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Plusclovital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재성 작가 Oct 08. 2019

자취에 대한 긍정

스스로가 걸어온 길에 당당하라

사람대 사람이 서로 알게 되고, 가까워 지면서 알아야 하는 필수 정보들이 있다고 생각한다. 개인마다 그 정보의 종류는 다를 수 있지만, 어느 정도 실제 만남의 횟수가 늘어난 이후 적어도 무례한 수준으로 요청하는 일이 아니라면 상대가 물었을 때 대답해 주는 일이 맞다고 본다.

.

대략적인 사는 곳, 하는 일, 대략적 직장 위치, 공부했던 대학, 전공, 나이 정도

.

일적으로 보거나 한번 보고 말 사람이라면 이런걸 다 물어볼 필요가 없다. 초면에 물어봐도 예의가 아닌 목록도 있지. 하지만 어느정도 이미 가까워져 있고, 더 사적으로 가까워지기 위해서는 이 정도 사항 수준은 아는게 좋다. 대화를 이어나가기가 편해지기 때문이다. 그리고 세세한 사항을 물어본다는 건, 내가 그 사람과 친해지고 싶다는 뜻이기도 하다.

.

이걸로 상대방을 평가하거나 판별하려고 묻는 것이 아니라 이 정도 수준의 정보는 오픈 되어야 사적으로도 더 가까워질 수 있는 여지가 있다고 본다.

.

그런데 이런 정보를 다짜고짜 묻는 것도 아니고 꽤 조심스럽게 묻는데도 숨기고 이야기 하지 않고 어물쩡 넘어가는 사람들이 꽤 많다. 좋은 학교를 나오지 않을 수 있고 대단한 기업에서 일하는 게 아닐 수도 있다. 그런데 그냥 자신이 걸어왔던 자취 그리고 현재를 마냥 숨기려고 하면 상대방과 더 가까워 지는데 브레이크가 걸린다. 그런 사람과는 더 큰 꿈을 함께 꿀 수 없고, 더 큰 세상을 논할 수 없게 된다. 더 깊고 아주 개인적인 이야기는 나눌 수도 없게 되지.

.

좋은 학교를 나오지 않았다고 사는 곳이 외곽이라고 그 사람을 그 일로 폄하하고 평가절하하지 않는다. 화려한 간판과 좋은 곳에 산다고 그를 그 가면에 가둬두지도 않는다. 다만 제대로 말해주지 않고 숨기는 듯한 사람과는 더 이상 가까워 지기 어렵다. 그런식으로 자연스레 멀어져버리는 경우가 상당히 많다.

.

내가 보고자 하는 건 간판이 아니라 그 사람이 지금껏 자신이 걸어온 자취에 대해 보이는 태도. 즉 당당함인데, 이를 꽁꽁 숨기는 사람은 나도 완전히 신뢰하기 어렵게 된다.

.

자신이 걸어온 자취에 당당한 것

그게 그렇게 어려운 일일까?


왜 그렇게 숨기고 말하지 않으려 할까.

그런다고 바뀌는 건 아무것도 없는데.

오히려 지금까지 걸어온 자신의 길을 긍정해야

더 많은 발전이 있을 수 있는데..


묻지 않았는데 자랑하는 사람은 가까이하기 싫고

물었는데 침묵하는 사람은 그 이상 가까워질 수 없다. 

.

--------------------------------------------------------------------------------------------------------------------

필자 김재성 

서울대학교 컴퓨터 공학부를 졸업하고 맥킨지 앤 컴퍼니 (McKinsey & Company) 컨설턴트로 재직했다.

현재 제일기획에서 디지털 미디어 전략을 짜고 있다.

저서로는 행동의 완결, 퍼펙트 프리젠테이션 시즌 I, 퍼펙트 프리젠테이션 시즌 II 가 있다.

https://youtu.be/qj7xOkAj8ZI



#행동의완결
#행동과성취를완전히달라지게만들단한권의책


온라인 서점 구매 링크
알라딘: https://goo.gl/daJdGV 

교보문고: https://goo.gl/ZpST1b 

예스24: https://goo.gl/ATwUZa     


김재성 작가의 다른 글도 한 번 읽어보세요

https://brunch.co.kr/@plusclov/376

https://brunch.co.kr/@plusclov/368

https://brunch.co.kr/@plusclov/362


매거진의 이전글 메시지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