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유무하 Apr 20. 2024

철학에서 뇌과학.. 다시 문학으로

'잉글리시 페이션트'를 다시 집어들었다.

나도 남들처럼 '지적 호기심'이 넘쳐나던 시절이 있었다.

(물론 지금은 아니다. 지금은 알고 싶은 게 거의 없다.)


나의 호기심 대상은 '인간'이었다.

이해할 수 없는 인간의 행동과 심리가 몹시 궁금했다.


그래서 문학 작품만 읽던 내가 '철학'에 끌리기 시작했다.

'인간'에 대하여 가장 깊이 생각한 사람이 철학자들이라 판단했기 때문이다.


소크라테스부터 라캉이나 푸코까지 철학책을 사들이기 시작했다.

(사놓고 못 읽은 책이 더 많다.)


하지만 철학자 한 사람의 생각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너무 많은 시간과 에너지가 필요했다.

(가성비가 너무 떨어진다. 난 머리가 그닥 좋지 않다.)


그러다 '진화심리학'과 '뇌과학'이 눈에 띄었다.

두 학문은 철학에 비해 명료했다.


인간의 행동과 심리를 그럴듯하고,

난해하지 않게(철학에 비해서) 설명한다.


특히 '뇌과학'10년 전에 비해 비교할 수 없을 만큼 발전했다.

아직도 갈 길이 멀기는 하지만,

인간의 속성에 대하여 꽤 많은 것을 설명한다.

(새로운 뇌과학책 사느라 또 돈 좀 들었다.)




2018년 '골든 맨부커' 수상작을 발표했다.

지난 50년간 맨부커상(지금은 부커상)을 받은 작품 중 최고의 작품을 선정한 것이다.


수상작은 '잉글리시 페이션트 The English Patient'였다.

이 뉴스를 보자마자

바로 책을 주문하고(어떻게 사지 않을 수 있겠는가?) 읽기 시작했다.


하지만 마지막 장을 넘기지 못했다.

(정확한 이유는 기억나지 않지만, 아마 재미가 없었나 보다.)


얼마 전 넷플릭스에 '잉글리시 페이션트' 영화가 올라왔다.

영화를 보고 난 후 그 감동이 가시기 전, 난 다시 책을 꺼내 들었다.


역시 책은 '문학'이다. 

(나의 변덕이 또 언제 작동될지 두렵다.)


이전 11화 나의 첫 브런치북 제목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