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주말농장 서비스 창업 과정
Intro
파랑새 프로젝트는 회사를 수 차례 창업해보고 말아먹어본 30대 청년이 '창업이 행복한 삶의 한 선택지'가 되길 바라는 마음에서 사람들을 선발해 창업을 도와주는 재능기부 프로젝트(2020년 1월 ~ 9월) 입니다. 이 프로젝트는 저를 창업의 세계로 인도해준 M 형에게서 영감을 받아 시작되었습니다. 이 포스팅을 빌어 제게 행복하고 여유로운 삶을 선물해준 M 형에게 감사의 인사를 전합니다.
- 목차 -
4. 밥먹다 생각 난 아이디어가 사업으로 커가는 과정 1편
5. 밥먹다 생각 난 아이디어가 사업으로 커가는 과정 2편
6. 밥먹다 생각 난 아이디어가 사업으로 커가는 과정 3편
7. 밥먹다 생각 난 아이디어가 사업으로 커가는 과정 4편
8. 농부가 된 P군, 땅을 계약하다
* 시리즈 물로 작성된 글입니다. 1편 부터 읽으셔야 이해가 쉽습니다.
모든 세팅들이 완료 되었다. P군은 이 서비스를 시작해도 될 지에 대한 초기 수요를 확인했고 실행 가능한 방안들에 대한 사전 조사를 마쳤다. 나는 지금부터는 창업에 있어서 조금 쉬운 영역이라고 생각한다. 이전 단계와는 달리 지금부터는 그냥 해야할 일을 하면 된다. 창업에서 가장 어려운 타이밍들을 순서대로 뽑자면 다음과 같다.
1위) 서비스는 런칭했는데 유저들로부터 반응이 없어서 무엇을 해야 할 지 모를 때
2위) 어떤 서비스를 주제로 창업해야 할 지 전혀 떠오르지 않아서 막막할 때
3위) 계속 아이디어는 짜내고 있는데 마음에 드는 서비스가 없을 때
4위) 예상 유저들을 대상으로 수요조사를 하고 실행 방법을 고민 할 때
5위) 계획했던 것을 실행해 나갈 때
경험상 어떤 서비스를 창업하겠다 결심하고 이를 실행해 나가는 일은 상대적으로 쉬웠다. 반면 1위에서 3위 상황에 처해 있을 때는 정말 막막했다. 하염없이 지나가는 시간이 너무 아까워 조급해지고 이 때 악수를 두는 경우가 많다. P군은 다행히도 2위 3위 난관들을 잘 해쳐 나갔다. 이제부터는 그냥 고민없이 일만 하기만 하면 된다. P군은 먼저 집 주위에서 가장 가까운 주말 농장들을 리스트업했다.
주말 농장을 선정할 때 우선순위로 잡았던 것은 1) 거리, 2) 주인장님과의 케미, 3) 가격 이었다. 창업자의 시간은 곧 돈이다. 한 두푼 아끼려고 가장 중요한 시간을 버리는 바보 같은 선택은 하지 말아야 한다. 가장 비쌌지만 거리가 가까운 곳으로 선정하기로 했다. P군은 리스트에 있는 주말농장들을 한 곳씩 사전 방문을 했고, 그 중 주인장 분이랑 가장 케미가 좋았던 곳으로 결정하기로 했다.
그 주 일요일, P군과 나는 최종 선정한 주말농장에 방문했다. P군의 이야기 대로 주인장님은 참 털털하시고 쿨하신 스타일이었다. P군과 좋은 관계를 유지할 수 있을 것 같은 좋은 예감이 들었다. 원래 가격은 5평당 15만원 수준이었지만, 사장님과 네고를 해 12만원 정도로 조정할 수 있었다. 또한 주말 농장의 다른 손님들 손 탈 것을 대비해 P군의 구좌를 구석진 자리로 배치해 줄 것을 요청했다.
계약 직후의 밭 상태는 노지의 일반 땅처럼 평평한 상태였다. 이를 밭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밭을 갈고 고랑(배수로)를 만드는 작업을 해야 한다. 주인장님이 갖고 계신 기계로 시원하게 갈아주셨고 나와 P군은 부지런히 고랑과 배수로 작업을 시작했다.
p군이 업체에 방문해 구매해 온 테디베어 해바라기 씨앗을 테스트 용도로 심어 보았다. P군이 조사해 온것에 따르면 해바라기는 한 씨앗당 주변 지역이 얼마나 확보되었느냐에 따라 성장 스타일이 다르다고 한다. 넓은 지역에 해바라기 씨앗을 심을 경우에는 높이가 2m 이상으로 자라고 꽃의 크기가 크지만 꽃의 발화시기가 늦어지는 단점이 있다. 반대로 밀도를 높여서 심을 경우 꽃의 발화시기가 빨라진다.
P군은 일단 얼마나 빠르게 꽃을 피울 수 있을까를 테스트하기 위해, 기존 관행보다 조금 씨앗을 빽빽하게 심어 보았다. 테스트 결과는 추후 별도의 포스팅을 마련해 공유할 생각이다.
어떻게 작물에 대해 잘 알고, 키울줄 아느냐? 여쭤보실 분들이 있을 것 같아 미리 밝히자면, P군은 유튜브를 통해 작물에 대해 공부했다. 전문가와 아마추어의 경계가 요즘처럼 희미해진 때가 없다. 요즘 같은 시대에는 모르는 건 유튜브나 블로그로 찾아서 배우면 그만이다. P군의 농사 실력에 대해서는 그닥 걱정하지 않는다. 테스트 작물들을 통해 시행착오를 거치면서 농사 실력은 어떻게든 키워질 것이다.
P군과 이 프로젝트를 처음 기획했을 때만 하더라도 우리가 밭을 계약하고, 농사를 짓게 될 거란 것은 정말 상상도 못했다. 늘 회사에서 주어지는 과제만 해결해 오던 P군으로서는 정말 색다른 경험이었을 것이다. 아무 것도 정해진 것이 없는 하얀 도화지에 고객들의 요구에 맞춰 우리만의 그림을 그려나가는 과정. 이 것이 창업의 매력 아닐까?
다음 포스팅에서는 농부 P군이 아닌, 개발자 P군에 대해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개발지식이 전혀 없던 P군이 어떻게 이 서비스를 손수 코드로 짤 수 있었는 지 적어보려 합니다. 댓글은 언제나 환영합니다. 프로젝트나 창업에 대해 궁금한 점이나 하고싶은 말을 남겨주시면 늦더라도 꼭 답변 드리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