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게 나 때문에 시작된 일인지 아닌지는 상관없다. 동생과 다퉈서든 밖에서 마음이 상했든 원인이 무엇이든지 간에 항상 울음의 마지막엔 엄마인 나에게 안아달라고 한다.
예전에는 아이의 울음이 나와의 관계에서 시작된 것일수록바로 안아줄 수 없었다. 내 마음도 아직 진정되지 않은 부정적인 상황이라 아이가 안아달라고 하면 '엄마도 감정 있는 사람이야!'를 외치고 싶은 마음이었다. 그리고 '울면 엄마가 안아준다'는 것으로 아이가 받아들이는 것도 원하지 않았다. 그러면 안기기 위해 계속 울게 되는 일이 생길 것만 같았다. 그래서 울지 않아도 언제나 안아줄 수 있음을 아이가 알게 해주고 싶어 평소에 더 자주 안아주기로 했다. 막연히 '자주'라고 하면 실천이 어려울 것 같아 아이들에게 말했다. 아침에 일어났을 때, 학교나 학원 갈 때, 집으로 돌아왔을 때, 잠자기 전에 안아주겠다고. 물론 그 외에도 언제든지 안아줄 수 있지만 기본적으로 안아주는 상황을 정해놓으면 좀 더 쉽게 안아줄 수 있을 것 같았다. 내가 어릴 때 그런 애정표현을 매일 자연스럽게 받아보지 못했기 때문에 사랑 표현이 서툴다. 그래서 미리 아이들과 약속함으로써 실천하고 싶었다. 아이들에게 그렇게 말한 이후, 내가 말한 때뿐만 아니라 아이들을 더 많이 안아주게 되었다. 울지 않아도 안아주니 울어도 더 쉽게 안아줄 수 있었고, 아이들도 안아달라고 평소에 자연스럽게 말하기 시작했다.
아이로부터 전염된 것일까?
어느 날 무슨 일이었는지 남편에게 서운한 감정을 이야기하고 난 후 불현듯 나도 '안아줘'라는 말이 저절로 나왔다. '아... 이런 거구나.' 그 전에는 아이의 마음을 머리로만 이해했는데 직접 경험하고 나니 아이를 마음으로 이해할 수 있었다. '안아줘'라는 말에 담긴 마음을. 내가 무슨 말과 행동을 하든 상관없이 받아들여지고 있다는 사랑을 느끼고 싶고 그로부터 안정감을 얻고 싶은 마음. 모든 것을 포용해주는 듯한 '포옹'이었다. 안아준다는 것이 얼마나 소중한 것인가를 알게 되었다. 착한 딸, 좋은 아내여서가 아니라, 더 많이 가지고 잘나서가 아니라 그저 나 있는 그 자체로서의 받아들임. 그런 사랑을 우리는 얼마나 바라고 있을까.
평소 사랑을 많이 준다고 생각했지만 상대는 '순수한 있음'으로 사랑받는다는 느낌을 온전히 느끼기 전까지 사랑을 끊임없이 갈구한다. 아이들뿐만 아니라 어른들도 자신이 의식하지 못하지만 '진짜 사랑'에 목말라 있다. 성공을 추구하고 끊임없이 인정받고 싶어 하는 것도 '사랑받고 싶다'는 욕망을 표현하는 것 중의 하나다. 어떤 조건들 때문에 인정받고 사랑받는다는 느낌은 그 어떤 성공으로도 자신의 마음을 충족시킬 수 없다. 그래서 남들에게 성공한 사람이라고 보이더라도 자신은 그것에 만족하지 못하고 계속 외부의 것을 쫓아다니게 된다. 물질적인 부와 사회적으로 인정받는 성공도 좋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나 있는 그대로의' 수용과 사랑이 우선이다. 그것 없이는 행복도 없다.
누구나 중요한 사람이라는 것을 모든 사람에게 알리고 정신적 상처를 치유하며 평화를 이루고자 시작한 프리허그(Free Hug). 색안경을 낀 오해로 왜곡되기도 하지만 그것의 원래 의미까지 퇴색되진 않았으면 좋겠다. 상대에 대해 아무것도 알지 못하지만 '당신 그 자체로 소중한 사람' 임을 표현할 수 있는 방법. '나 있는 그대로'가 수용되는 느낌을 전할 수 있는 포옹. 우리 모두 우주의 일부로 전체로서 하나다. 우리 모두가 소중한 사람이다. 경상도 토박이로 사랑을 표현하는 것에 있어 참 보수적이고 서툴지만 이제는 누구를 만나든 따뜻한 포옹으로 인사 나누고 싶다. 한국에서 포옹 인사가 편안해지려면 미리 약속이라도 해야겠지? 상대방이 당황하지 않으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