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소걸음 Aug 30. 2019

세계의 분쟁

오늘 모시는 책 - 018

"한일관계 숙원(宿怨) 해결책은 촛불혁명의 빛으로 일본열도 계몽하는 길뿐" 


일본과 한국이 전쟁에 돌입했다. 지금 일본과 한국은 쇳소리는 아닐지언정 거친 육담이 오고가고 수출 금지, 불매 운동이라는 물리적인 전투, 육탄전(+육탄전이 아닌 –육탄전)이 실제로 벌어지고 있다. 따지고 보면, 일본과 한국 사이의 전쟁도 최소한 150년 전쟁이다. 1876의 강화도조약은 조약 아닌, ‘날강도’ 일본의 ‘한반도 진출’의 서막이었고, 그 흐름은 일본이 패망을 겪은 후, 80년이 가까워 오는 오늘에까지 여전하고, 여일하다. 
...
한일관계 1000년쯤의 시간을 놓고 보면, 평화로운 때가 훨씬 더 많았는지 몰라도, 최근 150년 이래 그 안팎을 놓고 보면, 악연도 이런 악연이 없는, 원수 같은 이웃이다. 동학농민혁명, 의병전쟁, 독립전쟁에 걸친 전반기 50년(1894-1945)의 혈전에 이어 20년간(1946-1965)의 휴전(국교단절) 기간이 있었고, 1965년 국교정상화(?) 이후 55년간은 적대적 공생관계 속에서 상호번영의 협력자였으면서도, 호시탐탐 상대방의 기를 꺾으려 들거나, 영토/역사 등을 영역에서 열전과 냉전을 오가며 애증(愛憎)어린 전쟁을 계속해 오고 있다. (중략)
...  

이 책에 수록된 이찬수의 <분쟁의 심층>에 따르면 최근 아베의 ‘폭주’는 일본의 정체성(‘정상국가’)을 자신들의 의지대로, 자기 해석에만 근거하여 피해자에 대한 배려나 약자에 대한 공감 없이 추구하는 데서 빚어진 참사라는 점이 분명해진다. 이찬수는 대부분의 분쟁이(개인에서부터 국가에 이르기까지) 자기 정체성을 고집하고 배타적으로 옹호하며, 나아가 강요하는 데서 일어나기 십상이라고 진단하면서 자기 정체성을 타자에게 평화롭게 호소하고 인정받는 태도와, 평화다원주의로서 평화의 다양성을 인정하고 비폭력의 길, 감(減)폭력의 길을 모색하는 것이 최선이라고 제안한다. 
...
일본 아베 정권 최근에 강조하는 ‘적극적 평화주의’라는 말은 평화학계에서 흔히 쓰는 positive pacifism(적극적 평화주의)가 아니라. 영어로는 proactive peace strategy (적극적인 평화 전략) 또는 proactive contribution to peace (평화에 적극적으로 기여하기)로 표기되는 전략이다. 그러나 이러한 ‘워딩’과 상관 없이 실제로 아베 정권이 추구하는 것은 일본국 헌법 제9조에 명기하고 있는 ‘전력 불보유’ 및 ‘전쟁 포기’라는 조항에 구애되는 일본의 정체성을 벗어버리고, 집단자위권을 전면에 내세우면서 사실상 전쟁할 수 있는 ‘보통국가’로 가고자 하는 욕구의 발로이다. 
...
패전 이후 천황제를 유지하고 국권을 유지하는 대가로 내놓았던 ‘전쟁포기’라는 헌법 제9조를 거둬들이고, 전쟁할 수 있는 국가로 되돌아가겠는 것이다. 이것은 미국의 대중봉쇄 전략에 편승하여, 동아시아+동남아시아권역에서 ‘일본 중심의 평화’를 ‘재무장한 힘’에 의해서 달성하고, ‘동아시아의 패권국가’라는 오래된 꿈을 이루겠다는 과욕이라 할 수 있다. 그런 점에서 보면 아베는, 동아시아 나아가 세계의 평화를 지향하는 정반대의 경로를 선택하였다는 사실이 분명해진다. 1930년대, 일본이 '만주사변'을 시작으로 '제2차 세계대전'으로 '광란의 질주'를 하던 그 초입에 서 있음을 알 수 있다.
...
지금 불거지는 수출 금지를 포함한 무역 분쟁은 이러한 아베 정권의 빅 픽처의 일부 또는 하부 전략의 일환이다. 이번 사태를 자국 선거에 이용하는 것은 물론이고, 북한의 도발을 자극하거나 남-북 평화체제 시기가 도래하는 데 따른 예비전략으로 구사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일본으로 하여금 전쟁 및 분쟁의 가능성의 방향으로 나아가는 이 흐름을 근본적으로 해결하는 길은 일본의 자기중심주의의 허상을 비폭력적으로 폭로하면서 대화와 타협의 길로 나서야 한다. 한국민의 ‘일본 불매’ 운동은 ‘촛불혁명’을 이은 ‘한일관계-비폭력(촛불)혁명’의 평화적 전개라는 점에서 주목해야 한다. '근대화 속도'와 방향(개화/개벽)의 차이로 인하여 일본의 식민지로 전락하였던 우리나라는 그때와는 비교할 수 없는 경쟁력으로 일본과 맞설 수 있는 자리에 있다. 무엇보다, 우리는 이제 '촛불혁명'(개벽파)의 그 위력으로서, 일본의 무지와 막지를 계몽시킴으로써, 동북아시아의 숙원(宿怨)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고, 평화아시아, 평화세계로 나아가는 개벽의 길을 제시할 수 있는 위치에 도달해 있다. 이것이 이번 싸움('일본불매')의 궁극적인 의미라 할 것이다. 
...
눈을 들어 원대한 시야를 확보하고 보면, 분쟁은 서로의 입장이나 이해관계가 달라서 생기는 일이다. 그러나 모든 분쟁 당사자가 자기의 정당성을 주장한다는 점도 공통적이고 분쟁이 없고 평화로운 세계를 원한다는 사실 또한 공통적이고 보면, ‘접점’이 없는 것은 아니다. 원수는 항상 외나무다리에서 만나는 법이다. 싸워서 한쪽이 다리 아래로 떨어지지 않는 한 계속해서 앞으로 나아갈 방법은 없다. 차원을 달리하지 않으면 안 된다, 선(다리)의 1차원에서 넓이를 갖는 2차원으로 차원 이동을 하면, ‘우회’하는 대안을 상상할 수 있게 된다. 거기에 높이를 갖는 3차원으로 이동하면, 대립을 초월(화해, 상생)한다는 제3의 길도 상상할 수 있게 된다. 이 책 <세계의 분쟁>에는 도무지 해결의 길이 없을 것 같은 오래된 분쟁이 해결된 사례와 여전히 길을 찾지 못한 사례들이 동시에 제시된다. 다른 사람(나라)의 시행착오가 우리에게 타산지석이 되고, 우리의 시행착오가 다른 사람(나라)에 반면교사가 되는 법이다. 평화는 개인의 것이든, 국가, 나아가 세계의 것이든, 그렇게 시련과 고통을 견디며 만들어지는 법이다. 



매거진의 이전글 3.1운동 100주년과 한국종교개혁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