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zart Piano Sonata No. 16, K. 545 mov.2
2014년 겨울에 친구가 고흥의 본가에 가면서 낚시터에 들렀는데, 거기 있던 유기견에게 호떡을 한 조각 떼어 줬더니 차를 타고 떠나는데도 작은 몸으로 악착같이 쫓아왔단다.
그 모습이 가엾기도 하고 어머니 댁에 마당도 있고 개도 키우고 계시기에 데려가서 '땅꼬마'라는 이름을 지어줬다. 밥을 허겁지겁 먹고 배가 볼록한 것을 보고 오랜 길거리 생활 탓에 식탐이 많구나 싶어 더욱 보살폈는데, 알고 보니 땅꼬마는 임신 중이었고 며칠 지나지 않아 새끼를 다섯 마리나 낳았다.
땅꼬마가 친구를 미친 듯이 쫓아왔던 건 안전한 곳에서 출산하려는 본능이었는가 보다.
새끼들을 동네에 한 마리씩 나누어 줄 거라는 말을 듣고 가만히 있을 수 없었다.
강아지 강아지 노래를 부르면서도 돈을 주고 생명을 사는 것에는 거부감을 느끼던 차에 하늘이 준 기회였다.
그렇게 땅꼬마의 막내딸은 우리 집 막내가 되었다.
우리 가족이 되어 함께 언제나 기쁘기만 했으면 하는 마음으로 '희동'이라는 이름을 지어줬다.
고흥에서 돌아온 친구 집에 가서 손바닥 만한 희동이를 스티로폼 박스에 넣어 데려오던 날
이 작고 여린 생명체가 과연 안 죽고 살까, 이 보송보송한 털가죽 속에 장기가 다 들어있긴 한 걸까, 아직 살아있을까 싶어 버스에서 상자를 자꾸 열어봤다.
집에 온 지 하루이틀은 우는 소리를 자주 냈다.
세상 아주 작은 부분을 차지하는 자그마한 몸을 하고는 짙은 호수 같은 눈망울로 세상을 관찰하며 먹고 싸고 잘 뿐인 어린 생명이 최선을 다 해 어미를 찾고 있었다. 그 당혹스럽고 애처로운 눈을 보고 같이 울면서 “미안해 이젠 내가 너의 가족이야” 여러 번 말해주는 수밖에 없었다.
잠시 앓은 희동이는 다행히 금세 적응했다.
물에 불린 사료를 주면 자기 몸통보다 큰 밥그릇에 얼굴을 파묻고 손가락 한 마디만 한 꼬리를 살랑대며 먹고
배가 부르면 기분이 좋은지 손가락을 깨무는 장난을 치기도 하고 배를 내놓고 누워 자기도 하고 어디서 배웠는지 똬리를 틀 듯 몸을 말고 자기도 했다.
소리가 나는 곳을 향해 고개를 돌려 보고 다가가 보기도 하는데 그 작은 걸음에서는 아무 소리도 안 났다. 가르쳐주지 않아도 배변 패드에 용변을 해결하는 것을 보고 식구들과 입을 모아 영재견이 틀림없다고 했다.
친구들은 번갈아 가며 마치 새로 태어난 공주를 알현하듯이 찾아와 희동이 앞에서 앓는 소리를 하고 갔다.
많은 사람들의 사랑을 받으며 자란 희동이는 곧잘 깡충거리기도 하고 처음 나간 산책길에서는 제 몸보다 커다란 낙엽을 물고 와서 큰 웃음을 주기도 했다. 집에 슬리퍼나 아빠 시계 같은 것이 없어져서 보면 희동이 집 안에 있기도 했고 아무도 없는 집에서 소리 내어 울고 있는 나에게 와서 아무런 표정 없이 눈물을 핥아 주기도 했다.
희동이가 태어나고 하는 모든 첫 경험은 나의 첫 경험이기도 했다. 예민한 내가 희동이를 위해 감수하는 불편에는 너그러웠다. 옆에 데리고 자면서 혹시 내 팔에 깔리지는 않을까 선잠을 자고 상태가 조금 안 좋아 보이면 담요에 여러 겹으로 싸서 품에 안고 동물병원에 뛰어가기도 여러 번, 내리사랑이란 걸 처음으로 해 봤다.
희동이를 사랑하게 되면서부터 길에서 마주치는 생명들을 보는 눈에 애달픔이 실렸다.
나이 들어 걸음이 느린 개, 볕 좋은 데서 목을 쑥 집어넣고 졸고 있는 비둘기들, 풀숲을 들썩이며 포르르 거리는 참새들, 작은 틈을 미끄러지듯 드나드는 고양이, 숨 쉬는 것들, 움직이는 그림자를 지닌 이들,…
양손 위에 올라오던 작은 아이는 어느새 양팔로 안으면 묵직한 체온이 느껴질 만큼 자랐고
어느덧 열 번째 생일잔치를 앞둔 어르신이 되었다.
원조 '다운 독'자세로 기지개를 켜고 방에서 나와 차박차박한 걸음 소리로 방마다 기웃거리며 가족들이 다 있는지 살핀다. 아침 창을 통해 들어오는 햇빛아래 꾸벅꾸벅 졸면서 하루를 시작하는 오늘의 희동이는 사료를 아득아득 씹어 먹고 챱챱 소리를 내며 물을 먹는다. 밥에 고기를 섞어주면 때로는 사료만 뱉어내는 편식도 하고 심심하면 장난감을 물고 와 한쪽 끝을 잡으라며 손에 놓아준다. 하루에 두세 번은 하는 산책인데 나갈 준비가 조금 굼떠지면 으르렁거리며 장난감들을 입으로 휙휙 집어던지는 것이 웃긴다. 밖에 나가면 세상에 처음 나온 아이처럼 동네 곳곳에 밴 냄새를 정성스럽게 들이쉰다. 아빠 말로는 동네 개들이 남긴 '카톡'을 확인하는 일이 얼마나 재밌겠냐고.
나무 밑동마다 모퉁이 구석마다 웬만큼 답장을 하고 용변까지 마치고 나면 볼일 다 봤다고 집에 가자고 주장한다. 산책을 다녀온 새 다른 가족이 집에 와 있으면 밖에서부터 알고 한달음에 집으로 올라가 현관문을 긁어댄다. 발을 씻고 말려주면 얼마 되지 않아 지친 기색으로 길게 늘어져 있는데 목을 쓰다듬으면 조용히 머리를 기대고 즐긴다.
희동이가 늘어져 자는 걸 보고 마음 편히 외출을 하는데 잊은 물건이 생각나 돌아가보면 이미 현관 앞에 자리 잡고 기다리고 있다. 내가 있는 바깥과 가장 가까운 곳에 스스로 묶인다. 함께 있을 때만 자유로울 수 있는 존재라니.
대부분의 시간을 잠으로 보내고 이따금씩 어슬렁대다 저녁이 깊어가는 어느 순간 눈빛이 변하는데, 이윽고 현관이 열리고 희동이가 제일 좋아하는 아빠가 집에 돌아온다. 꼬리를 떨어질 듯 흔들며 뒷발로 연신 뜀박질하고 양 귀를 뒤로 젖히고 안방과 거실 사이를 내달리는 눈이 형형하다. 난생처음 겪는 기쁨 같은 세리머니까지 마치고 나면 하루 일과 끝.
기울어진 햇빛 아래 그 귀여운 실루엣으로 그림자와 함께 걸을 때, 멍청한 표정으로 입을 벌리고 있어서 아래 송곳니가 보일 때, 추울까 봐 덮어준 담요를 떼어낼 줄 몰라서 등에 덮은 채로 어기적어기적 돌아다닐 때, 온 가족이 놀러 갈 때 누구 한 명이라도 안 보이면 알리려는 듯 불안한 소리로 짖을 때, “아우우” 하울링 선창을 하면 하늘을 향해 동그란 입모양으로 소리를 따라 할 때, 내가 앞에서 춤을 추거나 이상한 표정을 지으면 한숨을 쉬는 것이 꼭 사람처럼 느껴질 때, 자면서 코를 골고 몸을 움찔댈 때,
이럴 때, 저럴 때, 온갖 때 쌓여 온 사랑이 우리를 아프게 하는 날이 언젠가는 오겠지만 이 강아지는 먼 미래 따위는 안중에 없이 매일 새로 태어난 이처럼, 마지막 하루인 것처럼 산다. 이 존경스러운 삶의 태도에 나는 ‘희동 선생’이라 존대하기도 한다.
순수한 이와 통하는 마음이야 말로 의심 없이 사랑이라 할 수 있지 않을까, 미운 적 없이 예쁘기만 한 내 사랑, 작은 몸으로 우리 가족 모두를 품는 소중한 강아지는 내 가슴에 영원히 남을 흔적을 지금도 새기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