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정선생 Feb 24. 2023

문학박사입니다

2012년에 박사 입학을 하고, 2014년 2월에 수료했다. 2016년 여름에 발표를 하고 심사를 하반기에 받았던 것 같다. 2017년 2월에 졸업했다.


오랜만에, 회식 후 잠이 오지 않았다.

낯가림이 심한 것도 있고, 집으로 돌아가고 싶은 욕망이 크고 해서 회식 2차는 언제나 부담스럽다.

물론, 그냥 조용히 사라지는 게 가장 좋은데, 그 마저도 쉽지 않았다.

그게 마흔이 된 대한민국 남자의 좋지 않은 특성 가운데 하나일 것만 같다.


모두가 선배여서 그랬을까? 박사논문을 집필하고 있는 분들이 많아서 그랬을까? 우수 학술 논문 상을 받은 분이 내 앞에 계셔서 그랬을까?

박사논문을 받고서도 여전히 고민(고통) 속에서 살아가는 분이 있어서 그랬을까?

지방대학의 박사라는 열등감 때문일까, 한국어 교육 기관이 아니라 종합대학 내 한국어 전공 학과라는 구실로 비전공자(국문학박사)가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는 자격지심 때문일까?

혹은 이제 곧 배출될 수많은 한국어교육학박사들 앞에 있는 데서 오는 불안감 때문이었을까.


아니다.

시시한 농담과 지나간 추억을 곱씹는 동안에도, '학위'와 '생계'의 문제가 계속해서 끼어들었기 때문이었을 것 같다.

모두가 웃으며 이야기를 나누지만, 생계 앞에서는 어쩔 수 없이 경쟁해야 하는 처지에 놓일 수 있음을 알기 때문이었을 것 같다.

스스로는 아무 생각(욕심)도 없다고 말하지만, 꿈, 취향, 성향, 적성보다 앞서는 것은 결국, '생계'이기 때문일 것 같다.


그렇게 나는 속물이 된다.

전공 박사라는 막강한 자격을 준비하는 이들 곁에서

내가 준비할 수 있는 다른 자격들에 관해서 생각하면서,

술 한잔 기울이지 않은 채 대화에 끼어들고 있음은 상당한 고통이었던 것도 같다.


오랜만에, 회식 후 잠이 오지 않았다.

술에 취하지 않았음은 불행이자 다행.

술을 끊었노라 말한 건 자충수이자 신의 한 수.

취하지 않고는 살아갈 수 없는 세상에서,

취하면 무너져 내릴 것 같은 불안을 안고.


집으로 돌아오는 길, 모두가 광역시민이기에 같은 곳을 향한다.

"어떻게 모두 이쪽으로 오네요."
"아, 저는 이제 가 보겠습니다."


경남도민인 나는 다른 방향으로 빠진다.

그들이 나를 간단히 배웅한다.


"그래, 건강 잘 챙겨래이"


고 싶지 않았지만, 닮을 수밖에 없었던 선배가

손 내밀며 인사한다.

키가 크다.


"네, 봄이 오면 한번 봬요."


그는 확답하지 않았다. 봄이 온다는 사실을 믿지 않았던 걸까,

만나고 싶지 않았던 걸까.


땀이 난다.

그렇게 봄이 오고 있었다.

매거진의 이전글 강사? 글 쓰는 용기를 주는 사람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