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정리요 Oct 07. 2022

서른 살에 엄마 아빠와 친해지기

#3. '아빠의 집'을 나서다.

어릴 때는 착한 사람, 나쁜 사람이 있는 줄 알았다. 그래서 내가 착한 사람인가, 나쁜 사람인가를 끝없이 따지며 착한 사람이 되려고 노력했다. 자라면서 '성격'이라는 게 있다는 걸 알았다. 사람 성격이라는 게 참 제각각이라, 맞고 틀리고를 따질 수 있는 게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된 데에는 아빠의 영향이 컸다. 틀린 게 아니고 다른 것일 뿐인데, 어떻게 선악으로 분별해 평가할 수 있단 말인가. 많은 사람들이 이놈의 성격차이로 결별도 하고, 이혼도 하지 않나. 나는 성격 차이로 '아빠의 집'에서 나왔다. 



-----

#3. '아빠의 집'을 나서다. 


성격부터 취향까지 모든 게 다른 아버지 집에서 사는 것은 절망적이었다. 나는 원체 계획이라는 걸 세우지 않는 사람이었다. 아주 어릴 때부터 누가 내 계획에 대해 물으면 귀찮다는 듯 '무계획이 계획이다'라는 말로 일관했다. 반면 영업직을 거쳐 사업가가 된 우리 아빠는 철저한 계획형 인간이었다. 새벽에 해처럼 기상하여 운동을 갔다가 누구보다 일찍 출근하여 기다리는 게 우리 아빠였다. 아빠 하면 루틴, 루틴 하면 아빠였다. 아빠와 나의 이런 성격이 극명하게 갈려 부딪히기 시작한 건 대학에 가고 나서부터였다. 


-


우리 집은 서울 남쪽 경계선에 있었다. 대학교는 서울 북쪽 경계선에 있어서 통학이 지옥이었다. 특히 아침에 사람들 틈에 찡겨 한 시간 반 지하철을 타고 있자면 진짜 왜 사나 싶었다. 아침에 꾸역꾸역 일어나는 내가 보기 안쓰러웠던 아빠는, 적어도 같은 라인 지하철까지만이라도 태워다 주겠다 했다. 싫다고 했어야 했는데.


한참 늦잠 잘 나이인 스무 살에 매일 여섯 시에 일어났다. 과제 때문에 늦게 자기도 하고 놀다 들어와서 피곤하기도 한데, 그런 내 사정과 관계없이 매일 아침 여섯 시에 아빠가 방문을 두드렸다. 한참 깊이 자고 있다가 난데없이 큰 소리를 듣고 깨어나면 딱 죽을 맛이었다. 머리가 윙윙 울리고 속은 울렁거리고, 아침인데 벌써부터 밤이 되기만 소원하면서 몸을 일으켰다. 알아서 가겠다고 짜증을 내고 소리쳐도 안 통하는 아빠의 일방통행에 울화가 치밀었다. 


차 안 막히고 사람 없는 이른 아침에 편하게 학교 가서 자라는 게 아빠의 주장이었다. 아빠 말이 맞았다. 그 새벽엔 차도 안 막히고, 안 갈아타도 되는 역까지 차 타고 편히 갈 수 있었다. 지하철에 사람도 별로 없어 쭉 앉아서 갈 수 있었다. 그러나 실제로 나는 너무 피곤한 나머지 내릴 곳을 매번 지나쳐 오히려 다시 돌아오는 날이 많았다. 게다가 충분히 자지 못해서 강의 시간에 졸기 일쑤였다. 


그 피로감이 너무 짜증 나서 아빠에게 안 태워다 줘도 된다고 몇 번을 말했다. 게다가 나는 일찍 가서 기다리는 성격이기보다, 시간 딱 맞춰 땀나게 달려가는 게 내편에 편한 성격이었다. 그렇지만 부지런한 계획형 인간에게 나 같은 사람은 게으르고 비효율적인 인간으로 보일 뿐이었다. 아빠는 내 거절을 차단하고 아빠의 효율성을 실천하기 위해 매일 나를 깨워 역에 내려줬다. 첫새벽에 시름시름 앓는 얼굴로 차에 타는 나에게 아빠는 말했다. 


'아빠가 다 네 생각해서 이러는 거야.'


-


내 생각을 한다면 내가 해달라는 대로 해줘야 하는 거 아닌가? 도무지 그 아빠의 '네 생각'이 누굴 위한 것인지 알 길이 없었다. 우린 취향도 너무 달랐다. 나는 예술가였다. 그림을 좋아하고, 문학을 좋아하고, 사랑 노래를 좋아하고, 달 뜬 새벽의 라디오 소리를 좋아했다. 세상에 돈 보다 중요한 게 얼마든지 많다고 믿었다. 아빠는 사업가였다. 아빠에게 그림은 거실을 빛내는 도구, 아빠의 책장엔 온통 자기 계발서뿐. 같은 새벽이지만 아빠의 새벽은 해 뜨는 새벽이었다. 아빠는 출근길 새벽 라디오를 좋아했다. 아빠의 세상에서는 돈이 가장 중요해 보였다. 돈을 저버린 박애주의적 행동은 아빠에겐 사치, 비효율의 끝이었다. 

 

결국 스물한 살에 기숙사에 지원했다. 통금이 있는 게 싫어서 기숙사는 절대 안 들어가겠다 했었는데, 아빠의 성격과 취향으로 가득한 아빠의 집에서는 더 이상 살 수 없었다. 대학 다니는 동안은 기숙사에서 지냈고, 졸업 후엔 해외로 취직했다. 점점 집 밖에서 먹고, 자는 것에 익숙해졌다. 집이 그립지는 않았다.


-


한국으로 돌아온 후, 지낼 곳이 없어 다시 엄마 아빠 집에 들어갔다. 6년 만에 들어간 엄마 아빠 집은 익숙하기보다 낯설었다. 어릴 때는 그나마 온기라도 있었지만, 그마저도 사라진 느낌이었다. 비가 퍼붓는 날 잠시 비를 피하러 들어간 원두막 정도의 냉기가 나를 막아섰다. 오랜만에 집에서 만나는 부모님은 맞춰가기 어려웠다. 대화를 시도하면 늘 싸움으로 끝나는 날들, 부모님의 비난에 날 선 공격으로 답하는 날들이 지속됐다. 


"너랑 대화하면 무슨 시인 이상하고 말하는 것 같아. 무슨 말인지 하나도 이해를 못 하겠어.

네가 쓰는 단어들은 내가 쓰는 거랑 뜻이 다른 것 같아. 좀 알아듣게 말을 해봐!"


"그런 식으로 할 거면 내 집에서 나가!"


나비가 일으킨 바람처럼 무심코 내뱉어진 말. 그 말은 한평생 가족의 이유를 의심해온 내 마음에 폭풍을 일으켰다. 나는 그날 이후 집에서 나가기 위해 내키지 않던 스카우트 제의에 응해 취직하고, 직상 상사의 집에서 하숙을 하며, 7평이 못 되는 친구 집에 얹혀살게 되었다. 그곳은 내 집이 아니니까. 내가 살아도 되는 곳이 아니니까. 내가 살던 곳은 '우리 집'이 아니라, '아빠의 집'이었으니까.


그렇게 부모님과, 집과 완전히 동떨어진 나는

가족도, 집도 없는 어른으로 자랐다. 

이전 02화 서른 살에 엄마 아빠와 친해지기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