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완전한 병식

by 무아 Apr 06. 2025

조울증의 치료에는 환자 본인이 병식을 갖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병식이란 병에 대한 인식. 즉 내가 나의 상태를 객관적으로 알고 있는 상태를 말한다. 주치의와의 면담을 통해서 처방이 내려지기 때문에 스스로가 생각하는 현재 자신의 증상이 정신병 진단에 있어서 큰 역할을 한다.


조울증의 경우 병식을 갖기가 매우 어렵다. 가장 큰 이유는 정신질환에 대한 거부감과 조울증이라는 병명에 대한 거부감 때문인 것 같다. 조울증 초기 환자는 그저 컨디션이 안 좋거나 일시적으로 예민해져서 기분의 업다운이 심해졌을 뿐 심각한 병이 아니라고 넘겨짚기 쉽다. 그래서 입원을 할 만큼 증상이 심각해졌을 때에야 겨우 병식을 갖고 치료를 시작하는 경우가 많다.       


나의 경우에도 두 번째 입원을 하고 나서야 완전한 병식이 생겼다. 처음 조울증임을 듣고 나서는 ‘나에게 왜?’라는 생각이 가장 먼저 들었다. 조울증 발병률은 2~3%고, 그중에서도 1형은 1% 내외라는데, (정확한 수치는 아닐 수 있다.) 100명 중에 1명 꼴로 걸리는 불운에 내가 당첨되었다니. 억울하고 원통했다.


아니 그전에 믿을 수가 없었다. ‘의사가 아무리 잘 안다고 해도 내 몸은 내가 아니까. 지금 내가 괜찮으면 괜찮은 거니까.’라고 생각했다. 자가진단을 통해 ‘나는 조울증이 아니다. 나는 정상이다.’라고 결론짓고 일상의 평화를 유지하려 애썼다. 1년 만에 조울증이 재발하고 난 뒤에서야 내가 조울증임을 인정하고 내 병을 똑바로 마주 보게 되었다.       


내가 힘들 때마다 읽는 시가 있는데, 바로 시인 류시화 씨가 번역한 샤를르 드 푸코의 ‘나는 배웠다’라는 시이다. 아래에 적은 것은 그중 한 구절이다.

나는 배웠다

삶은 무슨 사건이 일어나는가에 달린 것이 아니라

일어난 사건에 어떻게 대처하는가에 달린 것임을     


삶은 예기치 못한 일들의 연속이다. 내가 조울증에 걸릴 것이라는 것도 나를 포함해 우리 가족들 중 누구도 예상하지 못한 일이다.

그럼에도 살아간다. 매일매일 닥치는 새로운 어려움에 우리는 모두 저마다의 방식으로 대처하며 살아간다. 삶은 무슨 사건이 일어나는가가 아닌, 일어난 사건에 어떻게 대처하는가에 달린 것이다.           

이전 07화 심리 상담

브런치 로그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