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지레인 Jan 05. 2024

가슴을 따라 살고자 하는 이에게 가장 어려운 작업

걱정과 의심을 내려놓는 일

맙소사.


밖으로는 글을 통해 돈을 벌고 싶어하면서

안으로는 이걸로는 돈이 안된다는 믿음을 갖고 있었다.


의식적으로 블로그에 브런치에 글을 올리면서도

무의식적으로 '이게 과연 생산적인가?' 하는 의심을 품고 있었다.



다수가 가는 길은

쉽든 어렵든

적어도 보이는 길이니

이렇게만 하면 되겠다는 안정감이 있다.


나만의 길은

어느 순간 번쩍 빛이 비치다가도

곧 다시 어두워진다.

흐리멍덩하고 불분명하다.


이 막막함이 언제까지 이어질까?


가슴을 따라 살고자 하는 이의

가장 어렵고도 중요한 작업은

수시로 올라오는 걱정과 의심을 떨쳐내는 일이다.


순수한 즐거움에 계산기가 등장한다.

이렇게 해서는 도저히 답이 안 나온다.


믿음의 결핍.

재능이란 게 뭐 별것 있나. 자신을 믿는 게 재능이지. 지금 자네 눈앞에서 흐릿하게 어른거리는 게 있다고 했지? 그걸 믿고 가. 그게 누구 딴사람 머리에서 나와서 어른거리는 게 아니잖아.

 - 영화, [거미집] 中


내 안에서 심오하고 장엄했던


'난 나를 믿어'라는 말은


밖으로 나오는 순간

별 것 아닌 것,

뜬구름 같고 책임감 없는 말로 축소된다.


내 안의 꿈틀거리던 아름다운 비전은

꿈 속이나 새벽 어느 순간

야생의 나에게서나 진지한 이야기가 된다.


여전한 세상의 시계가 돌아가면

철없거나 사는데 별 도움 안 되는 이야기.


'그래서 어쩌라고?'


수많은 의심과 걱정 혹은 비아냥 속에서

어느 순간 나도 나를 의심하기 시작하고,


결국엔 두려워하는 내가

내 안의 길을 지우고 돌아선다.


'그래, 그렇지. 사는 게 다 그렇지'


수많은 '나만의 길'이 그렇게

꽃 피우지 못한 채

믿음의 결핍으로 지워졌다.

그대, 이번에도 그렇게 할텐가?


내 안의 내가 다시 묻는다.


오랜 시간 내 안의 나를 명상해 오며

'작은 나'의 꿈은 오직

진정한 나(큰 나)와 가까워지는 것이 되었다.


'작은 나'의 꿈은 흔들리지만

'큰 나'의 꿈은 확신할 수 있음도 알게 되었다.


'작은 나'의 역할은

'큰 나'의 목적을 '실행'하고 '경험'하는 것.


'큰 나'는 그저 지켜본다.

'작은 나'가 화를 내고, 전전긍긍하고, 미워하고, 시간낭비하는 모습을.


다시 고요해지면 드러나서

그대로 있던 본모습으로 '작은 나'를 품는다.

 

이제 가슴을 따를 수 있는 이유는


가슴이란 '큰 나'의 소망이며

그 속삭임이 들리지 않는 때에도

'큰 나'에게 내려놓을 수 있음을 배웠기 때문이다.


나를 믿으란 말의 '나'는

'작은 나'가 아닌 '큰 나'가 될 때 힘을 갖는다.



수많은 다수의 길을 거쳐

나의 길로 들어섰다.


다수의 길에서도

내 안의 나로서 진실하게 걸으면

나만의 길이 생겨난다.


나만 생각하는 '작은 나'의 계산법으로는

도저히 납득할 수 없는,


불확실하지만 보살핌 속에 있다는 느낌!


'큰 나'가 바라는 진정한 나만의 길은


다른 이가 좋아해 주지 않아도

나로서, 행위 자체로서 즐거운

잔잔한 행복이 함께하는 길이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