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제사를 지내는 며느리가 되리라는 생각을 해 본 적이 없었다.우리 집은 종교도 없고, 아빠가 장남이 아니고, 우리 동네는 시골이었기에 명절이나 제사는 옆동네 아빠의 사촌 형 집에서 주로 지냈다. 어릴 적, 나에게는 왠지 모르게 무서운 마음에 제사 음식을 먹는 것에 대한 약간의 불편함이 있었으나 그나마 유일하게 좋아하는 것은 곶감이었다.
제사 때는 아빠를 따라가기 싫었으나 명절에는 한복을 입고 아빠를 따라나섰다.내향형인 내가 친하지 않은 친척 아저씨, 아주머니들에게 인사하는 것도 수줍어하면서도 따라간 이유는구석에 앉아 곶감을 먹고 그 동네 친구와 놀기 위해서였다. 그리고 1년에 한두 번 보는 친척들이 천 원짜리 용돈이나 세뱃돈을 주시는 것이 좋았다.
우리 집에서는 명절이나 제사를 지내지 않았기 때문에 제사나 차례라는 것이 얼마나 번거롭고 손이 가는 것인지 몰랐다. 5학년쯤 되어서는 아빠를 따라가지 않았고, 그 이후에는 제사나 차례를 지내러 아빠와 남동생만 다녔기 때문이다
성인이 되어서 여자가 결혼의 조건을 볼 때 제사가 있는지를 본다는 것을 알지 못했다. 내가 선배와 결혼을 한다는 것을 친구에게 말했을 때, 집에서 제사를 지내던 내 친구는 두 눈을 똥그랗게 뜨고 말했다.
"뭐? 그 선배 집 제사도 많다며? 네가 할 수 있다고?"
20대까지 할 수 있는 것이라고는 전기밥솥에 밥을 앉히고, 라면이나 떡볶이 정도나 할 수 있는 나였기에 친구는 걱정부터 했다. 우리 엄마가 처음 남편과의 연애를 반대한 이유 중의 하나도 장남인 데다가 제사가 많은 집이라는 것도 한몫했다. 그러나 경험이 없기에 난 '제사가 많은 게 뭐 어떻겠어? 어머니랑 함께 할 건데..' 하는 마음으로 장남에 홀어머니, 제사가 많은 선배와 결혼을 했다.
장손의 집이었기에 작은 집 식구들이 오셨고, 어머니와 작은 어머니와 함께 차례 준비를 했다. 시키는 것만 하였기에 어렵지는 않았다. 작은 어머니는 작은 것도 어머니에게 물어보며 하셨고 난 그게 의아했다. 그래도 몇십 년을 함께 준비하셨을 텐데 하나하나 물어보며 하셨고, 음식을 하시는 것에 조심스러워하셨다. 첫 차례 이후 준비한 제사도 마찬가지였다.
어머니는 일을 하셨기 때문에 명절 준비나 제사 준비를 함께 못하시는 경우가 생겼다. 2-3년 후부터 나는 월차를 내거나 반차를 쓰고 제사를 준비했고, 언제부터인가 어머니가 주가 아닌 내가 주가 되어 제사와 명절을 준비하기 시작했다. 작은 어머니는 이제는 어머니가 아닌 내게 이것저것 물어보시며 음식을 하셨다. 내가 작은 어머니에게 느낀 점은 내 살림이 아닌 것도 있지만 맏며느리, 장손 며느리와는 다른 것이었다. 나는 어느새 장손 며느리가 되어 제사음식에 책임감이 생겼다.
제사 음식이든 명절 음식이든 어쨌든 사람이 먹는 것이기에 맛있게 하는 것이 중요했다.내가 경험으로 알게 된 것은 전을 할 때, 반죽이 약간 묽은 느낌, 기름은 충분히, 센 불에서 했을 때 가장 맛있게 되었다. 그런 날에는 음복 시 상이 비워지는 게 다르고 그런 날에는 나도 음식이 맛있게 되었구나 싶어서 기분이 좋고 뿌듯했다.
사실, 명절이 다가오는데 마냥 신나고 행복한 대한민국 며느리가 몇이나 될까? 작년부터 코로나로 인해 작은집 식구들도 다른 친척분들도 오시지 못한다. 하지만 그래도 차례는 지내야 하고 음식은 다 해야 한다. 몇 년 전부터는 작은 어머니 대신 사촌동서랑 함께 음식을 하며 아이 키우는 이야기나 그냥 아무 이야기나 하며 맥주 한 캔 마시며 함께 음식을 준비를 하는 것도 나름의 소소한 재미였다. 그러나 올해도 코로나로 인한 이동을 자제해야 하는 분위기이니 혼자 음식 준비를 해야 할 것 같다.
많은 양의 장을 보고 몇 시간씩 서서 음식을 만들어야 하는 명절 준비는 부담스럽고 힘이 많이 드는 건 사실이다. 예전엔 왜 내가 얼굴도 한번 못 뵌 조상님들을 위해 이런 고생을 해야 하는 걸까 억울한 생각도 잠깐 했다. 하지만 이제는 힘들고 고생스럽다는 생각보다 사랑하는 우리 가족들을 위한 음식을 하고, 나의 남편과 나의 아이들을 이어주신 조상님들께 감사와 기도하는 마음으로 준비한다.
올해는음식의 양도 최소한(손이 작아서 다행이다)으로 하며 내 몸을 많이 힘들게 하지 않고, 남편에게도 더 많은 책임을 주고 함께 하려고 한다. 주부가 나혼자 고생한다는 억울함이 없어야 함께 즐겁고, 맛있는 음식을 함께 먹는 행복한 명절이 될 수 있다.
장손 며느리인 나는 명절이 싫지만, 싫지 않다. 올해 명절, 남편과 함께 준비하고 함께 고생하고, 그리고 다 함께 맛있게 먹어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