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피플코치 Dec 23. 2022

'대체불가한'이라는 착각에서 벗어나는 것


(오늘은 HR의 관점이 아닌 직장인의 커리어 개발에 관한 관점으로 쓴 내용입니다.)



"나 없으면 안 돌아가요"

"이 일은 나 밖에 못해요"

"나 없이 얼마나 잘 하나 보자"



본인의 일에 대한 자신감, 자부심, 자기관대화의 감정이 잘못 발전하여 자기 객관화가 흐려지게 되는 경우를 종종 봅니다.



Big Data 전문가 송길영 부사장과 같이 Mind Miner (데이터로 사람의 마음을 읽는 사람)과 같이 스스로 직업을 만들었다.라고 하는 수준의 압도적 존재감, 차별감을 가졌을 때 쓸 수 있는 정도만이 'irreplaceable'(대체불가한)이라고 생각합니다.



냉정히 우리 중 대부분은 수천수만 명의 유사한 일을 하는 분야의 One of them이고, 회사의 Founder 또는 Owner가 아닌 한 기업의 CEO나 지사장 자리에 있는 분들도 마찬가지입니다.



내 역할을 할 수 있는 사람 자체가 극히 소수인 포지션도 있겠지만 대부분의 월급을 받는 급여 소득자의 입장에선 누군가가 짜 놓은 체계 안에서 일하는 것이기 때문에 시작 자체가 대체가 가능한 많은 사람 중 1명이 될 수밖에 없습니다.



물론 내가 없음으로 인한 공백과 불편함, Loss는 발생할 수 있지만 그것과 '대체불가한'이라는 것과는 완전히 다른 의미입니다.

시간의 차이가 있지 결국엔 채워지고, 결국에 그 일을 나보다 더 잘할 사람은 나옵니다.




'대체가 어려운'을 목표로



압도적인 차별화를 가진 커리어를 갖기 위한 첫 시작은 나와 내가 하는 일은 언제든지 '대체될 수 있다'라는 것을 스스로 인정하는 겸손한 자세가 필요합니다.



대체 불가가 아닌 '대체가 어려운'이라는 영역으로의 생각의 전환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이 대체가 어려운 정도의 수준으로 가기 위해선 내가 있는 환경에서 아래와 같은 성질의 일을 찾고, 그것을 내가 하고 있는 것이 중요합니다.



1) 난이도 '상'의 일?

2) 해야 하는데 안 하고 있는 일?

3) 배움의 진입장벽이 높은 일?

4) 오랜 시간과 공을 들여야만 성과가 나는 일?

5) 마켓에서 소수의 경쟁자만 있는 일?



"당신 말고도 이 일을 할 수 있는 사람 많아"


라는 식으로 리더가 직원들을 바라봐서는 절대 안 되지만 그 대상이 될 수 있는 우리는 냉정히 나 자신을 객관적인 view로 바라볼 필요가 있습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조언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2가지의 준비

스타트업 대표분들이 생각했으면 하는것(4/4) 피플

                    

매거진의 이전글 의사결정력을 높이는 3가지 방법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