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작은세상 Jan 22. 2020

2만건 리뷰를 통해본 K-POP앱의 현 주소 (6부)

모두가 행복하던 시대에서 각자도생 시대로

목차


1부. K-POP 앱 : 전통강자 vs 신흥강자

         (Vlive vs Weverse)

2부. K-POP 앱 : 중간보스

        (최애돌, 아이돌챔프, 스타플레이)

3부. K-POP 앱 : 동영상 차별화를 노리는 주자들    

        (U+아이돌라이브, 어메이저, 뮤빗, 스밍)

4부. K-POP 앱 : 일정앱은 우리가 최고 (린더, 팬랩)

5부. K-POP 앱 : 사진, 시상식 투표, 차트.  우리도 주목해 주세요 (팬플러스, 팬앤스타, 후즈팬)

6부. 전망 (K-POP앱은 지속가능한 비즈니스인가)  


지난 회 복습을 원하면 클릭

 1부 복습하기 : 팬들의 리뷰를 보니 숨은 니즈가 보이더라.

 2부 복습하기 : 우리가 KPOP앱의 터줏대감이라구

 3부 복습하기 : 동영상 차별화를 노리는 주자들 

 4부 복습하기 : 일정앱은 우리가 최고  

 5부 복습하기 : 사진, 시상식 투표, 차트. 우리도 주목해주세요.

  

1. 국내 K-POP 관련 앱은 지속가능한 사업모델인가?

1) 비즈니스 유형별 구분

    - 네트워크 광고 (최애돌, 아이돌챔프, 스타플레이,

        뮤빗, 팬플러스, 팬앤스타, 후즈팬)

    - 브랜디드 PPL (어메이저)  

    - 유료 멤버쉽 (브이라이브, 위버스)

    - 디지털아이템 충전 결제 (브이라이브, 어메이저,

        스타플레이, 스밍, 팬플러스, 팬앤스타)     

2) 다운로드는 1위인 브이라이브는 수익을 맞추고 있는가?

     - 2020년까지 실질적인 BEP 맞추기 어려운 구조,

         장기적인 투자의 관점으로  봐줘야...

     - 네이버 콘텐츠 사업 매출에 포함되어 추정치 연간

         700~800억원 규모  

     - 글로벌 라이브 서비스 태생이라 인프라비용이 많이 듬

         겸직인원 제외 시 사업관련 인력은 100명 미만.

     

    자료 출처 : ‘CJ 케이콘과 다른 네이버 브이라이브 전략은?’(일문일답)       

3) KPOP 앱의 허리를 담당하고 있는 중간보스

    (최애돌, 아이돌챔프)는 상황이 좋은가?

    [최애돌]

     2019년은 매출 미공개이며, 2018년보다 감소

     예상 (KPOP 하반기 악재 영향)

     - 2018년 매출액 27억원, 영업이익 17억원    

         (영업이익율 62%)

      - 2017년 매출액 12.6억원, 영업이익 6.7억원

          (영업이익율 53%)        

    [아이돌챔프] 

      2018년 BEP 도달 (매출 미공개)  

     주요 수익모델은 광고 매출이며, 최근 커머스로 확장 중

     주요 사용자는 한국이며, 동남아 중심의 사용자 풀 확보


4) 스타트업에서 만든 앱은 아직 걸음마 단계

     어메이저 : 매출 비공개 , BEP 아직 못 맞춤  , 누적투자금

      20억원

     스밍 : 매출 비공개, BEP 아직 못 맞춤, 누적투자금

      25억원

     온라인 매출보단 오프라인 공간 (카페) 통한 매출 의존도

     높음

     린더 : 매출 2억원 (2018), 누적투자금 13억원, B2B용

     일정 관리 솔루션 제공 수익모델, B2B 광고포함  

     팬플러스 : 매출 비공개, 직원 10명, 투자금 비공개

     팬앤스타 : 언론사인 더 팩트가 운영하는 앱으로 매출

      비공개. 매출 비공개.

     모기업 더팩트 포함 전체 직원수 40~70명   


5) 든든한 모기업 지원 아래 안정적인 서비스 환경.

     우리는 꿈나무.

     U+아이돌라이브 : LGU+가 든든한 우산이 되어주니까.

     (매출 비공개)'

    뮤빗 : SBS콘텐츠허브&문화방송 합작법인.

      매출 62.5억원 (2018년 기준)

      Mubeat 외 OST 제작, 음악유통을 포함한 매출,

       자본금 20억원

    팬랩 : 아이크래프트 (네트워크 종합솔루션 제공회사)

    산하 신규 사업부서 , 모기업 675억원 매출 (2018)

    영업이익 6억원 (2018) , 팬랩 매출 비공개

 

 2. 2020년 K-POP 앱 시장 전망

      개인적인 입장에서 몇 가지 예상해보자면,

       1) K-POP 성장을 이끌었던 BTS의 군입대 (하반기)

             인한 공백 리스크

           - BTS 의존도가 높았던 서비스의 타격 (유입 감소)

       2) 새롭게 뜨는 아이돌 등장 여부

           - K-POP을 지탱하는 허리 그룹이 부재한 상황에서

              새롭게 데뷔하는 그룹들 (4대 기획사 데뷔생)

             선전 여부

       3) IP를 가지고 있는 업체와 미보유 업체간의 격차 심화

           - 초상권에서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방송사, 기획사

               앱에 비해 비교열위인 앱들의 하락세 예상

       4) 돈되는 해외 팬덤 (북미, 유럽) 확보 싸움

           - Tier1 시장의 팬덤이 돈이되나 그들의 지갑을

               열기위해 선투자 (재생환경, 라이브환경,

               디지털아이템,  IP) 를 지속할 수 있느냐의 여부

       5) 버티컬 영역의 앱들의 하락세

           - 일정 제공 , 고화질 사진, 도네이션을 통한 오프라인

               광고 집행등의 비즈니스는 하락세로 돌아설 것.

           -   플랫폼이 중계자 역할을 하기 어려운 시대

                 (스마트한 소비자가 직접 집행)

3. 서비스 사업자들은 어떻게 움직일까?

     1) 브이라이브 : 물들어오고 있어. 내실은 충분히

           다졌으니 수익성 개선을 위한 시간이야.

          - 스타와 팬이 함께 성장하는 영상 중심의 커뮤니티

              자리매김

          - FANSHIP (유료멤버쉽) 을 통한 디지털콘텐츠

              구독모델 정착

          - 분사를 통한 자금확보, 브이라이브의 글로벌

              커뮤니티 위상 굳히기

     2) 위버스 : BTS 로는 부족해. 기획사 추가합병으로 인한

               세 키우기                     

          - BTS , TXT외에 쏘스뮤직, 플레디스까지 인수하여

              '위버스'로 대동단결

          - 독점적인 IP를 통해 다운로드 1천만까지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      

     3) 최애돌, 스타플레이 : 모험대신에 잘하는 것 지키는데

              주력하자   

          - 우리가 잘하는 것 : 투표

          - 우리에게 필요한 것 : 유료 투표할 수 있는 타겟    

               (국내, 중국 등) 확보하자.

     4) 어메이저, 린더, 팬플러스, 팬앤스타 : 생존부터 하자

          - 확실한 BM모델을 발굴하기 위한 선택과 집중

     5) 스밍 : 오프라인 공간 확장을 노려보자

          -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수익성 분석은 끝났으니

              확장해보자.     

     6) 아이돌챔프 : 글로벌 팬덤을 어떻게 확보할까? 커머스

            활성화는 어떻게?

          - 기본 사용자는 확보했으니 scale up할 수 있는

             '꺼리'가 무엇일지 BM 테스트 원년으로 거듭나보자.  

     7) 후즈팬 : 한터차트의 영향력이 후즈팬까지 이어질까?

          - 한터차트는 KPOP에게 팬덤 화력을 측정할 수 있는

              중요한 기준

          - 후즈팬의 활동이 반영되는 스타차트에 대한 위상이

              올라가야 후즈팬 영향력도 동반상승되는 구조

          - KPOP 필수 덕질앱 포함여부가 승부를 가를 듯

            

      지금까지 리뷰를 통해 K-POP 앱에 대한 소비자 반응을

      살펴봤다. 더 나아가 시장성과 성장성이 있는지 간단하게

      살펴보았다.


      소비자는 점점 똑똑해지고 있다. 정의를 외치며,

      불합리한 구조를 개선하기 위해 직접 행동에 나서고 있

      다.


       지금까지 팬심, 덕심에 기대여 행복한 시간을 보냈던

       서비스 사업자들에게 2020년은 옥석을 가르는

       원년이 될 것으로 보인다.

 

       2020년말 어떤 기업들이 잘했는지 살펴볼 기회가 있길

       바라면서 리뷰를 마치고자 한다.  

매거진의 이전글 2만건 리뷰를 통해본 K-POP앱의 현 주소 (5부)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