 패션쇼 자체가 하나의 퍼포먼스처럼 다가왔어요. 버려진 것들을 활용해서 호화스러운 옷을 만든 컬렉션, 정해진 틀을 극복하고 새로운 방식을 제시한 컬렉션 등 강렬한 인상을 남긴 작품들이 많았죠.


이게 럭셔리브랜드의 역할이라는 생각이 들어요. 전세계 사람들이 주목하잖아요. 패션쇼, 컬렉션이라는 무대도 있고. 메시지를 확실하게 던질 수 있는 거죠. 이 때 디자이너의 작품 하나하나는 말 그대로 '예술작품'이 되구요. 사회적, 환경적, 정치적 메시지를 내재적으로 암시할 수 있는 거예요. 그리고 패션은 다른 어떤 소재보다 그 메시지를 극적으로 드러낼 수 있는 매체입니다. 정말 많은 사람들이 주목하고 사랑해 마지않는 세계니까요. 그리고 우리가 평소 생활 속에서 만나는 패션에는 정해진 틀이 있어서, 규칙 하나만 깨도 괴상해보이잖아요. 그 신선한 충격에 우리는 그 메시지를 더 강렬하게 받아들일 수 있을 거구요.


패션이 단순히 센스나 재력을 과시하는 등의 물질적인 의미로만 다가가지 않았으면 하는 마음이에요. 다들 전시회 가고, 연극을 보는 등 예술작품을 감상한 후에 이런저런 생각 많이 하시잖아요. 패션도 똑같은 자세로 바라보는 사람이 더 많아졌으면 좋겠어요. 상업적 분야가 아닌 예술적 분야로요. 미적인 디자인 그 자체보다 의미가 더 강조되는 개념주의적인 접근이요. 패션에 상업적 요소가 너무 강해지니까 의류 폐기물도 많아지고, 과소비에 문제가 심각해지는 거란 생각도 들고요.




오랜만에 환경이 아닌 패션 그 자체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보았네요. 약간 부업느낌..? 즐거웠습니다.


본업으로 돌아가보자면, 아무리 그래도 업사이클링에서 중요한 건 자연 순환, 폐기물 절감이죠. 어떤 물건이 필요해진다면, 한번 업사이클링 제품으로 찾아보시는 것도 고려해보실 거죠? 위에 소개해드린 브랜드들보다는 우리 생활과 훨씬 가까운 업사이클링 브랜드들 많이 있습니다. 이런 업사이클링 브랜드는 아래 글들에서 몇 번 소개해드린 적이 있구요. 업사이클링을 시도하는 브랜드는 많고, 점점 하나둘씩 새로운 브랜드들도 많이 생겨나는 것 같던데, 앞으로도 쭉 열심히 소개해드릴게요.



참고

표지: Photographed by Tierney Gearon, Vogue, September 2019

Diane Small, "8 Luxury Fashion Brands that Upcycle" ELUXE Magazine.

Eleanor Davies, "6 Genius upcycled looks to note from Maison Margiela's AW20 Show" Vogue. 2020.2.27

Emily Farra, "Doll Heads Aside, Vikot & Rolf as Committed to Eco-Conscious Couture as Ever" Vogue. 2017.7.8.

Kristen Bateman, "Meet the Designers Pushing Sustainability at Paris Fashion Week" Departures. 2020.3.3.

Osman Ahmed, "Maison Margiela indulges in the joy of recycling for AW20" i-D. 2020.2.28

Sarah mower, "Maison Margiela Fall 2020 Ready-To-Wear" Vogue. 2020.2.27

김순자, 「모호성의 관점에서 본 마틴 마르지엘라 패션디자인 특성」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제18권 2호. 2016년.

남보람, "독일 병사 군용 운동화" 매일경제. 2020년 11월 3일

정정희, 임은혁, 「크리티컬 패션에 관한 고찰」한국의류산업학회지 제21권 제5호. 2019년.



매거진의 이전글 지금, 샤넬은 가짜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