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BHSN 변 호 사 님 Nov 22. 2020

하버드 로스쿨은 LL.M.을 어떻게 뽑나

학점 (GPA) 편

하버드 로스쿨 LL.M.에 제출해야 할 서류는 ≪하버드 로스쿨 LL.M. 입학하기 - 스케줄 짜기≫ https://brunch.co.kr/@kr-uslawyer/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당히 많고 복잡하다. 



그 중에서 GPA의 비중은 어떻게 될까?


하버드 로스쿨은 LL.M. 선발기준을 자세하게는 공개하지 않았다. 학교 홈페이지에도 학점은 몇 %, 추천서는 몇 % 하는 식으로 각 요소의 비중이 어떠한지 언급한 바가 없다. 다만 입학하고나서 LL.M. 구성을 관찰해보니 학업능력, 매력, 다양성 (어느 나라에서 교육 받았는지, 국적은 어디인지, 성별, 관심 분야나 전공 분야, 실무쪽인지 학문쪽인지 균형을 맞추려고 하는 것 같다) 을 고려했을 거라고 추측되었다.  


GPA가 가장 중요하다 했다. 


그래서 나도 실제로 어떤 기준으로 선발하는지 알 수는 없지만, 입학 후 LL.M. 친구들이 너무 당연히 말하기를 GPA가 가장 중요하다 했다. LL.M. 친구들 모두 정말 똑똑하고 리걸 마인드 확실하고, 각자 나라에서 수재 중의 수재이다. 다들 본인 학교에서 과탑 정도는 한 것 같은 느낌을 받았다.  


LL.M. 중 누구와 이야기를 해봐도, 수업 중에 하는 대답 수준이나 평소에 표출하는 사고수준을 보아도, 매우매우 똑똑하다는 걸 알 수 있었다. 내가 지금까지 겪어본 집단 중 최고로 똑똑한 집단이었다. 개인적으로 느끼기에는 미국 내에서 수재 집단인 J.D.들보다 더 다듬어져서 그런건지 나이에서 오는 노련함 때문인지 아니면 처음부터 더 수준 높은 집단이어서 그런 건지, LL.M. 집단이 더 똑똑했다. 만약 그런 지적수준이 GPA로 드러나는 게 사실이라면, 학교가 GPA를 가장 중요하게 본다는 소문에는 일리가 있다(고 생각한다).  


내 친구들이지만 진짜 존경한다.


하버드와 시카고 로스쿨이 원서에 석차를 적어내라고 했던 것도 GPA를 중요하게 보는 것과 일맥상통하는 게 아닌가 싶다. 하버드의 경우 성적표에 석차가 적혀있어야 하고, 만약 성적표에 석차가 기재되지 않는다면 따로 석차를 기재한 문서를 출신 학교장의 직인을 받아 제출해야 한다. 시카고의 경우에는 입시 초반부터 아예 입시 홈페이지에 석차를 써서 제출하라고 했다. 본인의 정확한 석차를 모른다면 추측해서라도 써 내라고 했다.  


시카고 로스쿨의 경우 2020년 입시에서 LL.M. 선발 엑셀표가 유출된 적이 있었는데, 그 때 유출된 엑셀표에는 각 지원자가 적어낸 석차가 고려요소 중 하나로 포함돼 있었다. 유출된 경위는 ≪하버드 로스쿨은 LL.M.을 어떻게 뽑나 - 토플 편≫ https://brunch.co.kr/@kr-uslawyer/10 에서.  


다만, 하버드는 출신 학교 명성은 안보는 것 같았다. 나도 서울대 출신 아니고, 다른 나라 LL.M. 친구들도 반드시 그 나라의 최고 대학 출신만 뽑힌 것은 아니다. LL.M. 명부를 보면 한 나라 안에서도 다양한 학교 출신들이 섞여있다. 이건 J.D.도 마찬가지인데, 아이비리그 학부 출신 J.D.들도 당연히 많지만, 아이비리그 아닌 학부 나온 친구들도 (느낌 상 절반 정도로) 많다. 결론적으로 학교 명성과는 무관하게 각자 자기 자리에서 열심히 해온 사람을 뽑는 것 같다는 인상을 받았다.  


입학허가 첫번째 기준은 GPA와 석차이다.


하버드 로스쿨 LL.M. 원서를 실제로 열어보면, 홈페이지에서 쓰여있는 것보다 조금 더 입학허가기준이 구체화되어 있는데, 그 중 첫번째로 나열된 게 GPA와 석차이다.  


o   Grades and rank in Univ. and law studies

o   Ability to write a cogent legal essay

o   English language proficiency

o   Quality of their recommendation

o   Profession and personal accomplishments

o   Intellectually curious and thoughtful, demonstrate intent to return to their country to contribute to the academy or legal profession  


2021년 입학원서는 여기서. 


학교 홈페이지 상 간략하게 쓰여있는 LL.M. 입학허가 기준에서도 GPA와 석차가 가장 먼저 나열돼 있다. 


하버드 로스쿨 LL.M. 입학 페이지는 여기 hls.harvard.edu/dept/graduate-program/llm-admissions/ 



다만, 이 모든 것은 쿼터제에 해당하는 사람에게는 의미가 없을 수 있다. 만약 법원 선발이거나 김앤장 선발인 경우 일반 지원자들과는 다른 기준으로 뽑힐 것이기 때문이다.  


자세한 것은 ≪하버드 LL.M.에는 쿼터가 있나?≫ https://brunch.co.kr/@kr-uslawyer/5 를 참조.


하여간에 이런 선발 기준 아래 내가 준비했던 것, 학교가 고려하는 또다른 요소에 대해서는 아래를 보시면 된다. 


작가의 이전글 미국 로스쿨 LL.M. 입학하기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