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JunWoo Lee Apr 27. 2024

준비의 마침표

공간 기획서

출판전야를 위해 매달 50만 원씩 저축하고 회사 보너스가 들어오는 대로 전용 통장에 이체했다. 덕분에 돈이 어느 정도 모이긴 했지만 숙소를 만들기엔 턱 없이 부족한 돈이었다.


근데 서재로 만들기로 하고 필요 예산이 5,000만 원으로 줄자 고지가 보였다. 조금만 더 모으면 된다라는 생각에 쓰고 남은 생활비도 보탰다.


2023년 말이나 2024년 초 정도면 필요한 돈을 다 마련할 수 있었다. 그러면 그때 바로 출판전야를 시작할 수 있을까. 하드웨어(물질)적인 조건이 어느 정도 해결되니 소프트웨어적인 조건에 다시 눈이 갔다.


출판전야의 내실이 다 준비되었는지 의구심이 들었다. 이 정도면 충분한가. 공간 기획은 처음하는 거라 어느 정도면 준비가 된 건지 감이 잡히지 않았다.


특히 블루도어북스, 책바와 같은 멋진 장소에 다녀오면 그런 마음이 더 들었다. 이런 곳도 처음부터 잘하지는 않았을 수도 있지만, 준비해야 될 게 눈에 들어왔다.


이런 조바심 덕분에 더 열심히 준비하게 되는 점도 있었지만 마침표는 필요했다. 안 그러면 끝도 없이 준비만 하다가 흐지부지 될 게 테니까.


세상에 완벽은 없다. 한 차례 끊고 가는 게 필요했고 공간 컨설팅하는 친구에게 조언을 구했다. 친구는 내게 공간 기획서를 써 보면 좋을 거라고 얘기해 줬다.


출판전야를 모르는 사람, 예를 들어 인테리어 디자이너에게 출판전야를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 이 질문에 초점을 맞춰 출판전야 기획서를 쓰기로 했다.


인스타그램 게시글 여기저기에 흩어진 출판전야 관련 아이디어들을 모아 PPT 문서로 만들었다. 문서는 아래와 같은 내용으로 구성했다.



간략 소개

출판전야를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문서 앞 부분에 개요를 넣었다. 출판전야의 캐치 프레이즈, 공간 한 줄 설명 등을 적었다.


영향을 준 주요 문장

출판전야의 시작점이 되어 준 문장을 실었다. 협업하는 분들과 고민의 궤를 같이 하기 위해선 출발 지점을 공유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주요 키워드

출판전야의 세계관에 나오는 키워드들을 정리했다. 각 키워드별로 더 자세한 설명을 볼 수 있는 출판전야 인스타그램 게시글을 달아 놓았다.


공간 분류

출판전야의 목차라 할 수 있는 공간 구성표를 넣었다. 각 공간이 출판전야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적어 놓았다.


공간 요구사항

출판전야가 들어설 공간이 어떤 조건을 충족해야 하는지 정리했다. 지역, 면적, 예산 등의 정보를 적었다.


공간 분위기

출판전야의 전반적인 공간 분위기가 어떻게 되어야 하는지 키워드별로 설명했다.


공간 상세

출판전야의 각 공간에 대한 설명을 구체적으로 정리했다. 공간에 들어가야 하는 요소별 설명과 레퍼런스 이미지를 함께 남겼다.



기획서를 쓰니 출판전야에 대한 생각이 정리됐다. 그동안 쌓아온 기록을 한 곳에 모으니 자신감도 생겼다. 이 정도면 시작할 준비가 된 게 아닐까.


근데 공간 기획서는 한 번도 써 본 적이 없어서 제대로 한 게 맞는지 헷갈렸다. 긴장되는 마음으로 친구에게 공간 기획서를 보여 줬고 이 정도면 인테리어 디자이너가 이해할 수 있다는 얘기를 해 줬다.


기획서를 완성한 날이 마침 2023년의 마지막 날이었다.

새해엔 꼭 출판전야를 만들어야겠다고 다짐했다.

이전 15화 MVP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