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유은 Jun 07. 2022

고소함이 다른 우유 콩국수

안 먹고 지나가면 섭한 여름철 음식




우유 콩국수를 한마디로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여름에 안 먹고 넘어가면 섭섭한 음식. 그런 음식이 한둘이 아니지만, 나의 여름날에 정말 ‘단 한 번도’ 빠지지 않았던 소울푸드를 가장 먼저 이야기해야겠다고 다짐했다. 시원한 국물이 인심 좋게 담겨 있고, 후루룩 들어가는 면 요리 중에 최고로 고소하고 영양가 많은 콩국수를 나는 여름마다 먹는다. 아주 맛있게 먹는다.


내가 기억하는 모든 여름에 콩국수는 함께였다. 콩 비린내 때문에 대중적 인기를 구가하지는 못하는 음식이지만 우리 집에선 없어서 못 먹을 만큼 인기가 좋다. 우리 집 콩국수만의 특별한 점이 있다면, 우유를 넣어 만든다는 것이다. 이 우유가 고소하고 부드러운 콩 국물을 완성하고, 대두에서 나는 비린내는 줄여 준다. 못 믿겠다고? 나는 대두로 만든 두유를 싫어해 검은콩, 아몬드와 호두로 만든 두유가 아니면 입에도 대지 않는 사람이다. 그런 나도 우리 집 특제 콩국수만은 한 그릇을 뚝딱 비운다. 심지어 모자라서 더 먹을 때도 있다.


또 한 가지는 콩을 간 것을 체에 거르지 않는다는 점이다. 보통은 까끌까끌한 식감을 최대한 줄이기 위해 국물만을 걸러내지만, 그렇게 하면 콩 건더기의 씹는 맛이 사라져 버린다. 그렇게 지나칠 정도로 묽어진 국물은 애써 콩을 삶고 곱게 갈아 만드는 수고가 무색해질 만큼 밍밍하다. 실제로 남부지방 한 곳(어딘지는 세세히 밝히지 않겠다)에 여행을 갔을 때 어떤 식당에서 먹었던 콩국수는 내 생애 최악의 콩국수였다. 처음으로 집 밖의 콩국수를 먹어 본 날이었고, 그 국물에서는 내가 먹던 그 적절한 걸쭉함과 담백함을 찾아볼 수 없었다. 자잘하게 남은 콩 건더기를 한 톨도 남김없이 걸러냈으니까. 사실 많은 이들에겐 익숙하고 당연한 형태의 콩국수였겠지만 내겐 팥 없는 붕어빵에 버금가는 허전함을 안겨 주었다.


 너무너무 고소한 우유 콩국수


일반 콩국수에 익숙한 사람이라면 거름 작업을 거치지 않은 콩 국물과 내외할지도 모르겠다. 목 넘김이 거칠지는 않을까 싶을 것이다. 하지만 콩 껍질을 까고 제대로 갈아주기만 하면 부드럽게 넘어가면서도 은근히 묵직한 영양 만점 콩 국물이 만들어진다. 거기다 우유까지 들어가니 전혀 텁텁하지 않다. 콩국수를 싫어하는 사람이라도 이 콩국수에는 미각세포가 반응할 가능성이 농후하다. 콩국수는 잘 안 먹는 편이라던 사촌들이 우리 집에 놀러 와서 한 그릇을 싹 비운 전적이 있기 때문이다.

     

콩국수에는 소금 간만 살짝 하는 것이 맛있다. 결코 짭조름해질 때까지 넣으면 안 된다. 그냥 각자 입맛에 밋밋하지 않은 정도로만 넣어 주는 게 적당하다. 소금 대신 설탕을 넣는 방법도 있지만 그렇게 하면 정말 ‘두유 국수’가 되는 것 같아 나는 선호하지 않는다. 아무래도 두부를 먹을 때처럼 씹을수록 올라오는 희끄무레한 단맛과 짠맛이 좋다. 강렬한 맛은 없어도 질리지 않고 입맛을 끌어당기는 게 콩국수의 정체성이라고 생각한다. 쫄깃하고 탱탱하게 삶아진 면은 고소한 콩 건더기와 어우러져 환상의 맛을 내고, 얼음을 동동 띄워 시원함을 넘어 차가워진 국물을 꿀꺽꿀꺽 마셔 주면 이만한 여름의 행복이 없다.


이 글을 쓴 날 콩국수를 먹었다. 국물은 언제나 그랬듯 맛있고 소면의 탄력이 대단했다. 그리고 이날은 삶은 달걀과 채 썬 오이를 곁들이지 않았지만, 평소에는 그런 고명을 얹어 먹는다. 엄마표 우유 콩국수 제조 과정 중 콩 껍질을 까는 건 나와 언니가 힘을 합쳐서 했다. 거실 바닥에 앉아서 콩 껍질을 까고 있노라면 늘 떠오르는 장면이 있다. 어린 시절 읽은 『대장금』 만화책에서 장금이가 벌로 혼자서 콩 껍질을 다 까던 모습이다. 그 장면을 상상하면서 콩 껍질을 까면 왠지 속도도 더 빨라지고 지루하지 않다. 훗날 어의까지 되는 멋진 궁중 요리사의 신입 시절을 간접 체험하는 느낌이랄까. 무슨 일을 하든 상상이 더해지면 훨씬 재미있다. 여러분은 콩 건더기가 매력인 우유 콩국수를 상상해 보시길 바란다. 그리고 한 번쯤은 실제 음식으로 구현해 보는 것도 좋겠다. 나만 알기 아까울 만큼 맛있으니까.

이전 08화 나의 첫 단짝 친구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