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정수 Apr 30. 2024

2. 불여기인인오, 이기불인불인오

  - 〈애오잠병서〉 /  나에 대한 남들의 평가에 대처하는 자세

   우선 무시옹은 이렇게 말합니다.

   不如其人人吾(불여기인인오), 而其不人不人吾(이기불인불인오).

   끊어 읽기는 ‘불여/기인/인오, 이/기불인/불인오’ 정도로 하면 되겠습니다.

   이 문장에서 문제가 되는 것은 ‘그 기(其)’자의 해석입니다. 그냥 지시대명사로 ‘그’라고만 새기면 의미가 제대로 드러나지 않습니다. 또는, 덜 드러납니다. 분명히 그렇습니다.

   저는 예전에 이 글을 공부할 때 이 기(其)자를 ‘마땅한’, ‘합당한’, ‘훌륭한’, ‘적합한’ 따위의 긍정적인 뜻으로 새기는 것이 좋다고 교수님께 배웠습니다. 그렇다면 ‘其人(기인)’은 ‘좋은 사람’이나 ‘훌륭한 사람’으로, ‘其不人(기불인)’은 ‘좋지 않은 사람’이나 ‘못된 사람’ 정도로 번역할 수 있겠지요.

   그래서 저는 이 문장을 이렇게 번역합니다.

   ‘좋은 사람이 나를 사람답다고 하고, 좋지 않은 사람이 나를 사람답지 않다고 하는 것만 못하다.’

   이걸 바로 앞의 문장과 나란히 놓으면 이렇게 됩니다.

   ‘남들이 나를 사람답다고 해도 나는 기뻐하지 않고, 남들이 나를 사람답지 않다고 해도 나는 걱정하지 않는다. 좋은 사람이 나를 사람답다고 하고, 좋지 않은 사람이 나를 사람답지 않다고 하는 것만 못하다.’

   읽어보면 뜻은 얼추 통하는 듯하지만, 우리말로는 앞뒤가 서로 호응이 안 되는 어색한 문장입니다. 이 두 개의 문장은 결국 하나의 문장으로 볼 수 있습니다. 그 까닭은 일종의 접속사 구실을 하는 ‘불여(不如)’라는 말이 가운데 놓여 있기 때문입니다.

   ‘불여’는 ‘~만 못하다’라는 의미로, ‘불여’ 앞에 놓인 것이 ‘불여’ 뒤에 놓인 것만 못함을 뜻합니다. 그러니까 ‘A 不如 B’는 A가 B만 못하다, 곧 B가 A보다 낫다는 의미를 표현하는 구문인 셈입니다. 한문에서는 매우 유명한 구문이지요.

   이 ‘불여(不如)’를 글자 그대로 풀이하면 ‘같지 않다’나 ‘같지 못하다’라서, 앞뒤의 관계가 거의 대등한 느낌입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뒤의 것과 앞의 것이 각각 우열(優劣)로 확실하게 나뉨을 의미하기 때문에 그 차등의 관계를 분명히 살리기 위해서 ‘~만 못하다’라고 번역해야 한다고 저는 배웠습니다.

   따라서 이 두 개의 문장도 ‘불여’를 사이에 두고 앞뒤 문장이 분명한 우열 관계로 설정되어야 합니다. 그래서 연결하여 번역하면 다음과 같은 정도가 됩니다.

   ‘남들이 나를 사람답다고 해도 나는 기뻐하지 않고, 남들이 나를 사람답지 않다고 해도 내가 걱정하지 않는 것은, 좋은 사람이 나를 사람답다고 하고, 좋지 않은 사람이 나를 사람답지 않다고 하는 것만 못하다.’

   하지만 여전히 우리말로는 어딘가 어색합니다.

   이 문장은, 나는 남들이 나에 대해서 이러쿵저러쿵 떠들어대는 소리에 휘둘리지 않는데, 그 까닭은 나에 대한 그들의 그런 평가가 ‘좋은 사람이 나를 칭찬하고, 좋지 않은 사람이 나를 비난하는 것’만 못하기 때문이라는 의미입니다.

   그러니까 내가 진정으로 마음 쓰는 것은 나에 대한 좋은 사람의 칭찬과 좋지 않은 사람의 비난이지, 좋은지 좋지 않은지도 알 수 없는 사람의 평가가 아니라는 것입니다.

   요컨대, 지금 무시옹은 자신에 대한 평가 자체가 아니라, 그 평가를 내리는 사람의 됨됨이가 어떠한가,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말을 하고 있는 것입니다.

   따라서 위의 두 문장을 연결해서 번역할 때 이 의미를 살리려면 속절없이 약간의 손질이 불가피합니다. 그래서 저는 최종적으로 이렇게 번역하는 것이 어떨까, 싶습니다.

   ‘남들이 나를 사람답다고 해도 나는 기뻐하지 않고, 남들이 나를 사람답지 않다고 해도 나는 걱정하지 않는데, 이는 그런 말들이 좋은 사람이 나를 사람답다고 하고, 좋지 않은 사람이 나를 사람답지 않다고 하는 것만 못해서다.

   그러니까 저는 중간에 ‘이는 그런 말들이’를 새로 넣고, ‘못하다’를 ‘못해서다’라고 살짝 바꾸어 번역한 것입니다.

   이제 이 말에 대한 무시옹의 친절한 부연 설명이 이어집니다.  *

이전 01화 1. 인인오, 오불희, 인불인오, 오불구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