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동은WhtDrgon Aug 17. 2024

BM북 제6장 음악산업BM- 6.3 음악 수익모델,상품

김동은WhtDrgon. 

6.3 음악 비즈니스 모델, 수익모델, 상품 


6.3.1 음원 스트리밍 서비스의 구조와 수익화 방식

음원 스트리밍 서비스는 현대 음악 비즈니스 모델의 중심에 있습니다. 이들 플랫폼은 음악 소비의 주요 경로로 자리 잡았으며, 다양한 수익화 방식을 통해 음악 산업의 구조를 변화시키고 있습니다.


구독 모델

사용자가 월간 또는 연간 구독료를 지불하고, 광고 없이 무제한으로 음악을 스트리밍할 수 있는 모델입니다. 구독료는 주로 프리미엄 서비스로 분류되며, 여러 가지 추가 혜택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 Spotify: 프리미엄 구독자들에게 오프라인 재생, 고음질 스트리밍, 광고 제거 등의 혜택을 제공.

 • Apple Music: 구독자가 애플의 전체 생태계에서 무광고 음악 스트리밍, 오프라인 청취 등을 이용할 수 있음.

 • YouTube Music: 유튜브 프리미엄과 결합된 서비스로, 음악 및 동영상 모두에서 광고를 제거하고 오프라인 재생을 제공.

 • Tidal은 고음질 오디오를 원하는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이파이(HIFI) 구독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 Amazon Music HD는 고해상도 음원을 특징으로 하는 고급 구독 서비스를 제공하여 차별화 전략을 취하고 있습니다.


광고 기반 모델

사용자가 무료로 서비스를 이용하는 대신, 광고를 청취하거나 시청해야 하는 모델입니다. 광고는 오디오, 비디오, 디스플레이 광고 등 다양한 형태로 제공되며, 광고 수익은 플랫폼과 아티스트, 레이블 간에 분배됩니다.

 • SoundCloud: 아티스트가 업로드한 음악을 광고 기반으로 제공하며, 광고 수익은 아티스트와 플랫폼이 공유.

 • Pandora와 Spotify는 사용자의 청취 데이터를 분석해 맞춤형 광고를 제공하며, 광고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 Pandora: 미국에서 인기 있는 광고 기반 라디오 스트리밍 서비스로, 맞춤형 라디오 채널을 통해 사용자에게 개인화된 광고를 제공.

 • Spotify Free: 광고 기반 무료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며, 광고 수익은 스트리밍 횟수와 광고 노출 수에 따라 분배.

 • YouTube는 크리에이터와 파트너십을 맺어 더 많은 광고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있습니다.


플랫폼 수익 분배 구조

스트리밍 수익은 플랫폼, 레이블, 아티스트 사이에 분배됩니다. 분배 비율은 사용자의 스트리밍 횟수, 구독료, 광고 수익을 기반으로 결정되며, 레이블과 아티스트 간의 계약 조건에 따라 달라집니다.

 • Deezer: 사용자 중심의 수익 분배(User-Centric Payment System, UCPS)를 도입해, 사용자가 실제로 스트리밍한 아티스트에게 수익이 집중되도록 하는 시스템을 실험 중.

 • Deezer의 UCPS와 같은 모델은 인디 아티스트에게 유리한 구조를 만들기 위한 시도로, 대형 아티스트에 비해 수익 분배에서 불리한 위치에 있는 소규모 아티스트들의 수익을 증대시키려는 목적이 있습니다.

 • Spotify: 스트리밍 수익의 약 70%를 레이블 및 아티스트에게 분배하며, 나머지는 플랫폼 운영 비용으로 사용. 소규모 인디 아티스트와 메이저 레이블 간의 수익 분배 비율에는 차이가 있음.

 • Apple Music: 스트리밍 수익의 71.5%를 아티스트와 레이블에 분배하며, 플랫폼 간 경쟁을 반영한 높은 비율.


기타 스트리밍 사례

 • User-Centric Payment System (UCPS): 플랫폼이 전체 스트리밍 수익을 모든 아티스트에게 고르게 분배하는 대신, 각 사용자가 실제로 스트리밍한 아티스트에게만 수익을 집중시키는 모델입니다. Deezer는 이 모델을 도입해 사용자의 스트리밍 활동이 특정 아티스트에게만 영향을 미치도록 했습니다.

 • Ad-Supported BundleSpotify는 인터넷 제공업체 및 기타 서비스와 협력하여 광고 기반 서비스를 번들로 제공, 무료 사용자층을 확보하고 장기적으로 구독자로 전환시키는 전략을 사용합니다.

 • 가상 이벤트 및 팬덤 경제Twitch와 같은 라이브 스트리밍 플랫폼에서 아티스트들이 가상 콘서트나 팬 이벤트를 개최하고, 팬들이 구독이나 비트로 아티스트를 직접 후원하며 추가 수익을 창출합니다.



6.3.2 라이브 공연과 콘서트의 수익 모델

라이브 공연과 콘서트는 그 종류에 따라 수익 창출 방식이 다양합니다. 최근 음악 산업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공연이 등장하고 있으며, 이들 각각이 고유한 수익 모델을 가지고 있습니다.  


공연과 콘서트

1. 대규모 아레나/스타디움 콘서트 : 대형 경기장이나 아레나에서 수만 명의 관객을 대상으로 하는 콘서트로, 티켓 판매, VIP 패키지, 광고, 후원 등 다양한 수익 창출이 가능. U2 360° Tour - Wikipedia, BTS World Tour: Love Yourself - Wikipedia

2. 페스티벌 공연 : 여러 아티스트가 참여하는 음악 페스티벌로, 티켓 판매, 스폰서십, 부스 임대, 상품 판매 등이 주요 수익원. Coachella - Wikipedia, Glastonbury Festival - Wikipedia, Lollapalooza - Wikipedia

3. 온라인/가상 콘서트 : 팬데믹 이후 확산된 형태로, 온라인 스트리밍을 통해 전 세계 팬들이 참여. 티켓 판매 외에도 가상 상품, 후원 등을 통한 수익 창출. BLACKPINK: The Show - Wikipedia, Ariana Grande Fortnite Concert - Wikipedia  AmazeVR의 AMC(멀티플렉스 체인) 상영관 ‘메간 디 스탈리온’의 VR 콘서트, LYNK-POP 에스파, HYPERFOCUS TXT.  

4. 하이브리드 콘서트 :  현장 공연과 온라인 스트리밍을 결합한 형태로, 오프라인과 온라인에서 동시에 수익을 창출. BTS Permission to Dance On Stage - Wikipedia 온오프라인 동시 개최.

5. 소규모 클럽/바 공연 : 작은 공간에서 열리는 공연으로, 티켓 판매와 직접 상품 판매를 통한 수익이 주요 모델. 인디 밴드의 지역 클럽 공연, 로컬 아티스트의 바 공연. Live music venue - Wikipedia 

6. 비밀 콘서트 (Secret Concert/Sofar Sounds) :  장소와 공연자가 비밀로 유지되는 콘서트로, 소규모 청중을 대상으로 하며 독특한 경험을 제공하여 프리미엄 가격을 책정. Sofar Sounds의 전 세계 비밀 콘서트 시리즈. Sofar Sounds - Wikipedia 

7. 앙코르 콘서트 : 성공적인 공연 이후 추가로 열리는 콘서트로, 기존 팬층을 대상으로 하여 추가 수익 창출. 아티스트의 월드 투어 종료 후 팬들의 요청으로 개최된 추가 공연. Encore - Wikipedia 

8. 팬미팅 & 팬사인회 :  팬들과의 소규모 소통을 중심으로 하는 이벤트로, 티켓 판매와 굿즈 판매가 주요 수익원. K-Pop 아이돌 그룹의 팬미팅, 일본 아이돌의 팬사인회 이벤트. 

9. 언플러그드/어쿠스틱 공연 : 전자 장비를 최소화한 어쿠스틱 형태의 공연으로, 더 작은 공간과 친밀한 분위기를 활용하여 팬층 확대. MTV 언플러그드 시리즈, 에드 시런의 소규모 어쿠스틱 공연.MTV Unplugged - Wikipedia

10. 앨범 발매 기념 콘서트 : 새로운 앨범 발매를 기념하는 콘서트로, 앨범 판매와 연계된 특별 패키지를 통해 추가 수익 창출. Adele의 앨범 발매 기념 라이브 쇼, 테일러 스위프트의 앨범 출시와 연계된 콘서트. Taylor Swift Reputation Stadium Tour - Wikipedia

11. 초청/기업 이벤트 공연 : 특정 기업이나 행사 주최 측의 초청을 받아 열리는 공연으로, 출연료와 함께 브랜드 홍보를 통한 수익이 발생. Coldplay의 기업 연례 행사 공연, 유명 아티스트의 제품 런칭 이벤트 참여.

12. 거리 공연 (Busking) :  공공장소에서 이루어지는 즉석 공연으로, 주로 팁이나 자발적 기부를 통한 수익 창출. 런던, 뉴욕 등 주요 도시에서의 스트리트 버스킹, 아티스트 Lewis Capaldi의 거리 공연 출신 사례. Busking - Wikipedia 

13. 크루즈 공연 :  크루즈 여행 중에 열리는 콘서트로, 크루즈 패키지에 공연 티켓이 포함되어 수익이 창출. KISS 크루즈, K-Pop 크루즈 콘서트 이벤트. KISS Kruise - Wikipedia

14. 자선 콘서트 : 자선 목적의 공연으로, 수익금의 일부 또는 전부를 기부하여 브랜드 이미지를 강화하면서도 수익을 창출. Live Aid, Ariana Grande의 One Love Manchester 자선 콘서트.  Live Aid - Wikipedia, One Love Manchester - Wikipedia

15. 테마파크 공연 : 테마파크 내에서 열리는 정기적 또는 특별 공연으로, 테마파크 입장료와 공연 수익이 결합된 모델. 디즈니랜드의 스타라이트 콘서트 시리즈, 유니버설 스튜디오에서의 특별 이벤트 공연. Disneyland - Wikipedia

16. 라이브 하우스 공연: 일본 지하아이돌이나 인디밴드들이 주로 활동하는 작은 규모의 라이브 하우스에서 열리는 공연으로, 팬들과의 밀접한 소통이 가능하며, 주로 정기적으로 개최됩니다. 한국에서는 홍대 인근의 지하 소극장이나 클럽이 대표적인 공연장으로 사용됩니다. Live house - Wikipedia

17. 대학 캠퍼스 축제 공연:
주로 대학 축제 기간 동안 열리는 공연으로, 지역 팬층을 중심으로 인지도를 높일 수 있는 기회입니다. 소규모에서 대규모 공연까지 다양하게 열리며, 유명해지기 전의 아티스트들이 자주 참여합니다. 퀸(Queen)이 초기 활동 시절, 대학 캠퍼스에서 펼친 공연. 한국의 대학 축제에서 열리는 인디밴드나 신인 아티스트의 공연.

18. 게릴라 콘서트:  장소와 시간을 비밀로 하다가 갑자기 열리는 깜짝 공연으로, 팬들과의 즉흥적 소통이 특징입니다. 보통 대형 공연장의 촉박한 빈 시간대를 계약하기 때문에 장소의 특성상 비용이 적게 들며, 이벤트성으로 진행되어 강한 인상을 남깁니다.  U2가 LA에서 펼친 깜짝 거리 공연. 일본 아티스트가 역에서 벌인 게릴라 콘서트.

19. 반지하 공연 (Venue in Basement): 반지하 공간에서 열리는 공연으로, 주로 언더그라운드 음악이나 실험적인 장르를 중심으로 합니다. 아티스트는 소수의 관객과 깊은 소통을 나누며, 이를 통해 팬덤을 확장합니다.  서울 홍대의 반지하 공연장에서 활동하는 인디 아티스트.  뉴욕이나 런던의 반지하 공연장에서 활동하는 실험적인 음악가들. Underground music - Wikipedia 
20. 옥상 공연 (Rooftop Concert): 도시의 옥상에서 열리는 공연으로, 독특한 분위기를 연출합니다. 특히 대중적이지 않은 장소에서 열리는 경우도 많아 특별한 경험을 제공합니다. 비틀즈는 그들의 마지막 공연을 애플 레코드(Apple Records) 사무실의 옥상에서 진행했습니다. 비틀즈의 애플 레코드 옥상 공연(1969). 뉴욕에서 열리는 독립 아티스트들의 옥상 공연. The Beatles' rooftop concert - Wikipedia

21. 마라톤 콘서트 (Marathon Concert): 여러 아티스트가 연속적으로 출연하는 장시간 공연 이벤트로, 다양한 음악 장르와 아티스트를 한 자리에서 즐길 수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뉴욕의 마라톤 콘서트 시리즈. 클래식 음악계의 롱기스트 콘서트 이벤트.

22. 이동형 버스킹 (Traveling Busking): 하나의 장소에 머무르지 않고, 여러 장소를 순회하며 공연하는 형태로, 거리나 지하철, 버스 등 다양한 공간을 활용합니다. 세계 각국을 돌며 버스킹 공연을 펼친 영국의 포크 듀오.  서울 지하철 노선에서 이동하며 공연하는 K-pop 버스커.

23. 테마 공연 (Theme-Based Concert):  특정 주제나 스토리라인에 따라 구성된 공연으로, 음악과 비주얼, 스토리텔링이 결합된 형태입니다. 특정한 연극적인 요소나 특수 효과를 활용하여 관객에게 몰입감을 제공합니다. 데이비드 보위의 ‘지기 스타더스트(Ziggy Stardust)’ 투어.  마돈나의 ‘레벨 하트(Rebel Heart)’ 투어.  Ziggy Stardust Tour - Wikipedia 

24. 멀티미디어 공연 (Multimedia Concert):  음악 외에도 영상, 조명, 레이저, 홀로그램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요소가 결합된 공연으로, 기술과 음악이 융합된 형태입니다. 공연의 시각적, 청각적 효과를 극대화하여 관객의 감각을 자극합니다. 핑크 플로이드의 ‘더 월(The Wall)’ 투어. 보컬로이드 ‘하츠네 미쿠’의 홀로그램 콘서트.  The Wall Tour - Wikipedia 

25. 사일런트 콘서트 (Silent Concert): 관객들이 무선 헤드폰을 착용한 채 음악을 듣는 독특한 형태의 콘서트로, 주변 소음을 줄이고 개인적인 음악 경험을 제공합니다. 관객들은 각자의 헤드폰을 통해 음악을 듣기 때문에 주변 소음이나 방해 없이 공연을 즐길 수 있습니다. 뉴욕에서 시작된 사일런트 디스코(Silent Disco) 이벤트. 페스티벌이나 도시의 공공장소에서 열리는 사일런트 콘서트. Silent disco - Wikipedia

26. 자연 속 콘서트 (Concert in Nature): 숲, 해변, 산 등 자연 속에서 열리는 공연으로, 자연과 음악이 어우러지는 경험을 제공합니다. 환경 보호나 자연과의 조화를 강조하는 이벤트로도 활용됩니다. 아이슬란드에서 열리는 시규어 로스(Sigur Rós)의 자연 속 공연. 야외 캠핑과 결합된 자연 속의 인디 밴드 공연.

27. 이벤트형 퍼포먼스 (Event-Based Performance): 특정한 이벤트나 역사적인 날을 기념하여 진행되는 공연으로, 공연의 주제와 음악이 이벤트의 의미와 결합됩니다. 베를린 장벽 붕괴 25주년을 기념한 콘서트. 9/11 추모 콘서트 등 역사적 사건을 기념하는 공연.

28. 공연 예술과의 결합 (Performance Art Concert):  음악 공연과 함께 연극, 무용, 시각 예술 등 다른 예술 형태와 결합된 공연으로, 예술적이고 실험적인 접근을 시도합니다. 마리나 아브라모비치(Marina Abramović)와 안토니(Antony)의 공동 퍼포먼스. 비요크(Björk)의 무대 예술과 음악의 융합 공연.  Performance art - Wikipedia

29. 암전 콘서트 (Concert in the Dark):  완전히 어두운 상태에서 진행되는 공연으로, 시각을 차단하여 음악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합니다. 독특한 청각적 경험을 강조하는 방식입니다. 전 세계적으로 열린 '암전 속의 콘서트' 시리즈. 맹인 음악가들이 주최하는 특별한 암전 공연.

30. 건축물 투어 콘서트 (Architectural Tour Concert):
역사적 또는 현대적 건축물에서 열리는 공연으로, 건물의 독특한 음향 효과와 분위기를 활용하여 특별한 음악 경험을 제공합니다. 스페인의 가우디 건축물에서 열린 고전 음악 공연. 일본의 현대 건축물에서 열린 전자 음악 콘서트.


수익모델


티켓 판매 : 전통적인 티켓 판매는 여전히 주요 수익원으로, 공연의 규모, 아티스트의 인지도, 장소에 따라 가격이 결정됩니다. 다양한 티켓 유형과 추가 혜택을 통해 수익을 극대화합니다.

 • Taylor Swift의 Eras Tour: 다양한 가격대의 티켓과 VIP 패키지로 티켓 매진을 기록하며, 공연마다 수백만 달러의 수익을 창출.

 • BTS의 Permission to Dance 콘서트: 한국, 미국 등에서 개최된 현장 콘서트에서 VIP 티켓과 한정판 굿즈 패키지를 제공해 추가 수익을 창출.

 • 아프리카 대륙의 Afronation 페스티벌: 나이지리아와 가나에서 개최된 이 페스티벌은 지역 음악 팬뿐만 아니라 해외 관객을 유치해 수익을 극대화.

 • Tiered Ticketing: 다양한 가격대의 티켓을 제공하여 소비자의 경제적 상황에 맞춰 선택의 폭을 넓힘.

 • VIP 경험: 공연 전 아티스트와의 만남, 독점 상품 제공 등을 포함한 VIP 패키지로 고가의 티켓을 판매하여 추가 수익 창출.

온라인 스트리밍: 팬데믹 이후, 라이브 공연의 온라인 스트리밍이 일반화되었습니다. 온라인 콘서트를 통해 전 세계 팬들에게 접근할 수 있으며, 티켓 판매 외에도 광고, 후원, 가상 상품 판매 등으로 수익을 창출합니다.

 • BLACKPINK의 The Show: YouTube에서 개최된 유료 온라인 콘서트로, 전 세계 팬들이 참여하여 수백만 달러의 수익을 창출.

 • Burna Boy의 Live at The O2: 영국 O2 아레나에서 열린 공연을 전 세계에 스트리밍하며, 오프라인과 온라인 티켓을 동시에 판매.

 • 비비(Bibi)의 Welcome to BIBIverse: 한국 아티스트 비비가 메타버스 플랫폼에서 콘서트를 개최해, 글로벌 팬들과의 새로운 소통 방식으로 수익을 창출.

 • SM 엔터테인먼트의 Beyond LIVE 플랫폼:  온라인 콘서트를 실시간 스트리밍하여 전 세계 팬들로부터 수익을 창출.

 • 하이브리드 콘서트: 현장 관람과 온라인 스트리밍을 결합하여, 오프라인 관객뿐만 아니라 온라인 팬에게도 수익 기회를 제공.

 • 후원 및 가상 상품: 스트리밍 플랫폼에서 팬들이 아티스트를 직접 후원하거나, 가상 아이템을 구매하여 수익을 창출.

팬덤 경제 : 팬들과의 직접적인 소통을 통해 수익을 창출하는 모델로, 팬 플랫폼을 활용하여 독점 콘텐츠, 팬 이벤트, 굿즈 등을 판매합니다. 팬덤의 결속력이 강할수록 수익화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 Weverse: BTS, SEVENTEEN 등의 아티스트들이 독점 콘텐츠를 제공하며, 팬들과의 소통을 통해 수익을 창출.

 • Patreon: Jacob Collier와 같은 아티스트들이 팬들과의 소통을 통해 독점 콘텐츠 제공 및 후원금을 받아 안정적인 수익 창출.

 • Mxit: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소셜 네트워크 플랫폼으로, 아티스트들이 팬들과의 소통을 통해 음원 및 공연 티켓 판매로 수익을 창출.

 • 팬 플랫폼 멤버십: 팬들이 정기 구독을 통해 독점 콘텐츠를 제공받으며, 아티스트와의 더 긴밀한 소통 기회를 가짐.

 • 가상 팬미팅 및 이벤트: Zoom, Discord 등의 플랫폼을 통해 가상 팬미팅을 개최하여 팬들과의 연결을 강화하고 수익을 창출.

독립 아티스트를 위한 DIY 콘서트 모델: 독립 아티스트들이 소규모 공연장에서 직접 콘서트를 기획하고 수익을 창출하는 모델입니다. 티켓 판매, 기념품 판매, 팬들과의 직접적인 소통을 통해 수익을 확보합니다.

 • Sofar Sounds: 전 세계 소규모 장소에서 열리는 비밀 콘서트를 통해 독립 아티스트들이 자신을 홍보하고 수익을 창출.

 • 반다 보티스(Banda Boitas): 브라질에서 활동하는 독립 아티스트로, 지역 커뮤니티와의 밀접한 관계를 통해 콘서트를 기획하고 직접 수익을 창출.

 • 칭와나 밴드(Qingwana Band): 케냐의 전통 음악을 현대화하여 지역 페스티벌에서 공연, 소규모 티켓 판매로 수익을 올림.

 • Crowdsourced Venues: 팬들이 공연 장소를 추천하거나 기여하여 아티스트와 공동으로 콘서트를 기획.

 • 직접 판매 굿즈: 공연장에서 직접 굿즈를 판매하며, 수익을 극대화.

지역별 축제 및 페스티벌 참여: 지역별 축제나 페스티벌에 참여하여 아티스트가 노출을 극대화하고, 공연료, 티켓 판매, 굿즈 판매 등을 통해 수익을 창출하는 모델입니다.

 • Gnaoua World Music Festival (모로코): 전통 음악과 현대 음악을 결합한 페스티벌로, 아프리카, 유럽, 아시아 아티스트들이 참여해 수익을 창출.

 • Zimfest (짐바브웨): 짐바브웨의 전통 음악을 소개하는 페스티벌로, 현지 및 해외 아티스트들이 참여하여 공연료와 티켓 판매로 수익 창출.

 • Sauti za Busara (탄자니아): 아프리카 대륙의 다양한 음악과 문화를 축하하는 페스티벌로, 아프리카 전역의 아티스트들이 참여하여 공연 수익과 상품 판매로 수익 창출.

 • 콜라보레이션 공연: 페스티벌 참여 아티스트 간의 협업을 통해 새로운 공연 콘텐츠를 제작하고, 이를 통해 추가 수익을 창출.

 • 문화 교류 프로그램: 지역 문화와의 협업을 통해 전통 음악과 현대 음악을 결합하여 새로운 팬층을 확보.



6.3.3 음반 및 디지털 앨범 판매의 변화

음반 및 디지털 앨범 판매는 여전히 음악 산업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최근 몇 년 동안 다양한 변화와 함께 새로운 전략들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디지털 다운로드와 피지컬 음반이 공존하는 가운데, 팬덤을 유지하고 수익을 극대화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들이 활용되고 있습니다.


디지털 다운로드

스트리밍 서비스의 대두로 인해 디지털 다운로드의 비중이 감소했지만, 특정 오디오파일 팬층과 수집가들에게는 여전히 중요합니다.

 • Bandcamp: 아티스트가 직접 판매하는 디지털 앨범과 고음질 음원 다운로드 옵션을 제공하며, 특히 인디 음악 씬에서 인기가 높음.

 • HDtracks: 고음질 음원(FLAC, WAV 등)을 다운로드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 오디오파일층을 겨냥해 수익을 창출.

 • PonoMusic: Neil Young이 설립한 고음질 음원 다운로드 플랫폼으로, CD보다 높은 해상도의 음원을 제공하며 음악 애호가들 사이에서 주목받음.

 • 보너스 트랙: 특정 음반의 디지털 다운로드 버전에서만 제공되는 보너스 트랙이나 리믹스 버전을 추가하여 팬들의 구매를 유도.

 • 고음질 음원: 스탠다드 음질 외에 고음질 다운로드 옵션을 제공하여, 오디오파일 팬층의 요구를 충족시키고 추가 수익을 창출.


피지컬 음반 

디지털 시대에도 불구하고, 피지컬 음반은 여전히 수집가와 팬덤층 사이에서 강력한 수요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특히 한정판이나 특별 패키지로 판매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 Taylor Swift의 Folklore: CD, 바이닐(LP), 카세트 테이프 등 다양한 피지컬 포맷으로 발매되었으며, 팬들을 위해 여러 가지 한정판 디자인으로 제공.

 • BTS의 앨범 패키지: 포토카드, 포스터, 미니북 등 다양한 굿즈를 포함한 패키지를 판매하여, 전 세계적으로 높은 판매고를 기록.

 • Vinyl Me, Please: 바이닐(LP) 레코드 클럽 서비스로, 회원들에게 매달 특별히 큐레이팅된 LP를 제공하며 수집가들을 타겟으로 한 성공적인 비즈니스 모델.

 • 한정판/특별 에디션: 특정 기간 동안만 판매되는 한정판 음반을 통해 희소성을 강조하며 수집가들의 구매를 유도.

 • 굿즈 포함 패키지: 피지컬 음반에 포토카드, 포스터, 아트북 등 다양한 굿즈를 포함해 팬덤의 소유 욕구를 자극.


피지컬 디지털 공존 전략

디지털 다운로드와 피지컬 음반을 병행하여 출시함으로써, 다양한 소비자의 취향을 반영하고 수익을 극대화하는 전략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스트리밍 중심의 시장에서도 음반 판매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 Billie Eilish의 Happier Than Ever: 디지털 음원과 함께 바이닐, CD, 카세트 테이프 등 다양한 피지컬 포맷으로 출시하여 모든 유형의 소비자들을 타겟팅.

 • K-Pop 앨범: 디지털 음원 발매 후 피지컬 음반을 출시하여, 두 시장에서 모두 수익을 창출. 이 과정에서 스트리밍을 통해 팬덤을 구축한 후 피지컬 판매로 이어지는 전략이 자주 사용됨.

 • Adele의 30: 디지털과 피지컬 모두에서 높은 판매량을 기록하며, 오프라인과 온라인 시장을 공략.

 • 멀티 포맷 출시: 동일 앨범을 디지털 다운로드, 스트리밍, CD, LP, 카세트 등 다양한 포맷으로 출시하여, 소비자의 다양한 취향에 맞춤형 제품을 제공.

 • 스트리밍+피지컬 패키지: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앨범을 미리 듣게 한 후, 피지컬 음반 출시와 동시에 팬들을 타겟으로 한 마케팅 캠페인을 진행.


추가 수익화 모델

 • NFT 음반 판매: Kings of Leon이 NFT로 발매한 앨범 When You See Yourself는 디지털 소유권을 통해 팬들에게 새로운 형태의 소유 경험을 제공하며 수익 창출.

 • 사전 주문(Special Pre-Order): 앨범 발매 전, 사전 주문을 통해 한정판 굿즈와 함께 음반을 판매하여 초기 수익 극대화.

 • 독립 아티스트의 자비 출판(Self-Publishing): 독립 아티스트들이 자신의 음반을 자비로 제작, 판매하여 레이블 없이도 직접 수익을 창출.

 • 초기 한정 판매: 앨범 발매 시 첫 주 판매를 집중적으로 홍보하여 초기 판매량을 극대화하고, 음반 차트에서 높은 순위를 기록.

 • 후속 판매 프로모션: 발매 후 시간이 지나도 다양한 프로모션(리믹스 앨범, 리마스터링 음반 등)을 통해 지속적인 판매 유지.



6.3.4 앨범의 유무형 구성 사례


유형 구성물

 • CD: 앨범의 메인 음악이 담긴 디스크. 때로는 실험적으로 USB 혹은 QR코드 등의 종이앨범이 시도됨. 구매자들에게 CD 플레이어가 있는지 의문시되나 CD플레이어를 앨범구성물로 제공한 사례 있음. 

 • 포토북: 다양한 콘셉트의 사진이 포함된 책자.

 • 포토카드: 멤버별 혹은 단체 사진이 인쇄된 작은 카드, 보통 여러 가지 버전으로 제공됨.

 • 스티커: 아이돌의 이미지나 로고가 포함된 스티커.

 • 엽서: 멤버의 사진이나 메시지가 담긴 엽서형 카드.

 • 포스터: 대형 사이즈의 멤버 사진이 인쇄된 포스터, 앨범 패키지에 동봉되거나 별도로 제공됨.

 • 클리어 파일: 투명한 재질로 된 멤버 사진이 인쇄된 파일 폴더.

 • 캘린더: 멤버 사진과 함께 달력이 인쇄된 소형 또는 대형 캘린더.

 • 미니북/미니포스터: 작은 사이즈의 사진집 또는 포스터.

 • 스탠딩 페이퍼: 멤버의 이미지가 인쇄된 종이로 만든 스탠드형 피규어.

 • 가사집/리릭북: 앨범 수록곡의 가사가 인쇄된 책자.

 • 라벨 스티커: CD 표면에 부착하는 라벨, 개별적으로 제공되기도 함.

 • 키링(Keyring): 멤버의 이미지나 앨범 로고가 들어간 열쇠고리.

 • 렌티큘러 카드: 움직임에 따라 이미지가 변하는 특수 인쇄 기술이 적용된 카드.

 • 북마크: 앨범 콘셉트에 맞춰 제작된 책갈피.

 • 피규어: 소형 피규어 또는 멤버의 얼굴을 본뜬 작은 인형.

 • 배지(뱃지): 멤버나 앨범 로고가 인쇄된 금속 배지.

 • 폴라로이드: 폴라로이드 스타일의 사진.

 • 문구류: 노트, 펜, 스티커 세트 등 학교용 문구.

 • 의류: 티셔츠, 후드 등 앨범 콘셉트에 맞춘 옷.

 • 악세서리: 반지, 목걸이, 팔찌 등 다양한 주얼리.

 • 머천다이즈 카탈로그: 해당 앨범 관련 굿즈를 소개하는 소책자.

 • CD 케이스: 일반적인 케이스 외에도 스페셜 에디션으로 메탈, 우드, 플라스틱 등 다양한 재질로 만들어진 케이스.

 • 티켓 모형: 가상 콘서트나 팬미팅 등의 티켓을 모티브로 한 종이 티켓.

 • 마스크/밴드: 앨범 또는 멤버의 이름이 새겨진 마스크나 손목 밴드.

 • 타투 스티커: 임시로 붙일 수 있는 문신 스티커.

 • 클로징 포스터: 특별 포장으로, 전통적인 포스터보다 두꺼운 종이로 제작되어 있으며 앨범을 포장하는 데 사용됨.

 • 퍼즐: 멤버의 얼굴이나 그룹 사진이 그려진 퍼즐.

 • DIY 키트: 팬들이 직접 만들 수 있는 키트, 예를 들어 미니어처 방 꾸미기 세트.

 • 랜덤 멤버 책갈피: 책 속에 끼울 수 있는 얇은 카드 형태의 책갈피로, 멤버별로 랜덤 제공.

 • 포스터 튜브: 포스터를 보호하고 보관할 수 있는 앨범과 함께 제공되는 전용 튜브.

 • 캐릭터 페이퍼돌: 멤버를 캐릭터화한 종이 인형으로, 팬들이 직접 조립할 수 있음.

 • 앨범 가방: 앨범을 보관할 수 있도록 특별히 제작된 작은 가방이나 파우치.

 • 랜덤 폴라로이드 필름 조각: 앨범 발매와 함께 멤버들이 찍은 실제 폴라로이드 사진의 일부 조각을 랜덤으로 삽입.

 • 스티커봉: 스티커가 두루마리 형태로 말려있는 스티커봉, 다양한 멤버 이미지가 포함됨.

 • 액자형 CD 케이스: CD를 액자처럼 걸어둘 수 있는 케이스, 팬들이 집에 전시할 수 있음.

 • 미니어처 무대 세트: 앨범의 콘셉트를 재현한 작은 무대 세트로, 팬들이 직접 꾸밀 수 있음.

 • 메모리얼 코인: 앨범 발매를 기념하는 한정판 동전이나 메달, 특정 이벤트를 기념.

 • 클립/핀셋 세트: 앨범 로고나 멤버 이미지가 새겨진 문구류, 특히 클립이나 핀셋.

 • 투명 포토카드 슬리브: 포토카드를 보호할 수 있는 투명 슬리브로, 앨범 디자인에 맞춰 제작됨.

 • 티켓 홀더: 가상 콘서트, 팬미팅 티켓을 보관할 수 있는 케이스.

 • 플로팅 포토 프레임: 포토카드를 공중에 떠 있는 것처럼 보이게 해주는 액자.

 • 냉장고 자석: 멤버 사진이나 로고가 새겨진 냉장고 자석.

 • 콜라주 키트: 앨범 콘셉트를 기반으로 팬들이 직접 콜라주를 만들 수 있는 재료 키트.

 • 포스터 퍼즐: 포스터를 조각내어 퍼즐 형태로 만든 것, 팬들이 직접 조립하여 완성할 수 있음.

 • 모빌: 천장에 걸어두는 장식물로, 멤버 이미지나 앨범 콘셉트를 재현한 모빌.

 • 특수 제작 필름 스트립: 멤버들이 촬영한 영상을 필름 형태로 잘라낸 작은 스트립, 일부 앨범에 랜덤 삽입.

 • 향수 시트: 앨범 콘셉트에 맞는 향이 나는 작은 시트, 포토북이나 가사집에 삽입.

 • 캔들 세트: 앨범 콘셉트에 맞춰 제작된 미니 캔들, 특정 향과 함께 제공.

 • 랜덤 의상 조각: 촬영에 사용된 의상의 작은 조각을 랜덤으로 삽입.

 • 플립 북: 멤버들의 동작이 애니메이션처럼 보이게 하는 작은 플립 북.

 • 사운드 카드: 카드를 열면 짧은 멜로디나 멤버의 음성이 재생되는 사운드 카드.

 • 나만의 앨범 커버 스티커 세트: 팬들이 자신만의 앨범 커버를 꾸밀 수 있는 스티커 세트.


무형 구성물

 • 디지털 앨범 다운로드 코드: CD 구매 시 포함된 코드로, 디지털 음원을 다운로드할 수 있는 링크를 제공.

 • 비디오 메시지 QR코드: 멤버들이 전하는 비디오 메시지를 볼 수 있는 QR 코드.

 • 포토카드 컬렉션 앱 접근권: 포토카드를 디지털로 수집할 수 있는 앱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 제공.

 • 팬클럽 가입 쿠폰: 팬클럽 가입 시 사용할 수 있는 할인 쿠폰.

 • 라이브 스트리밍/팬미팅 초대권: 특정 이벤트에 참여할 수 있는 코드나 초대권.

 • 비하인드 영상 QR코드: 뮤직비디오 촬영 현장 등의 비하인드 영상을 볼 수 있는 QR 코드.

 • 무대 의상 응모권: 앨범을 구매한 팬이 멤버들의 무대 의상을 추첨으로 받을 수 있는 응모권.

 • 커스텀 메시지 제작권: 특정 앱을 통해 멤버에게 커스텀 메시지를 받는 서비스.

 • 인앱 아이템 쿠폰: 특정 모바일 게임에서 사용할 수 있는 아이템 쿠폰.

 • 가상 콘서트 초대권: 메타버스나 가상 현실 플랫폼에서 진행되는 콘서트에 참여할 수 있는 초대권.

 • 팬 참여 프로젝트 코드: 뮤직비디오, 앨범 제작 등에 팬들이 참여할 수 있는 프로젝트의 코드.

 • 맞춤형 보이스 메시지: 특정 멤버의 음성 메시지를 직접 녹음해서 받을 수 있는 서비스.

 • 랜덤 영상 통화 기회: 앨범 구매자 중 랜덤으로 선택되어 멤버와 짧은 영상 통화를 할 수 있는 기회.

 • 메타버스 아바타 아이템: 메타버스 플랫폼에서 사용할 수 있는 아이돌 테마의 아바타 의상이나 액세서리.

 • 팬카페 특별 등급 혜택: 앨범 구매 시 공식 팬카페에서 특별 등급을 부여받아, 특정 이벤트에 우선 참여 가능.

 • 맞춤형 배경음악 서비스: 팬들이 멤버의 목소리로 제작된 맞춤형 배경음악을 제공받는 서비스.

 • 공식 음악 트레이닝 앱 접근권: 아이돌이 사용하는 음악 트레이닝 앱에 접근할 수 있는 코드, 팬들이 직접 따라 할 수 있는 가이드 포함.

 • 앨범 출시 이벤트 초대권: 특정 오프라인/온라인 앨범 출시 이벤트에 초대되는 초대권.

 • 팬아트 전시회 참여권: 공식 팬아트 전시회에 자신의 작품을 출품할 수 있는 기회 제공.

 • 음악 리믹스 대회 참가권: 팬들이 참여할 수 있는 리믹스 대회 참가권, 우승작은 다음 앨범에 포함될 수 있음.

 • 가사집 번역본 제공: 글로벌 팬들을 위한 여러 언어로 번역된 가사집 디지털 파일 제공.

 • 미공개 데모곡 다운로드 코드: 앨범에 수록되지 않은 미공개 데모곡을 다운로드할 수 있는 코드.

 • 무대 메이킹 다큐멘터리 접근권: 앨범 준비 과정을 다룬 메이킹 다큐멘터리를 볼 수 있는 링크 제공.


포토북 구성 항목 예시

컨셉별 화보 : 앨범 콘셉트에 따라 촬영된 다양한 화보 컷으로 구성. 멤버별 개별 컷과 단체 컷 포함. 계절별, 테마별로 나누어진 섹션 (예: 여름, 겨울, 빈티지, 미래지향적 등).

메이킹 컷: 앨범 재킷 촬영 현장 비하인드 컷. 무대 의상 피팅 및 연습 장면 포함. 메이크업과 스타일링 과정의 모습.

포토 스토리: 앨범 콘셉트에 맞춘 스토리라인이 있는 사진 시리즈. 한 편의 짧은 드라마처럼 구성된 스토리텔링 화보.

유닛 및 듀엣 컷:  멤버들 간의 유닛 및 듀엣 화보. 다양한 조합의 멤버들이 함께 촬영한 특별 화보.

컨셉 아트와 콜라주 : 포토북의 분위기를 강화하기 위한 아트워크 및 콜라주. 아티스트의 손글씨나 낙서가 포함된 페이지.

팬아트 섹션: 팬들이 그린 아티스트의 팬아트를 모아 구성한 섹션. 팬들과의 교류를 강조하며, 팬아트에 대한 감사의 메시지 포함.

미공개 스냅샷:  멤버들이 직접 찍은 폴라로이드 사진 및 스냅샷. 일상 속 자연스러운 모습을 담은 사진들.

홀로그램 페이지: 특정 페이지에 홀로그램 효과를 적용해 특별한 시각적 경험 제공. 멤버들이 직접 그린 그림이나 메시지가 담긴 홀로그램.

개인 프로필 페이지: 각 멤버의 개인 프로필 및 인터뷰가 포함된 페이지. 멤버의 개인적인 취향, 현재 관심사, 앨범 작업 중의 생각 등을 공유.

미니 포스터 인클루전 : 일부 페이지에 접이식 미니 포스터가 삽입되어 포토북의 일부분을 완성. 접이식 페이지를 펼치면 미니 포스터가 나타나도록 구성.

폴라로이드 스타일 사진:  실제 폴라로이드 사진 느낌을 살린 디자인. 멤버들이 직접 찍거나 꾸민 사진들을 폴라로이드 스타일로 제작하여 포토북에 포함.

메모리얼 페이지 : 지난 활동의 하이라이트를 담은 추억의 페이지. 데뷔 이후 중요한 순간들을 기록한 사진과 팬들의 메시지가 담긴 페이지.

QR 코드와 연동된 비하인드 영상:  특정 사진 옆에 QR 코드를 삽입해, 스마트폰으로 스캔하면 비하인드 영상 시청 가능. 촬영 과정의 비하인드 스토리, 멤버들의 개인 인터뷰가 포함된 짧은 영상.

패션 포커스 섹션: 앨범 활동에서 착용한 의상과 액세서리를 강조한 패션 화보. 스타일리스트의 코멘터리와 함께 멤버들의 의상 디테일을 집중 조명.

멤버 친필 메시지: 멤버들이 팬들에게 전하는 친필 메시지 및 사인이 인쇄된 페이지. 각 멤버별로 팬들에게 전하는 감사 인사와 함께.

자유 낙서 페이지:  멤버들이 직접 자유롭게 낙서하거나 그림을 그린 페이지. 각 멤버의 개성이 드러나는 낙서와 짧은 메모가 포함.

3D 팝업 페이지:  특정 페이지에 3D 팝업 요소를 포함해 포토북을 더욱 입체적으로 표현. 앨범 콘셉트와 연계된 3D 팝업 이미지나 미니어처.

그룹 활동 타임라인: 데뷔 이후의 주요 활동들을 사진과 함께 타임라인 형식으로 정리. 각 앨범의 발매, 수상 경력, 중요한 이벤트 등을 연도별로 나열한 페이지.

디지털 결합 페이지: 특정 페이지에 NFC 칩을 삽입하여 스마트폰을 통해 디지털 콘텐츠에 접근할 수 있게 함. 멤버들의 특별 메시지, 독점 인터뷰 영상, 디지털 포토카드 등이 포함된 비밀 콘텐츠 제공.

팝업 디오라마:  앨범 콘셉트와 연계된 미니어처 팝업 디오라마를 포함하여, 특정 페이지를 입체적으로 구성. 콘서트 무대나 뮤직비디오 세트장을 3D로 재현한 페이지.

향기 페이지 (Scented Page): 특정 사진이나 테마에 맞는 향기를 페이지에 적용해 시각뿐 아니라 후각으로도 감상할 수 있는 경험 제공. 바다 테마의 화보에 바다 향을, 꽃 테마의 화보에 꽃향을 담은 페이지.

미러링 페이지 (Mirroring Page): 한 쪽 페이지에 실제 거울이나 거울 효과를 적용하여, 팬이 자신을 보면서 멤버와 '미러링' 효과를 느낄 수 있는 페이지. 멤버들이 사용하는 실제 거울을 재현해 팬들과의 연결성을 강조.

음성 인터랙티브 페이지:  QR 코드 또는 AR 기술을 활용해 특정 페이지를 스캔하면 멤버들의 음성이 재생되는 페이지. 멤버들이 직접 녹음한 인사말이나 앨범 작업 비하인드 이야기 등 다양한 음성 콘텐츠 포함.

LED 라이트 업 페이지:  특정 페이지에 LED 조명을 내장하여, 페이지를 펼치면 조명이 켜져 사진이나 그래픽을 강조하는 효과. 특히 콘서트나 밤을 테마로 한 사진에서 더욱 극적인 연출 가능.

프리즘 페이지: 프리즘 효과를 내는 특수 재질을 사용해, 페이지를 넘길 때마다 빛의 반사로 다양한 색상이 나타나는 페이지. 콘셉트에 맞춘 컬러 변화와 화려한 시각적 효과 제공.

코스튬 샘플 페이지:  멤버들이 실제로 착용한 의상이나 액세서리의 작은 샘플 조각이 포함된 페이지. 콘서트에서 착용한 의상의 일부분이나, 특정 뮤직비디오에서 사용된 액세서리 일부를 팬들에게 제공.

3D 안경 포함 페이지:  포토북에 3D 안경을 함께 제공하여, 특정 페이지의 사진들이 3D로 보이도록 구성.멤버들의 입체적인 모습을 팬들이 경험할 수 있는 페이지.

팝아트 스타일 페이지: 앨범 콘셉트를 팝아트 스타일로 재해석한 페이지. 앤디 워홀(Andy Warhol) 스타일의 그래픽, 만화적인 요소, 컬러 블록 등을 활용해 예술적으로 표현.

비밀 메시지 페이지: 특정 페이지에 비밀 잉크를 사용하여, 팬들이 UV 라이트 펜이나 특정 각도에서만 볼 수 있는 숨겨진 메시지 제공. 멤버들이 팬들에게 전하는 특별한 메시지나, 작은 퍼즐 요소가 포함될 수 있음.

섬유 아트 페이지:  천이나 패브릭을 사용해 만들어진 페이지로, 시각적뿐만 아니라 촉각적으로도 즐길 수 있는 포토북 구성. 멤버들이 촬영한 장소의 풍경이나 배경을 천으로 재현한 페이지.

플립북 섹션: 포토북의 일부분을 플립북처럼 빠르게 넘길 때 애니메이션 효과가 나타나도록 구성. 멤버들이 춤을 추거나 포즈를 바꾸는 모습이 짧은 애니메이션처럼 재생됨.

메모리얼 코인 페이지:  포토북과 함께 소장용 메모리얼 코인(기념 동전)을 삽입한 페이지. 특정 앨범 발매 기념일, 데뷔 기념일 등을 기념하는 코인을 포함.


6.3.5 새롭게 등장하는 수익 모델들


크라우드펀딩 기반 앨범 제작: 팬들과의 직접적인 소통을 통해 자금 조달 및 제작. Amanda Palmer가 Kickstarter를 통해 120만 달러 이상 모금해 앨범 제작.

구독 기반 팬클럽 플랫폼: 정기적인 구독료를 통한 안정적 수익 확보. Jacob Collier가 Patreon을 통해 독점 콘텐츠 제공 및 수익 창출.

브랜디드 팟캐스트 및 오디오 시리즈: 아티스트와 브랜드의 협업을 통한 수익 창출. Spotify의 The Joe Rogan Experience와 같은 스폰서십 팟캐스트.

팬 참여형 음악 제작: 팬들의 직접적인 창작 참여 유도 및 수익 분배. HitRecord에서 팬들이 공동으로 음악 제작 및 수익 공유.

직접 판매 및 럭셔리 굿즈: 한정판, 고가 상품의 직접 판매로 수익 극대화. Nipsey Hussle이 믹스테이프 Crenshaw를 100달러에 직접 판매. Universal Music Group의 Merch Collab, Amazon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아티스트들의 공식 굿즈를 제작, 판매하여 추가 수익 창출.

교육 및 워크숍 수익 모델: 아티스트의 전문성을 기반으로 한 교육 콘텐츠 제공. MasterClass에서 유명 음악가들이 강의를 통해 수익 창출.

게임 내 음악 통합: 게임 내에서 음악 공연 제공 및 가상 아이템 판매. Travis Scott의 Fortnite 가상 콘서트에서 수익 창출.

블록체인 기반 저작권 관리: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투명한 저작권 및 로열티 관리. Mycelia 프로젝트에서 블록체인을 통한 음악 저작권 관리. HYBE의 NFT 기반 디지털 굿즈 판매, 팬들이 특정 아티스트의 한정판 디지털 콘텐츠를 구매하여 소유할 수 있도록 하여 수익화.

팬 소유권 모델: 팬들이 아티스트의 곡에 투자하고, 수익을 함께 나누는 모델.  Royal 플랫폼에서 팬들이 곡의 저작권 지분을 구매하고 로열티 수익을 공유.

브랜드와의 장기 파트너십: 아티스트와 브랜드 간의 장기 계약을 통한 지속적 수익 창출. Pharrell Williams와 Adidas의 장기 협업으로 독점 제품 출시.

팬 소통 플랫폼의 수익: 팬들이 아티스트와 직접 소통할 수 있는 플랫폼에서, 독점 콘텐츠 판매 및 멤버십을 통해 수익을 창출. 버블 등의 국내 플랫폼,  BTS가 Weverse에서 팬들과의 소통을 통해 팬덤 경제를 활성화하고 수익 창출.


6.3.6 새로운 모델의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 예시


익명성 기반 커뮤니티 콘서트  

    핵심 파트너(Key Partners): 익명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보안 및 이벤트 기획사, 팬 커뮤니티 플랫폼, 티켓 판매 플랫폼.  

    핵심 활동(Key Activities): 익명 아티스트의 콘서트 기획 및 운영, 티저 콘텐츠 마케팅, 팬과의 소통 관리.  

    핵심 자원(Key Resources): 익명 아티스트, 보안 시스템, 독점 티켓 판매 네트워크, 특화된 공연장.  

    가치 제안(Value Propositions): 익명 아티스트와의 독특한 음악 경험 제공, 미스터리와 호기심을 자극하는 독점적 공연.  

    고객 관계(Customer Relationships): 익명성에 기반한 커뮤니티 형성, 익명 아티스트에 대한 궁금증을 유지하는 지속적 소통.  

    채널(Channels): 온라인 커뮤니티 플랫폼, 소셜 미디어, 티켓 판매 플랫폼.  

    고객 세그먼트(Customer Segments): 독특한 경험을 추구하는 음악 팬, 익명성에 대한 호기심이 있는 관객, 새로운 음악 장르를 탐색하는 사람들.  

    비용 구조(Cost Structure): 아티스트 및 공연장 보안 비용, 마케팅 및 프로모션 비용, 공연 제작 및 운영 비용.  

    수익원(Revenue Streams): 티켓 판매 수익, 라이브 스트리밍 유료 관람, 공연 후 아티스트 공개 시 발생하는 추가 콘텐츠 판매.  


아티스트 주식 발행  

    핵심 파트너(Key Partners): 금융 기관, 블록체인 기술 제공자, 법률 자문 회사.  

    핵심 활동(Key Activities): 아티스트 주식 발행, 투자자 관리, 투자자에게 수익 배분, 금융 플랫폼 운영.  

    핵심 자원(Key Resources): 아티스트 브랜드 및 지분 구조, 금융 및 블록체인 플랫폼, 투자자 네트워크.  

    가치 제안(Value Propositions): 팬들이 아티스트의 성공에 직접 투자하고, 수익을 함께 나누는 기회 제공.  

    고객 관계(Customer Relationships): 팬과의 장기적 투자 관계 형성, 정기적인 성과 보고서 제공.  

    채널(Channels): 금융 플랫폼, 아티스트의 공식 웹사이트, 투자자 커뮤니티.  

    고객 세그먼트(Customer Segments): 아티스트의 팬들, 투자 기회를 찾는 개인 투자자, 크라우드펀딩에 관심 있는 소비자.  

    비용 구조(Cost Structure): 법률 자문 비용, 플랫폼 개발 및 운영 비용, 수익 배분 관리 비용.  

    수익원(Revenue Streams): 주식 판매 수수료, 투자 이익 배분 시 발생하는 수익.  

실시간 스토리텔링 투어  

    핵심 파트너(Key Partners): 인터랙티브 기술 제공자, 투어 기획사, 공연장.  

    핵심 활동(Key Activities): 스토리 기반 공연 기획 및 제작, 실시간 인터랙티브 요소 개발, 팬 참여 관리.  

    핵심 자원(Key Resources): 공연 및 스토리텔링 전문가, 인터랙티브 기술 플랫폼, 투어 네트워크.  

    가치 제안(Value Propositions): 팬들이 실시간으로 참여하고 스토리를 완성하는 독특한 공연 경험 제공.  

    고객 관계(Customer Relationships): 공연 전후 팬들과의 스토리 연결 유지, 인터랙티브 콘텐츠 제공.  

    채널(Channels): 공연 웹사이트, 소셜 미디어, 라이브 스트리밍 플랫폼.  

    고객 세그먼트(Customer Segments): 몰입형 경험을 추구하는 팬, 공연 예술에 관심 있는 소비자.  

    비용 구조(Cost Structure): 스토리텔링 콘텐츠 제작 비용, 기술 플랫폼 운영 비용, 공연 투어 비용.  

    수익원(Revenue Streams): 티켓 판매, 스토리 기반 부가 상품 판매, 라이브 스트리밍 유료 시청료.  

팬 참여형 결정 모델  

    핵심 파트너(Key Partners): 크라우드소싱 플랫폼, 앨범 제작 스튜디오, 팬 커뮤니티.  

    핵심 활동(Key Activities): 팬 투표 및 의견 수렴, 앨범 제작 및 배포, 팬과의 소통 관리.  

    핵심 자원(Key Resources): 팬 참여 플랫폼, 앨범 제작 및 마케팅 자원, 아티스트의 크리에이티브 자산.  

    가치 제안(Value Propositions): 팬들이 직접 앨범 제작 과정에 참여하며, 자신이 선택한 콘텐츠를 경험할 수 있는 기회 제공.  

    고객 관계(Customer Relationships): 참여형 플랫폼을 통한 팬과의 강력한 유대감 형성, 정기적인 업데이트 및 피드백 제공.  

    채널(Channels): 크라우드소싱 웹사이트, 소셜 미디어, 아티스트의 공식 채널.  

    고객 세그먼트(Customer Segments): 아티스트의 열성 팬, 창의적인 경험을 원하는 소비자, 크라우드펀딩에 익숙한 사용자.  

    비용 구조(Cost Structure): 플랫폼 개발 및 운영 비용, 앨범 제작 비용, 팬 소통 및 마케팅 비용.  

    수익원(Revenue Streams): 앨범 판매, 크라우드펀딩 기부금, 팬 투표 참여 수수료.  

디지털 디톡스 콘서트  

    핵심 파트너(Key Partners): 공연장, 티켓 판매 플랫폼, 보안 서비스 제공자.  

    핵심 활동(Key Activities): 디지털 디톡스 콘서트 기획 및 운영, 디지털 기기 보관 관리, 공연장 내 경험 최적화.  

    핵심 자원(Key Resources): 디지털 프리 환경을 제공하는 공연장, 아티스트 및 공연 콘텐츠, 보안 및 기기 보관 시스템.  

    가치 제안(Value Propositions): 순수한 음악 경험을 제공하는 디지털 프리 공연, 전통적인 음악 감상의 재발견.  

    고객 관계(Customer Relationships): 디지털 피로감을 느끼는 소비자와의 감성적 연결, 공연 후 후기 공유.  

    채널(Channels): 공연장 웹사이트, 오프라인 티켓 판매처, 음악 팬 커뮤니티.  

    고객 세그먼트(Customer Segments): 디지털 과부하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소비자, 전통적 음악 감상 방식에 관심 있는 사람들.  

    비용 구조(Cost Structure): 공연장 임대 비용, 보안 및 기기 보관 비용, 마케팅 및 운영 비용.  

    수익원(Revenue Streams): 티켓 판매, 디지털 디톡스 후 스페셜 콘텐츠 판매, 현장 굿즈 판매.  

음악 레트로 체험  

    핵심 파트너(Key Partners): 레트로 음반 제조업체, 빈티지 음악 기기 공급업체, 아티스트.  

    핵심 활동(Key Activities): 레트로 음반 및 굿즈 제작, 레트로 체험 이벤트 기획, 팬들과의 소통 관리.  

    핵심 자원(Key Resources): 레트로 음반 및 기기 제조 기술, 아티스트의 음악 콘텐츠, 빈티지 마케팅 자산.  

    가치 제안(Value Propositions): 과거의 음악 감상 경험을 재현하는 독특한 레트로 이벤트 제공.  

    고객 관계(Customer Relationships): 레트로 감성에 관심 있는 소비자와의 감성적 유대 형성, 이벤트 후 소통 강화.  

    채널(Channels): 레트로 이벤트 웹사이트, 소셜 미디어, 음반 판매점.  

    고객 세그먼트(Customer Segments): 레트로 문화에 관심 있는 소비자, 빈티지 기기를 선호하는 음악 팬.  

    비용 구조(Cost Structure): 음반 및 기기 제작 비용, 이벤트 운영 비용, 마케팅 비용.  

    수익원(Revenue Streams): 레트로 음반 및 기기 판매, 레트로 이벤트 입장료, 한정판 굿즈 판매.  


240817 김동은WhtDrgon.

Copyright 2024. 김동은WhtDrgon. all rights reserved.

https://brunch.co.kr/brunchbook/bmbook 

                    



이전 19화 BM북 제6장 음악산업BM- 6.2 글로벌 지역 차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