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군가가 커피를 마시다 쏟아버리면, 여러분은 어떻게 하시나요? 함께 있던 친구가 되었든, 카페에서 일하는 직원이 되었든, 깜짝 놀라서 휴지를 챙겨 오지 않을까요? 그리고 다치거나, 옷에 묻지 않았는지 걱정하는 마음에 물어봅니다. “괜찮아?”
한 번은 카페에서 일하는 중에, 손님이 커피를 테이블과 옷에 쏟아버렸다. 나는 부리나케 휴지를 들고 가서 물었다. “괜찮으세요?”
그랬더니 대뜸 손님이 날카롭게 대답했다. “괜찮아 보이세요?”
으음, 나는 당황한 채 아무 말 없이 얼렁뚱땅 자리를 정리해버렸다. 그러고는 괜히 내가 실수한 건가 싶은 마음에 커피를 새로 한잔 드렸다. 그런데 아무리 생각해봐도 뭔가 찝찝하다.
커피를 쏟아서 옷이 더러워졌거나, 화상을 입었거나 하는 바람에 괜찮지 않은 게 지당한 사실이다. 그런데 하필 나는 왜 괜찮은지 물어봤을까, 누가 봐도 괜찮지 않은데 말이지. 나의 질문이 적절하지 않았다고 생각하면서 내심 마음을 위로했지만, 입 속에 남는 텁텁한 느낌은 없어지지 않는다.
음. 제가 뭘 잘못했을까요?
어쨌든 소심한 나는 그 뒤로 한참을 생각해봤는데, 우리는 보통 누군가에게 걱정하는 말로 “괜찮아?”라고 한다. 그런데 왜 꼭 ‘괜찮아?’라고 말하게 된 것일까. 괜찮든 괜찮지 않든 그건 당사자의 마음인데 말이다.
'괜찮아’라는 단어는 더 이상 감정이나 마음을 담아낼 수 없는 상투적인 단어가 되어버린 게 아닐지. 위로나 걱정하는 마음을 전하기 위한 단어인데, 본질적인 가치를 잃은 셈이다. 그런 속 없는 말을 듣자, 손님은 도리어 불쾌해졌던 게 아닐까.
'괜찮으세요.’라는 말이 아닌 다른 좋은 단어가 있을지 생각해봤지만. 아직 서비스 경험이 부족한 나로서는 친절하면서도 센스 있는 적절한 단어가 떠오르지 않는다. 경험 부족이다. 아무튼 이런 골치 아픈 생각은 하고 싶지 않다. 생각할수록 그때 생각에 입 속이 텁텁해진다.
카페에서 일하다 보면, 말의 표현 부분에서 애매한 점이 종종 있다.
한 번은 예전에 일했던 매장에서 손님에게 주문을 받을 때, “이러이러한데 괜찮으세요?”라고 묻는 표현을 하면 안 된다고 교육을 받았다. 뭔가 강요하는 뉘앙스를 품고 있기도 하고, ‘괜찮지 않은데요’라고 말하면 뭐라 딱히 할 말이 없기 때문이라고 한다. 하긴, “아메리카노가 조금 진한 편인데 괜찮으세요?”라고 물어봤는데, “괜찮지 않은데요”라고 대답해버리면, 주문하는 나는 더 이상 할 말이 없다.
그래서 그 매장에서는 “저희 아메리카노는 조금 진한 편입니다.”라고 말한 채 그냥 주문을 받아버린다. 음…?
이것도 뭔가 상당히 문제가 있어 보이지 않으신지. 약간의 통보성 주문방식이라고 할까?
아무튼 사람을 대하는 일은 항상 어렵고 복잡한 것 같습니다.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