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릴랴 Dec 22. 2023

실패를 이야기했던 나에게

‘수정 중’이라는 카테고리에 있던 글을 읽었다. 사실 읽으려던 목적이었기보다는 수정하고 카테고리를 변경하려던 목적이었는데, 결국 수정하지는 못했다. 그리고 그 글을 그대로 ‘수정 중’이 아닌 ‘일상 feeling’카테고리로 옮겼다.

그 당시에는 실험을 많이 했던 게 기억이 났다. 내가 쓰는 문체가 어떤 게 내게 알맞고 편한지 존댓말로 적어보기도 하고 반말투나 조금 천진난만해 보이는 말투로 적어보기도 하고 하나의 글 안에 여러 개의 부제를 만들어서 내용을 끊어서 적기도 하고 그랬다.


예전 같았으면 매끄럽게 이어지지 않거나 어설퍼 보이는 건 수정을 많이 했겠지만 현재에 와서는 그게 그렇게 썩 나빠 보이지 않았다.

물론 책으로 만들 때 고쳐야만 한다면 고칠 생각도 있긴 하나 아직은 아니다.

그리고 하나의 글 안에 여러 가지 부제로 끊어 쓴 짧은 글이 여러 개 있으면 조잡하게 느껴진다고 생각했던 적도 분명히 있지만 지금은 조금 생각이 달라진 부분이 있다.

완벽한 게 무조건 좋은 게 아니라는 생각과 오히려 그런 것보다는 감각적인 부분과 감성적인 부분 그리고 내가 전하고 싶은 걸 어떻게 전할 것인지를 고심해서 만들어가는 게 좋을 것 같아.


얼마 전에 본 영상의 모든 걸 이해한 건 아니지만 내가 느끼기에 그 내용은 완벽한 것은 이 세상에 존재하지 않으며 많은 사람이 완벽함이라는 허상에 사로잡혀 거기에 가깝게 출력해내려고 발버둥 치고 있다는 이야기로 들렸다.


완벽해야만 하고 하나라도 꼬투리를 잡히지 않아야만 하며 전문가스러워야 하고 그게 아니더라도 겉은 그럴듯하게 보여줘야만 한다는 말에 뒤에 따라오는 말은 여러 가지가 연상이 된다. 다른 사람에게 인정받는다. 사람들 앞에서 떳떳하다. 주위 사람들에게 콧대를 세울 수 있다. 다른 사람 보기에 면이 선다. 다른 사람에게 보여줄 만하다. 내가 이런 사람이라고 드디어 다른 사람에게 보여줄 수 있다.

이런 말들이 연상이 된다. 여기서 중요한 건 다른 사람에게는 주어가 거의 대부분 붙는다는 사실과 다른 사람에게 고평가받지 못하고 인정받지 못하면 나도 나를 인정하거나 확신할 수 없다는 뉘앙스와 거기에 있었던 과정과 노력과 결과물이 가치가 없다는 생각과 보상이나 인정받지 못하는 결과물이 없는 과정과 노력은 가치가 없으니까 하기 싫다는 생각들이 보이는 것 같다. 

내가 주체가 되고 내가 무얼 하고 있는지 바로 인지하고 내가 왜 만들어내고 있으며 만들어내는 것에 어떤 점이 좋은지 이걸 왜 하고 있는지 나는 이게 정말 좋은지 그래서 계속하는 이 과정이 즐거운지 계속 즐길 수 있는지의 가능성을 가늠하고 그래서 내가 만들고 싶은 것과 담고 싶은 의미를 담았는지 생각해 볼 수 있으면 했다. 내가 나의 성취한 것에 다른 이의 평가와 설령 다르더라도 좋다고 생각하고 흡족하게 만들었다면 그 과정과 노력 또한 즐길 수 있게 된다. 그 순간 그 과정들은 결코 헛된 게 되는 것이 아니며 내가 주체가 되는 순간이기에 다른 사람의 의견과 평에 휩쓸리지 않은 상태에서 다른 사람의 관점과 의견에 따라서 자신을 무가치하게 보는 게 아닌 나와 내 의견과 주관은 바로 세워놓고 그다음에 그들의 의견을 하나의 의견으로써 참고를 하되 필요한 부분만 꺼내서 가져다 쓸 수 있는 게 아닐까. 그리고 내가 하는 생각이 주관적이고 한 사람의 의견이듯 그게 그저 그 사람의 생각일 뿐이라는 걸 제대로 알고 듣기 때문에 대립되는 의견이라 해도 의견으로서 있는 그대로의 말을 다시 생각해 볼 수 있고 그 말 자체에서 화나 상처도 많이 받지 않게 내 마음을 지킬 수도 있게 된다.

내 생각이 그저 내 생각일 뿐이듯이 그 사람이 하는 말도 그저 그 사람 생각일 뿐이라는 걸 알게 될지도 모른다. 무시하는 게 아닌 정말로 서로가 그렇게 생각하고 있다는 것을 본질적으로 알게 되며 어쩌면 그래, 내가 내세우는 논리를 포장하고 지지 않기 위해서 정보를 수집해서 근거를 제시할 수도 있겠지. 하지만 여기까지 알고 나면 애써 그렇게까지 해서 상대를 이겨야겠다는 생각이 덜 들 것이다. 혹시나 괜한 말로 상처나 역린을 건드리고 싶지 않은 것도 있었다. 

상처나 예민한 부분이 건드려지는 감각은 누구에게나 아픈 것이니까, 겨우 말로 다할 수 없을 만큼.


그런 이유로 과거의 나와 지금이 생각이 달라졌다는 이유로 과거의 느꼈던 그 생각들이 글을 통해 전해져 오기는 하지만 편협하고 순진한 생각이라고 어리니까 할 수 있는 생각이라든지 과거에는 자신에게 실제로 속으로 했던 비난 섞인 말이었지만 그렇게까지 비판하고 싶은 느낌은 안 들었다. 그저 그때는 그렇게 생각했었구나. 나름대로 많이 애쓰고 고군분투해서 수고 많았다는 느낌이 들었다. 중간중간 읽으면서 피식거리기도 하는 걸 보면 나도 성격이 많이 유해진 모양이었다.



https://brunch.co.kr/@rilrya/33



실패를 말하는 나에게 하고 싶은 말은 그 후로도 많이 실패를 했고 잘 안됐으며 의욕이 없고 무기력하게 늘어지기도 했는데 지금도 별반 다르지 않다는 것과 그때 네가 말하던 건 내가 성공했다는 이야기를 전하고 싶었다.

소설을 적기 시작했다. 네가 기대한 만큼 완성도가 있거나 하지는 않았다. 그 후로도 공부하고 하려니까 손이 안 가서 계속 못 썼는데 그냥 소설부터 적고 공부하자고 홧김에 질렀으며 지금 2화까지 적었고 3화에서 지금 멈췄다는 이야기였다. 성공이라고 말하기에는 참 별거 없지? 그리고 지금은 이 소설을 완결 내는 게 내 목적이다. 너는 적어도 네 마음에 드는 어느 정도 구조적으로 손색이 없는 완성도 있는 소설을 쓰고 싶다는 포부가 있었겠지만 나는 내 소설이 개발새발이든 내용이 산으로 가든 바다로 가든 가는 도중에 앞에 내용을 몇 번이나 뒤집어엎든 간에 계속 적어서 우선 한번은 완결을 내보고 싶다는 게 다르거든.

그러니까 우리는 완전히 다른 사람인 거네. 원하는 게 이렇게 극명하게 갈릴 수가 없으니까 말이야. 그래도 뭐가 됐든 네가 원하는 본질은 소설을 쓰기 시작하고 싶다는 거였잖아. 그건 일단 이뤘어. 진짜 이제 와서 말하면 발길이 진짜 안 떨어지더라.


그리고 적으면서 공부를 조금씩 꾸준히 하려고. 이제 와서 이게 맞았다는 생각이 조금 드는 게 소설을 쓰기 전에 완벽하게 쓰고 싶어서 계속 준비를 하니까 그게 끝도 없었고 공부하는데 자꾸 손에 안 잡히더라고. 소설을 적기 시작하니까 그제야 진도가 좀 나간다.

가끔 막힐 때는 순서를 바꿔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었어.

가끔 진작 알았으면 좋았을 텐데 하는 생각을 하기는 하는데 널 탓할 마음이 안 드는 건 네가 고군분투했기 때문에 지금의 내가 그걸 알게 되었다는 걸 알았기 때문이야. 지금 가지고 있는 것 중에 정말 중요한 것들은 절대로 거저 얻는 게 없었거든? 네가 그렇게 안 갔으면 지금도 몰랐을 거라고 생각하니 감사하는 마음뿐이다.

지금 이 글을 쓰는 마음이 네가 있던 시간대에 가서 전해질지는 모르겠지만 여하튼 수고해라, 나도 수고할게. 변하지 않은 게 있다면 어떻게든 계속 가겠다는 마음이었으니까.




매거진의 이전글 한껏 엄살 부리기로 한지는 좀 됐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