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킷 6 댓글 공유 작가의 글을 SNS에 공유해보세요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코로나를 기회로 도약한 지역커뮤니티 공구플랫폼

소셜네트워크로 지역 시장에서 성장하는 공동구매 플랫폼, 콰이퇀퇀

by Josh Oct 26. 2024

지금 살고있는 아파트 옆동의 입구앞에 과일, 야채등 다양한 식료품들이 쌓여있는 것을 매주 본다. 그리고 사람들이 한명씩 와서 쌓여있는 과일이나 야채를 찾아서 가져간다. 중국에는 핀뚸뚸(拼多多)와 같은 공동구매가 활성화되어 있다고 하던데, 그것인가? 라고 생각하고 넘겼다. 


얼마전 아내가 옆동의 입구에 쌓여있는 과일이 맛있다고 한번 사보라고 한다. 주민 지인과 친구에게 물어 과일을 살 수 있는 단체방에 들어갔다. 그 이후로 나는 이곳에서 전통적인 쇼핑 방식과는 다른 구매 경험을 즐기고 있다. 그리고 이것이 拼多多의 지역 커뮤니티 플랫폼 快团团(콰이퇀퇀)이라는 것을 알게되었다.

브런치 글 이미지 1


일반적으로 중국 아파트 단지에사는 주민은 단체 동주민 채팅방에 가입해 주요 공지사항을 손쉽게 전달받는다. 이 방에서 주민들은 가끔씩 상품 링크를 공유하기도 한다. 이 사람이 快团团(콰이퇀퇀)을 운영하는 지역주민 대표다. 주로 식료품 공동구매 링크가 많이 올라온다. 공동구매로 물건을 사면 특정 시간에 맞춰 상품이 배송되거나 약속된 공급처에서 수령할 수 있다. 기존의 쇼핑 방식과는 완전히 다르다.

이렇게 공동구매 상품에 만족하고 재구매를 자주하게 되면 공동구매 전용방이 만들어진다. 그 곳에서는 더 다양한 제품들을 볼 수 있다.  


快团团(콰이퇀퇀)은 어떻게 운영될까? 커뮤니티 공동구매의 운영 방식은 ‘온라인 예약, 오프라인 수령’이다. 지역 커뮤니티 공동구매의 핵심은 신뢰와 낮은 비용이다. 주민이 거주하는 커뮤니티에 있다보니 제품의 질이 떨어지면 금방 소문이 난다. 재구매율이 현저히 줄어들고 그 상품은 머지않아 퇴출되거나 없어진다. 제품 구매후 후기나 평점들은 일반 온라인 제품보다 더 높은 믿음을 준다. 현지에서 직접 수확해서 더 신선한 제품이 있는 경우도 있다. 공동구매로 중간 유통을 줄이기 때문에 저렴한 가격으로 구매할 수 있는 것은 콰이퇀퇀의 가장 큰 장점이다. 또 물품을 구매하면서 물건을 수령할때 이웃과 함께 만나면서 담소를 나누는 즐거움은 덤이다. 

[공동구매 채팅방에서 과일, 제품을 소개하고 있다][공동구매 채팅방에서 과일, 제품을 소개하고 있다]
[물건이 도착하면 1:1메시지로 알림을 준다. 제품관련 불만족이 있으면 처리하기도 한다][물건이 도착하면 1:1메시지로 알림을 준다. 제품관련 불만족이 있으면 처리하기도 한다]


이런 공동구매 방식이 본격적으로 확산된 계기는 2022년 코로나19 팬데믹이었다. 특히 상하이 봉쇄 시기에는 외출이 제한되면서 식료품을 구하기 어려운 상황에 직면한다. 초반에는 정부에서 제공하는 물자를 의존해야 했지만, 이후 대부분의 봉쇄된 주민들은 각 아파트 단지별로 快团团(콰이퇀퇀)공동구매 플랫폼을 통해 필요한 물품을 마련했다. 당시 3개월 길게는 6개월동안 이 방식은 메우 효과적이었고 상당히 활성화되었다. 팬데믹이 끝난 후에는 사용빈도 등 영향력이 다소 줄어들었다. 그럼에도 여전히 1선도시 외곽, 2선도시 등 다양한 지역 커뮤니티에서 높은 사용율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공동구매 방식은 주로 위챗의 미니 프로그램을 통해 운영된다. 이것은 타오바오, 징둥, 핀둬둬와 같은 대형 플랫폼과 차별화된 접근 방식이다. 알리바바와 같은 대형 플랫폼들은 공공 트래픽과 브랜드 영향력을 활용해 소비자에게 다양한 상품과 고품질 서비스를 제공한다. 반면, 위챗 미니 프로그램은 사적 트래픽을 기반으로 개인화된 경험과 특색 있는 상품을 통해 소비자를 유도하고 있다. 따라서 지역이나 커뮤니티, 개개인의 특색에 따른 맞춤형이 가능하다. 또 위챗의 소셜 기능을 활용하여 공유, 댓글, 추천 등을 진행한다. 이렇게함으로써 사용자 활동성과 유지율을 높일 수 있다. 

브런치 글 이미지 4

2023년 기준, 중국 내 위챗 사용자 수는 12억 6천만 명을 넘었다. 이 중 미니 프로그램의 월간 활성 사용자 수는 8억 5천만 명, 일일 활성 사용자 수는 2억 명을 초과했다. 2018년 위챗은 주로 사람들간 커뮤니티가 주 목적이었다. 공중하오를 이용해 기업을 홍보하는 컨텐츠 채널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2024년 지금의 위챗은 소셜과 사용자 맞춤의 서비스 기능이 가능한 플랫폼 성장중이다. 


#快团团 #콰이투안투안 #위챗 미니프로그램 #공동구매 #공동플랫폼 

이전 21화 코로나 이후 도로 위 자동차가 달라졌다

브런치 로그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