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나무산책 Aug 16. 2019

인종차별의 비밀이 풀리다.
'몽골' 쇼크

유럽 살이 극한 고독의 여정 - 나의 인종차별 경험 3편


 소위 '서방 선진국'이라는 곳을 여행이나 다녀봤지 실거주인으로써 생활한 것은 처음이었던 내게, 실제 생활 속에서의 인종차별 경험은 매우 불쾌하고 때론 서럽기까지 한 것이었다. 그리고 시간이 지날수록, 

 '그들의 그것'은 단순한 편견이 아닌 '매우 뿌리 깊은 어떤 것'이라는 느낌이 나로하여금 많은 생각을 하게 하였다.
 특히 이 땅에서 존재를 걸고 무언가를 성취하여야 할 때, 그것은 크나큰 장벽으로 작용하여 '생의 좌절감'까지 맛보게 할 수 있는 매우 위험한 것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프랑스에서 알게 된 한국인 청년이   있었다그는 이미 한국에서 대학을 졸업하고 세계적인 음악학교라는 '프랑스 명문 음대'에 입학하여 작곡 공부를 하던 친구였다수수하고 반듯한 인상을 풍기던  친구가 연주도 아닌 작곡으로  땅에서 어떤 성장을 하게 될지도 궁금했고  되기를 바랐다. 그런데 어느 날 그 친구가 갑자기 한국으로 돌아간다는 것이었다왜냐고 묻는 나에게 그냥 헛웃음을 날리던  모습이 많이 쓸쓸해 보여서 귀국  인사도   차 한잔 하며 보았다.  친구가 말했다"여기서는 안 되겠어요" 
   
 
 뒤로 이어지던  친구의 말을 듣는 내내 마음이 아팠다"아시죠여기서는 동양인 남자가 강아지보다 서열이 아래라는 "그래도 제가 기다렸었거든요언젠가는 알아주겠지그런데 얘네들은요그냥 '아무 관심이 없어요우리들한테" 
 
 "
제가 마지막으로  했게요? 우리네 전통그림곡으로 만들어서 그걸 발표했어요근데 얘들이 어떻게 했게요하하.. 누구도 진지하게 관심을 가지기는커녕 아무도 이해를 못해요아니 이해하려고를 안 해요. '쟤는 무슨 저런 이상한 걸 들고 나왔지?'  다들 그런 얼굴로.. 하하..."  
 친구는 연신 자조 섞인 웃음을 띠며 힘없이 앉아있었다
 
 
 젊은 청년이, '문화대국'이라는  땅에 처음 왔을  어떤 마음으로 왔었을까, 얼마나  설렘을 안고 왔었을까 생각하니  아팠고, 그 모든  '박탈당해버린지금 얼마나 마음이 아플까 싶으니 많이 속상하였다. "한국 가면 뭐하려고요" " 그냥  벌거예요"
  
  
그렇게 그날내가 그 청년을 위해 해줄 수 있던 것은 한국에서 가져온 붕어빵 틀로 만든 '붕어빵 두 개'와 한국서 가져 온 '한방차 한 잔'이 다였다. 연신 고맙다 말을 건네던  친구의 마지막 모습이 아직도 눈에 선하다넉넉히 만들어서    싸줄걸.
 
 
 왜 '동양인'이 아니고 '동양인 남자'일까. 여러가지 이유가 있지만 여하튼 
애완동물을 끔찍이 아끼는 여기 문화에 빗대어 동양 남자는 '강아지 아래'라는 농담 아닌 농담이 실제로 존재한다. 그래봤자 결론은 인종차별에 성별 구분 없으며 그 서열판의 맨 윗자리는 언제나 '백인'의 차지이다. 
 

지난 7월 프랑스 한 TV방송 출연자들의 노골적인 '동양인 비하' 포즈가 전파로 나간 장면 (원본사이트: http://bitly.kr/SGKV2TV

 
 더 놀라운 건 바로 '아이들의 놀이' 속에 '문화'로 존재하던 인종차별 관점이었다.
 
 아이가 한참 더 어렸던 어느 날 학교를 다녀온 아이가 말했다. "엄마 재밌는 거 알려줄게. 잘 봐봐"  
 "우리 아빠는 중국사람, 우리 엄마는 일본 사람, 그러니 나는 못난이" 저 문장에는 '손동작'이 함께 포함되어 있다. '중국인 아빠'를 말할 때는 양쪽 눈을 위로 찢어지게 하고, '일본인 엄마'를 말할 때는 양쪽 눈을 아래로 찢어지게 한 후, 그들의 아이는 한쪽 눈은 위로 한쪽 눈은 아래로 찢어진 채로 생겨 나와 '못난이'가 된다는 것이었다. 아. 가슴이 철렁했다.
 
 "누가 그런 걸 했어?" 내가 물었다. "응? 학교에서 애들이 다 하는데?" 아이가 답했다.
 아직 어렸던 우리 아이도 저게 무슨 뜻인지를 모르면서 '친구들 따라서' '그냥 재밌으니까' 같이 히히덕거리며 놀았던 것이었다. 그게 무엇을 뜻하는지 알려줘야 했다. "근데 그게 무슨 말인 줄 알아? 엄마 같은 동양인들 눈이 '찢어졌다'는 것을 빗대서 동양사람들을 '바보 같다고' 놀려먹는 말이야. 무슨 말인지는 알고 있어야지. 다른 친구들에게도 얘기해줘. 그건 좋은 게 아니라고" 
 
 그러나 내가 '그들의 뿌리 깊은 무의식적 차별'에 대해 진실로 충격을 받은 지점은 따로 있었다. 
 '그들의 언어' 안에 선명하게 내포되어 있는 '동양인 비하'가 그것이었다.
 
 오래전 남편과 아이와 함께 길을 걷다가 '다운증후군' 아이를 본 날이었다. 우리 아이는 어딘지 조금 다르게 생긴 그 아이를 바라보다가 아빠에게 물었다. "아빠 저 사람 얼굴이 좀 이상해. 왜 그래?"  "응. 태어날 때부터... '몽골'이라 불리기도하는 사람들이야"  처음에 나는 내 귀를 의심했었다. 남편에게 물었다. 
 
 "방금 뭐라고 했어? 몽골?" "응, 몽골" "왜 저 사람이 '몽골'이야? '다운'이라고 하는 거 아냐?" "우리는 보통 그렇게 많이 불러. 미안하지만... 그래" 
 
 나는 진심으로 충격받았었다. '다운 증후군'을 부르는 이름이 '몽골'이라니!  
 찾아보니 이 병을 처음 발견한 당시 영국 의사가 기술하기를 '환자 용모가 Mongol(몽골계)을 닮았으며' 설상가상으로 '퇴보한 격세유전(reversion)의 결과 우수한 백인종이 열등한 동양 인종으로 퇴화 변이를 일으킨 상태'라는 가설을 내세웠었다고 한다. 그게 1866년. '몽고 정부의 요청을 수락하여'  WHO에서 'Mongolism(몽골리즘)'을 의학용어에서 삭제한 게 겨우 1965년. (참고: http://bitly.kr/OHKW2D)  

 
 아. 저들의 뿌리 깊은 인종차별 문화가 이것 하나로 그냥 이해가 되었다. 그랬다. 저들에게 동양인인 우리는 그냥 처음부터 싸잡아 '몽골'이었던 거다. 그 뜻 그대로.
 
 그렇기에, 150
년간 서방국가들에서 '통용'되었던 '몽골'이라는 용어는, 150년간 그들의 무의식에 차곡차곡 새겨져 아이들 놀이문화에까지 둥지를 틀 수 있었던 것이었다. 





프랑스가 이슬람을 대하는 자세


프랑는 아프리카 독재정권을 지지해왔다



이전 19화 프랑스에서 가장 '비천한 계급', 말 못하는 동양인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