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놀마드 노을 Jun 11. 2024

확실한 불행과 흐릿한 행복 속에서 살아가기


얼마 전에 예전 회사의 동기들을 만났다.

1년 전에 회사를 그만둔 이후, 모임에 나가서 요새 뭐 하냐는 질문에 답을 하는 것은 마치 통과의례 같다.

아직도 놀고 있다는 나의 말에 동기는 깜짝 놀란다.



"아직도? 벌써 1년 지났잖아?"


"어, 그렇게 됐어. 더 놀려고."



웃으며 말했지만 사실은 정말 답답했다.


나는 아직도 뭘 해야 할지를 잘 모르겠고, 그렇다고 애매하게 취직하기도 싫었고, 더 솔직히는 들어갈 곳이 마땅치 않았다.

이게 30대 중후반 물경력 여자백수의 현실이다.








인간의 망각의 동물이기에 기억은 점점 희미해지면서 미화된다.

회사에서 겪었던 고통은 잊어버리고 뭔가에 몰입했던 그 순간이 그리워진다.

어딘가 에너지를 쏟고 몰두하고 싶은데 아직 그 대상을 찾지 못했다.

무엇이든 일처럼 느껴지면 금방 지쳐버렸다.

아직 흥미가 생기는 걸 못 찾아서인지 덜 쉰 건지 잘 모르겠다.


그리고 무엇보다 아쉬운 건 월급, 돈이다.

무얼 하나 하더라도 통장잔고를 확인하며 망설이고 고민한다.


퇴사한 지 1년이 지나가는 시점에서도 여전히 그대로인 내 상태를 보니 앞이 캄캄해지면서 답답해진다.

불안감은 커지고 점점 지쳐간다.









그래서 퇴사한 걸 후회해?라고 묻는다면 '그땐 그게 최선이었어.'라고 말할 수 있다.

정말 많은 고민 끝에 퇴사했기에 돌아가도 같은 선택을 했을 것이다.

그렇다면 후회한들 무슨 소용이며 후회해도 돌아갈 수 없다. 돌아가고 싶지도 않다.

아침 7시에 슬쩍 눈을 떴을 때 출근준비를 하지 않아도 된다는 달콤함이 너무 크다.



어떤 순간에도 100% 완벽한 적은 없었다.

항상 만족과 결핍이 공존했다.

직장인일 때는 퇴사를 꿈꿨고 백수가 되고 나서는 어떻게 밥벌이를 해야 하나 고심한다.

수많은 불행 속에서 희망을 찾으며 살아야 한다는 걸 다시 깨닫는다.

직장인일 땐 월급을 바라보며 하루하루 버텨나갔던 것처럼

지금의 나에게 가장 확실한 행복인 '내게 허락된 자유'를 바라봐야 한다.


드라마 '안나'의 대사 중



거의 대부분의 상황에서 불행은 행복보다 힘이 세고 강력하다. 확실하고 뚜렷하다.

그걸 알면서도 우리가 살아갈 수 있는 건, 불확실한 희망을 추구하는 것과 예측할 수 없는 인생을 살아가는 모습이 너무 닮아 있기 때문이다.



불완전한 인생을 살아가는 힘은, 알 수 없고 보장되지 않는 희망과 행복이 있기에 생겨난다.

여전히 나는 헤매고 있고 정해진 건 아무것도 없지만, 알 수 없는 인생을 하루하루 살아가듯이 흐릿하지만 오직 나만이 누릴 수 있는 행복을 찾으며 의연해지는 법을 배워간다.







태어난 김에 잘살고 싶었어 브런치북 연재를 마무리합니다 ^ ^

새로운 글로 다시 돌아오겠습니다. 읽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_ _)




이전 18화 나를 살려준 어릴 적 친구, 글쓰기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