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이지는 말복이 지나 선선한 바람이 불어오기 시작하면 맛이 변한다. 적어도 내게는 그랬다. 작년 여름 내내 오이지를 두 번 담그고 그 많은 것을 맛있게 먹어치웠다. 막상 떨어지니 담그기는 애매하고 마음은 섭섭해서 지인에게 아쉬움을 표현했는데, 꽤 많은 양의 오이지를 먹으라며 가져왔다. 공짜는 양잿물도 먹는다는데 하물며 여름 내 즐긴 오이지라니. 말복이 지났지만 다시 무더위의 초입에 든 것처럼 입맛을 다셨다.
결과적으로 그 오이지는 한 번 꺼내서 무치고는 그대로 끝이었다. 지인의 오이지에 다른 뜻은 전혀 없었다. 여름이 가고 있었고 계절의 변화에 따라 입맛이 달라진 때문일까 짐작만 했다. 차가운 것보다는 뜨끈한 무언가가 필요했던 것은 아니었을까. 이상하게도 오이지의 제맛을 느낄 수가 없었다. 아삭아삭 꼬독하고 고소한 맛까지 느껴졌던 그 오이지가 아니었다. 잘 버리지 못하는 사람이라 그 오이지는 올여름까지 냉장고에 고이 모셔진 채로 기억에서 잊혔다.
올해 여름과 함께 가족이 즐겨 찾은 것은 열무였다. 여름의 초입 어느 날, 방송에서 '여름' 하면 생각나는 음식을 말해달라고 시청자 사연을 받는다고 했다. 글쓰기 강의하러 가는 길, 기어코 답을 하고야 말겠다는 생각으로 차를 한쪽에 주차하고 문자를 보냈다. 시원한 열무국수가 우리 집의 최애라고. 엊그제 열무김치를 드물게 맛있게 담가 열무비빔국수를 한껏 기대하고 있다고. 방송이 늘 그렇듯 대답 없는 메아리라고 생각하며 보냈는데 바로 내 문자가 진행자의 목소리로 읽혔다. 0000번 시청자가 보내준 사연이라고 시작된 내가 보낸 메시지였다. 방송이 끝나고 나서도 그날 하루 종일 무슨 상을 받는 것처럼 기분은 내내 붕붕 떴다.
방송 때문이었을까, 그날 이후로 열무김치에 더 애정이 갔다. 처음 담갔던 열무김치도 맛있었는데 다음에 담은 열무김치는 훨씬 더 맛이 좋았다. 처음의 경험을 바탕으로 무엇을 빼고 무엇을 더하면 될지 감안한 결과였다. 가장 중요한 것은 열무의 상태, 연하고 고소한 열무를 잘 골라야 한다. 다음으로 중요한 것은 붉은 고추를 갈아 넣어야 한다는 것이다. 고춧가루 만으로 담근 것과 붉은 고추를 갈아 담근 것은 맛이 달랐다. 새삼 식재료가 중요하다는 생각을 했던 것 같다. 세 번째 담글 때는 붉은 청양 고추를 갈아서 썼다. 처음엔 매운맛이 강하지만 김치와 잘 어우러지면 적당히 칼칼한 맛이 훌륭했다. 사실 가장 중요한 것은 간이었다. 적당히 짭조름하며 간간한 맛. 그 조합을 올해는 잘 맞춘 것 같았다.
이후로도 지금까지 열무김치는 떨어지지 않게 담그는 중이다. 동시에 가족들에게 맛있음을 강요하며 하루 세끼 밥상에 열무김치를 빼놓지 않는다. 열무비빔밥, 열무국수, 열무비빔국수 등. 열무로 할 수 있는 음식으로만 올여름을 보내는 중이다. 열무김치의 국물과 시판 냉면 육수를 적당히 섞으면 기가 막힌 열무국수 국물이 만들어진다. 잘 삶은 소면에 얼음 동동 띄운 국물을 부어 한 젓가락 들이키면 흐물거리던 몸이 단번에 회복되는 느낌이다.
열무국수를 먹다 생각난 것이 오이지였다. 열무와 오이지, 조합이 잘 어울릴 것 같은 느낌적인 느낌이 들었다. 작년 여름이 지나갈 때 아무 맛도 느끼지 못했던 기억이 잠깐 떠올랐지만, 올해는 다르겠지 싶었다. 작년에 남은 것을 먹어보려고 꺼내었을 때, 마침 어머님이 보낸 오이지가 도착했다. 많이 싸준다는 것을 말리고 말려서 조금만 담아왔다고 남편은 말했다.
작년의 오이지는 그대로 버려졌다. 올해 것과 비교하니 식감이나 맛이 확연히 달랐다. 올해의 오이지를 꺼내 쫑쫑 썰었다. 물에 10분 정도 담가 염분을 뺐다. 작년에는 베보자기에 넣어 손아귀의 힘으로 해결했었는데, 한계가 있었다. 양념이 오이지에 딱 붙어있어야 맛이 제대로인데 물기가 양념맛을 해쳤던 것 같다. 좀 더 맛있게 먹기 위해 문명의 힘을 이용하기로 했다. 손의 힘이 필요하기는 하지만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한 주방도구, 완벽하지는 않아도 꼬들한 식감을 살려줄 만은 했다.
역시 오이지는 여름의 맛이었다. 땀이 줄줄 흐를 정도의 무더위에 비로소 느껴지는 참맛. 여름이면 집집마다 굳이 오이지를 담그는 이유를 이제는 이해할 수 있을 것 같다. 아마도 내년이면 오이지를 직접 담글지도 모르고. 우리 집 여름 한정 반찬 오이지, 작년의 그 맛이 돌아온 듯한 느낌이었다. 다행스럽게 가족 모두 열무와 오이지로 대표되는 여름의 맛을 맹렬하게 즐기는 중이다.
엘리뇨보다 라니냐가 여름의 폭염과 겨울의 폭서를 동반한다고 전문가는 말했다. 여름이 시작되기 전부터 일기 예보 전문 방송에서는 올여름 라니냐로 인한 엄청난 무더위를 예고했다. 엘리뇨와 다르게 적도 근처의 해수면 온도가 낮아지는 것이 그 이유라나 뭐라나. 사실 이런 전문적인 내용보다는 미국의 어느 주는 50도가 넘는 더위로 사람들이 픽픽 쓰러졌고, 그리스는 아크로폴리스를 낮 시간엔 폐쇄했으며, 중국의 신장지역 지표면은 온도가 75도에 달한다는 보도가 훨씬 더 와닿았지만.
약간의 두려움이 있었지만 내게는 달리 대비할 방법이 없는, 의미 없는 걱정이었다. 그보다는 말복이 지나면 더위가 한풀 꺾인다는 조상들의 지혜와 시간의 셈법이 매년 여름 나기 방법이었다. 올해는 하나 더 추가해 본다. 견디고 버틴다고 하면 몸과 마음이 힘들 뿐인데, 오이지와 열무의 여름이라고 하면 왠지 군침을 삼키게 된다. 입맛이 떨어지는 계절에 군침이라니, 더위를 잊게 하는 특급 처방일 수도 있다.
나이 들어 알게 되는 것들이 있다. 아니다, 나이를 많이 먹었다는 것을 실감할 때가 있다. 열무의 맛이나 오이지의 맛도 그렇다. 푸성귀의 식감에서 폭포를 만난 시원함을 느끼는 것과 절여진 오이의 식감에서 얼음 조각을 깨부수는 상쾌함을 느끼는 것은 아마도 나이를 먹었기에 비로소 알 수 있는 것이 아닐까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