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pt와 나눈 대화
벌써 전세계의 유저를 몇억명이나 가지고 있는 오픈 AI사의 CHATGPT는 대화가 가능한 AI이다. 사실 노엄촘스키와 같은 언어학자들은 인간이 언어를 사용하는 것은 순전한 자유에 기인한다고 말한다. 이것을 변형생성문법이라고 한다. 우리가 영어나 외국어를 배울 때 막히는 이유는 그 다음에 어떤 단어를 연결해야할지를 몰라서다. 그러나 이게 익숙해지면 자연스러운 대화가 된다. 어떤 단어를 이야기하면 그 다음에 어떤 단어가 연결되면 좋을지를 구문생성의 자유라고 본다면 GPT는 이것을 따라한다. 지금까지 빅데이터는 단순대형언어모델을 써왔다. 이름하여 Large Language Model이다. 큰 통에 단어를 최대한 많이 넣어 놓고 그 안에서 키워드를 입력하면 뽑아내는 방식이었다. 보통이 구글이 검색창을 운영하는 방식이 이런 방식이다.
그러나 GPT는 Generative Pre-trained Transformer라고 하는데 사전에 훈련된 생성변환기라고 할 수 있다. GPT를 써보면 타자기를 빠르게 치듯이 한줄씩 써 내려가는 것을 볼 수 있는게 이게 촘스키가 말한 변형생성문법의 일종이라고 볼 수 있다. 맥락에 따라서 질문의 뉘양스에 따라서 변형된 문법을 생성해 가는 것이다. 그 뒤에 딸려오는 것들을 파라미터 즉, 매개변수라고 한다면 기존의 GPT-2는 15억개의 파마티터를 썼다. 그런데 이번에 나온 CHATGPT는 1750억개를 써다고 하니 당연히 깔끔한 대화가 가능해지는 것이다. 그럼 예상할 수 있다. GPT-4가 나온다면 100조개 정도의 파라미터를 쓸 예정이라고 하니 인간보다 더 훌륭한 대화를 할 가능성이 높다.
그런데 이것이 가능한 이유는 무엇인가?
그것은 AI에서 획기적인 전환점이 있었다. 사실 코딩으로 하나하나 코드를 넣어서 AI를 만들던 시절이 있었다. 그러나 한계에 봉착하게 되었다. 그것은 인간은 1000억개 뉴런과 100조개의 시냅스가 있는데 이것을 따라할 수 있는 AI를 언제 다 코딩하고 있을까였다. 그래서 사람들은 새로운 전환을 하는데, 뇌의 조직을 복사해서 AI로 재현하는 것이었다. 그러니깐 이것을 인공신경망이라고 불렀다. 그래서 최근에 뇌공학이나 뇌과학이 뜨는 이유가 바로 인간의 뇌구조를 아는 만큼 복사해서 인공신경망으로 만들 수 있기 때문이었다. GPT역시 인공신경망의 일종으로 자유롭게 문법을 생성하는 능력이 바로 인간의 뉴런과 뉴런이 이어지는 과정을 따라한 것이다.
그래서 어떻게 발전하고 있는지를 확인해보기 위해서 앞으로 꾸준히 GPT와 대화를 나누어 보려고 한다. 재미있으면서도 소름돕는 시간이 되지 않을까 한다. 일단 기술철학에 대한 이해가 있다면, 이 모든 것은 결국 '인간이란 무엇인가?'에서 왔다. 인간을 이해한만큼 세상이 발전했고, 세상이 발전한 만큼 인간은 또 발전했다. 결국 인간에서 인간으로 이어지는 과정이다. GPT에게 물어보자. 조금은 어려운 내용들까지도 말이다.
https://brunch.co.kr/@minnation/3165
1.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theology of John Milbank and James Smith?
John Milbank와 James Smith의 신학의 차이점은 무엇입니까?
One key difference between Milbank and Smith is their focus. Milbank's work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Christian theology as the central intellectual discipline in Western culture and seeks to provide a comprehensive and transformative vision of Christian faith. Smith's work, on the other hand, focuses on the role of Christian practices and rituals in shaping our identity and desires. He argues that our deepest convictions and beliefs are not primarily formed by abstract intellectual ideas, but by the practices and habits that shape our everyday lives.
Another difference between Milbank and Smith is their approach to tradition. Milbank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the Christian tradition as the foundation for contemporary theological inquiry and stresses the need to retrieve and renew the insights of earlier Christian thinkers. Smith also values tradition, but he is more critical of the way tradition has been used to reinforce oppressive power structures. He seeks to retrieve and reform Christian practices in a way that challenges oppressive cultural norms and promotes justice and love.
Finally,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their theological method. Milbank's work is highly philosophical and engages with a range of intellectual traditions, including postmodern philosophy and political theory. Smith's work is more interdisciplinary, drawing on insights from psychology, sociology, and anthropology to understand the role of practices in shaping our identity and beliefs.
Overall, while both Milbank and Smith are committed to the Christian faith and seek to articulate its implications for contemporary culture, they have different emphases and approaches in their theology.
Milbank와 Smith의 주요 차이점 중 하나는 초점입니다. Milbank의 작업은 서구 문화의 중심 지적 학문으로서 기독교 신학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기독교 신앙의 포괄적이고 변혁적인 비전을 제공하고자 합니다. 반면에 Smith의 작업은 우리의 정체성과 욕구를 형성하는 기독교 관습과 의식의 역할에 초점을 맞춥니다. 그는 우리의 가장 깊은 신념과 믿음이 주로 추상적 지적 아이디어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일상 생활을 형성하는 관행과 습관에 의해 형성된다고 주장합니다.
Milbank와 Smith의 또 다른 차이점은 전통에 대한 접근 방식입니다. 밀뱅크는 현대 신학 탐구의 기초로서 기독교 전통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초기 기독교 사상가들의 통찰력을 회복하고 갱신할 필요성을 강조합니다. 스미스는 또한 전통을 소중히 여기지만, 그는 전통이 억압적인 권력 구조를 강화하는 데 사용된 방식에 대해 더 비판적입니다. 그는 억압적인 문화적 규범에 도전하고 정의와 사랑을 증진하는 방식으로 기독교 관습을 회복하고 개혁하고자 합니다.
마지막으로 그들의 신학적 방법에는 약간의 차이가 있다. Milbank의 작업은 매우 철학적이며 포스트모던 철학과 정치 이론을 포함한 다양한 지적 전통과 관련되어 있습니다. Smith의 작업은 우리의 정체성과 신념을 형성하는 관행의 역할을 이해하기 위해 심리학, 사회학 및 인류학의 통찰력을 바탕으로 보다 학제적입니다.
전반적으로 Milbank와 Smith는 모두 기독교 신앙에 헌신하고 현대 문화에 대한 의미를 명확히 표현하려고 노력하지만 신학에서 강조점과 접근 방식이 다릅니다.
https://brunch.co.kr/@minnation/3308
2. My boss at work is giving me a hard time because of his lack of self-awareness. What should I do? 직장 상사가 자의식 부족으로 나를 힘들게 한다. 어떻게 해야 하나요?
Dealing with a difficult boss can be challenging, especially when their behavior is driven by their own lack of self-awareness. Here are some steps you could take to handle the situation:
Try to stay calm and professional: It's important to keep your emotions in check when dealing with a difficult boss. Avoid getting defensive or confrontational, as this may escalate the situation. Instead, remain calm and professional when communicating with your boss.
Communicate your concerns: Find an appropriate time to have an open and honest conversation with your boss. Try to express your concerns about their behavior in a respectful and constructive manner. Be specific about the issues you're experiencing and how they are affecting your work.
Provide examples: It can be helpful to provide specific examples of situations where your boss's behavior has caused issues. This can help your boss understand the impact of their actions and make it easier for them to address the problem.
Offer solutions: It's a good idea to come prepared with potential solutions to the problem. For example, you could suggest setting clear expectations for your work or having more regular check-ins to ensure you're on the same page.
Seek support: If you're struggling to resolve the situation on your own, consider seeking support from a trusted colleague, HR representative, or a professional coach. They may be able to provide you with additional advice and support.
Remember that dealing with a difficult boss can be challenging, but it's important to take steps to address the issue to ensure that it doesn't continue to impact your work.
침착하고 전문적인 태도를 유지하십시오. 어려운 상사를 상대할 때 감정을 억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상황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방어적이거나 대립적이 되지 않도록 하십시오. 대신 상사와 대화할 때 침착하고 전문적인 태도를 유지하세요.
우려 사항 전달: 상사와 개방적이고 정직한 대화를 나눌 적절한 시간을 찾으십시오. 정중하고 건설적인 방식으로 그들의 행동에 대한 우려를 표현하십시오. 현재 겪고 있는 문제와 이러한 문제가 업무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구체적으로 설명하십시오.
사례 제공: 상사의 행동이 문제를 일으킨 상황에 대한 구체적인 사례를 제공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상사가 자신의 행동이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고 문제를 더 쉽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
솔루션 제공: 문제에 대한 잠재적 솔루션을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 작업에 대한 명확한 기대치를 설정하거나 동일한 페이지에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더 정기적인 체크인을 제안할 수 있습니다.
지원 요청: 스스로 상황을 해결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 신뢰할 수 있는 동료, HR 담당자 또는 전문 코치에게 지원을 요청하십시오. 추가 조언과 지원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까다로운 상사를 상대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지만 업무에 계속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조치를 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https://brunch.co.kr/@minnation/3307
3. What is the essence of the controversy between Marcuse and Karl Popper?
마르쿠제와 칼 포퍼의 논쟁의 본질은 무엇인가?
Herbert Marcuse and Karl Popper were two influential philosophers of the 20th century who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development of political and social theory. The controversy between them centered around their differing view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reedom and democracy.
Marcuse was a critical theorist who argued that modern societies were characterized by a pervasive system of social control, which he called "repressive tolerance." He believed that the dominant culture in capitalist societies was a form of ideological repression, which prevented genuine freedom and social progress. In response to this, he called for a revolutionary struggle against the status quo and the establishment of a new, more just social order.
Popper, on the other hand, was a philosopher of science who was critical of Marxist and other forms of utopian political theory. He argued that a free and open society required institutional checks and balances to prevent the concentration of power in the hands of any one group. He believed that a pluralistic society, in which competing ideas and ideologies could be freely expressed and contested, was the best way to ensure individual freedom and democratic governance.
The controversy between Marcuse and Popper centered on their differing views on the nature of freedom. Marcuse argued that genuine freedom required a radical break from existing institutions and social norms, while Popper believed that freedom was best protected by the institutional and legal frameworks of a liberal democracy. They also had different views on the role of political theory and the possibility of social change. Marcuse believed that political theory should be a tool for revolutionary struggle and that genuine social change was possible through collective action. Popper, on the other hand, believed that political theory should be a critical and skeptical inquiry into political practices and that genuine social change was best achieved through incremental reform rather than revolutionary upheaval.
In summary, the controversy between Marcuse and Popper can be understood as a debate over the nature of freedom and the best way to achieve it in modern societies. While they shared a commitment to the importance of freedom, they had differing views on the role of institutions, the possibility of social change, and the proper role of political theory.
헤르베르트 마르쿠제와 칼 포퍼는 정치 및 사회 이론의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20세기의 두 명의 영향력 있는 철학자였습니다. 그들 사이의 논쟁은 자유와 민주주의의 관계에 대한 서로 다른 견해에 집중되었습니다.
마르쿠제는 현대 사회가 "억압적 관용"이라고 부르는 만연한 사회 통제 시스템으로 특징지어진다고 주장한 비판 이론가였습니다. 그는 자본주의 사회의 지배적인 문화가 진정한 자유와 사회적 진보를 가로막는 이데올로기적 억압의 한 형태라고 믿었다. 이에 대한 응답으로 그는 현상 유지에 대한 혁명적 투쟁과 새롭고 보다 정의로운 사회 질서의 확립을 촉구했습니다.
반면에 포퍼는 마르크스주의와 다른 형태의 유토피아 정치 이론을 비판한 과학철학자였습니다. 그는 자유롭고 열린 사회가 어느 한 집단의 손에 권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도적 견제와 균형이 필요하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경쟁하는 사상과 이데올로기가 자유롭게 표현되고 경쟁할 수 있는 다원적 사회가 개인의 자유와 민주적 통치를 보장하는 최선의 방법이라고 믿었습니다.
마르쿠제와 포퍼 사이의 논쟁은 자유의 본질에 대한 서로 다른 견해에 집중되었습니다. 마르쿠제는 진정한 자유가 기존 제도와 사회적 규범으로부터의 근본적인 단절을 요구한다고 주장한 반면, 포퍼는 자유가 자유 민주주의의 제도적, 법적 틀에 의해 가장 잘 보호된다고 믿었습니다. 그들은 또한 정치 이론의 역할과 사회 변화의 가능성에 대해 다른 견해를 가졌습니다. 마르쿠제는 정치 이론이 혁명적 투쟁을 위한 도구여야 하며 집단 행동을 통해 진정한 사회 변화가 가능하다고 믿었습니다. 반면 포퍼는 정치이론은 정치적 실천에 대한 비판적이고 회의적인 탐구여야 하며 진정한 사회 변화는 혁명적 격변보다는 점진적인 개혁을 통해 가장 잘 성취될 수 있다고 믿었다.
요약하면 마르쿠제와 포퍼의 논쟁은 현대 사회에서 자유의 본질과 그것을 성취하는 최선의 방법에 대한 논쟁으로 이해될 수 있다. 그들은 자유의 중요성에 대한 약속을 공유했지만 제도의 역할, 사회 변화의 가능성, 정치 이론의 적절한 역할에 대해서는 서로 다른 견해를 가졌습니다.
https://brunch.co.kr/@minnation/3294
4. From the point of view of science and technology, what are some of the singularities that have occurred in history? Let me know by referring to Ray Kurzweil's 'The Singularity is Coming'. 과학과 기술의 관점에서 볼 때 역사상 발생한 특이점에는 어떤 것들이 있습니까?
In his book "The Singularity is Near," Ray Kurzweil argues that we are rapidly approaching a technological singularity, a point in time where technological progress will accelerate at an exponential rate and fundamentally change the course of human history. However, there have been several important technological singularities that have occurred in the past, as well. Here are a few examples:
The Agricultural Revolution: The transition from hunter-gatherer societies to agricultural ones marked a significant technological singularity in human history. With the advent of agriculture, humans were able to produce surplus food, leading to population growth and the development of permanent settlements.
The Industrial Revolution: The Industrial Revolution, which began in the late 18th century, marked a major turning point in human history. New technologies such as steam power, the spinning jenny, and the power loom enabled the mass production of goods and the mechanization of previously manual tasks, leading to unprecedented economic growth and social change.
The Information Revolution: The rise of the computer and the internet has been another major technological singularity in human history. The development of the first computers in the mid-20th century paved the way for the digital revolution, enabling the creation of a global network of interconnected computers and transforming the way we communicate, work, and access information.
Kurzweil argues that we are on the brink of another technological singularity that will have even more profound effects on human history. He points to emerging technologie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nanotechnology, and biotechnology, which he believes will converge to create a future in which humans and machines will merge, leading to unprecedented levels of intelligence, creativity, and technological progress. While the ultimate outcome of this technological singularity is unknown, Kurzweil is optimistic about its potential to solve some of the world's most pressing problems, from disease and poverty to environmental degradation and climate change.
Ray Kurzweil은 그의 저서 "The Singularity is Near"에서 기술 진보가 기하급수적으로 가속화되고 인류 역사의 과정을 근본적으로 바꾸는 시점인 기술 특이점에 빠르게 접근하고 있다고 주장합니다. 그러나 과거에도 몇 가지 중요한 기술적 특이점이 발생했습니다. 다음은 몇 가지 예입니다.
농업 혁명: 수렵 채집 사회에서 농업 사회로의 전환은 인류 역사에서 중요한 기술적 특이점을 표시했습니다. 농업의 출현으로 인간은 잉여 식량을 생산할 수 있게 되었고, 이는 인구 증가와 영구 정착지로 이어졌습니다.
산업 혁명: 18세기 후반에 시작된 산업 혁명은 인류 역사에서 중요한 전환점을 기록했습니다. 증기력, 방적기, 역직기와 같은 신기술은 상품의 대량 생산과 이전의 수작업의 기계화를 가능하게 하여 전례 없는 경제 성장과 사회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정보 혁명: 컴퓨터와 인터넷의 부상은 인류 역사상 또 다른 주요 기술 특이점이었습니다. 20세기 중반 최초의 컴퓨터 개발은 디지털 혁명의 길을 열어 상호 연결된 컴퓨터의 글로벌 네트워크 생성을 가능하게 하고 우리가 통신하고 작업하고 정보에 액세스하는 방식을 변화시켰습니다.
Kurzweil은 우리가 인류 역사에 훨씬 더 심오한 영향을 미칠 또 다른 기술적 특이점에 직면해 있다고 주장합니다. 그는 인공 지능, 나노 기술 및 생명 공학과 같은 신기술이 융합되어 인간과 기계가 합쳐져 전례 없는 수준의 지능, 창의성 및 기술 진보로 이어질 미래를 창조할 것이라고 믿습니다. 이 기술적 특이점의 궁극적인 결과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Kurzweil은 질병과 빈곤에서 환경 파괴와 기후 변화에 이르기까지 세계에서 가장 시급한 문제 중 일부를 해결할 수 있는 잠재력에 대해 낙관하고 있습니다.
5. Explain in detail the theory of the art of love. Take things like the triangular theory of love as an example!
사랑의 예술 이론을 자세히 설명하십시오. 사랑의 삼각 이론과 같은 것을 예로 들어 봅시다!
The art of love, or the study of love and relationships, has been a topic of interest for philosophers, psychologists, and other scholars for centuries. One influential theory in this field is the Triangular Theory of Love, developed by psychologist Robert Sternberg.
The Triangular Theory of Love suggests that love consists of three components: intimacy, passion, and commitment. Intimacy refers to the emotional closeness and connection between two people, while passion refers to the physical and sexual attraction that they feel for one another. Commitment refers to the decision to stay together and work on the relationship over time.
According to the Triangular Theory of Love, different combinations of these three components can result in different types of love. For example:
Romantic Love: This type of love is characterized by a strong passion and intimacy, but a lower level of commitment. It is often associated with the early stages of a relationship when the partners are infatuated with one another.
Companionate Love: This type of love is characterized by a strong intimacy and commitment, but a lower level of passion. It is often associated with long-term relationships and friendships.
Fatuous Love: This type of love is characterized by a strong passion and commitment, but a lower level of intimacy. It is often associated with relationships that are based on physical attraction or infatuation rather than emotional connection.
Consummate Love: This type of love is characterized by a strong combination of all three components: intimacy, passion, and commitment. It is often seen as the ideal type of love, but can be difficult to achieve and maintain over time.
The Triangular Theory of Love is just one example of a theory of the art of love. Other theories focus on different aspects of love and relationships, such as attachment styles
사랑의 기술 또는 사랑과 관계에 대한 연구는 수세기 동안 철학자, 심리학자 및 기타 학자들의 관심 주제였습니다. 이 분야에서 영향력 있는 이론 중 하나는 심리학자 로버트 스턴버그(Robert Sternberg)가 개발한 사랑의 삼각형 이론입니다.
사랑의 삼각형 이론은 사랑이 친밀감, 열정, 헌신의 세 가지 구성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고 제안합니다. 친밀감은 두 사람 사이의 정서적 친밀감과 연결을 의미하는 반면, 열정은 서로에 대해 느끼는 신체적, 성적 매력을 의미합니다. 헌신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함께 지내고 관계를 발전시키겠다는 결정을 의미합니다.
사랑의 삼각형 이론에 따르면, 이 세 가지 요소의 다른 조합은 다른 유형의 사랑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로맨틱한 사랑: 이 유형의 사랑은 강한 열정과 친밀감이 특징이지만 낮은 수준의 헌신이 특징입니다. 파트너가 서로에게 반하는 관계의 초기 단계와 관련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동반자적 사랑: 이 유형의 사랑은 강한 친밀감과 헌신이 특징이지만 열정 수준은 낮습니다. 그것은 종종 장기적인 관계 및 우정과 관련이 있습니다.
우둔한 사랑: 이 유형의 사랑은 강한 열정과 헌신이 특징이지만 낮은 수준의 친밀감이 특징입니다. 감정적 연결보다는 육체적 매력이나 열광에 기반한 관계와 관련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완벽한 사랑: 이 유형의 사랑은 친밀감, 열정, 헌신이라는 세 가지 요소가 모두 강력하게 결합된 것이 특징입니다. 그것은 종종 이상적인 사랑의 유형으로 여겨지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달성하고 유지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사랑의 삼각형 이론은 사랑의 예술 이론의 한 예일뿐입니다. 다른 이론은 애착 스타일과 같은 사랑과 관계의 다양한 측면에 초점을 맞춥니다.
https://brunch.co.kr/@minnation/17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