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윤소희 Jan 27. 2023

유빙, 유빙, 유빙!!

'유빙'이란 말을 그렇게 자주 써?

티브이 뉴스에서 '얼마나 추웠으면 유빙이 둥둥, 북극해처럼 변한 서해'라는 타이틀의 뉴스를 내보내고 있었다. 수십 년 만의 초강력 한파를 강조하기 위해 극지방에서 볼 수 있는 유빙이 강과 바다를 뒤덮고 있다는 내용이었다. 강 위를 둥둥 떠다니는 작은 빙산 같은 유빙이 화면을 가득 덮었다. 


"유빙이란 말을 그렇게 자주 써?"

뉴스를 함께 보던 남편이 물었다. 

"아니, 나도 시에서만 본 것 같아."

알래스카나 아이슬란드에 사는 것도 아니니, 유빙이라는 단어를 쓸 일은 거의 없다. 극지방을 배경으로 하는 책을 읽거나 시 같은 문학 작품을 접할 때가 아니라면.

"짧은 뉴스에서 계속 유빙, 유빙, 하니 좀 거슬리네."

아닌 게 아니라 정말 그랬다. 마치 '유빙'이라는 단어를 학습하기 위해 일부러 반복해 수십 개의 문장을 만든 어학 비디오처럼, 귀에 남는 건 기사의 메시지가 아니라 '유빙'이라는 단어뿐이었다.

"'유빙'이라는 단어를 알게 되어 너무 기뻤나 봐."


농담으로 건넸지만, 그 말은 내게 단순한 농이 될 수 없었다. 좋은 글을 쓰기 위해서는 금을 캐듯 새로운 단어나 아름다운 어휘를 발굴해야 한다. 어쩌다 그런 단어를 만나면 신이 나서 이 문장, 저 문장에 넣어 본다. 새로 산 옷을 이것저것 다른 옷들에 대어 보며 코디하는 것처럼. 그런 과정에서 조화롭지 않은 문장을 만들기도 하고, 그 어휘를 남용하기도 한다. 과한 액세서리를 덜어낼 때 보다 세련된 코디를 완성할 수 있는 것처럼, 문장 역시 퇴고의 과정에서 '덜어내기'는 필수다. 지나치게 반복되는 표현은 비슷하지만 다른 느낌을 주는 표현으로 바꾸기도 한다. 지난한 과정을 무수히 되풀이해야 정제된 문장을 만들 수 있다.


메시지는 날아가고 유빙, 유빙, 유빙 밖에는 남지 않았지만, 그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 새로운 걸 발견한 뒤 하루종일 그걸 쥐고 신나게 노는 어린아이 같은 천진함이 느껴졌기 때문이다. 한 줄 시처럼 정밀하게 세공된 아름다운 문장을 만들고 싶다는 욕심 다른 편에는 세련되고 우아한 문장 따위 꺼져버려, 하는 마음도 존재한다. 거칠고 투박해도 좋으니 원석 자체가 아름다운 글을 쓰고 싶은 것이다. 돌을 볼 때마다 어떻게 깎을까, 만 고민하다 보면 원석 자체의 아름다움을 발견하기가 점점 더 어려워진다. 심지어 원석을 만나는 게 두렵다. 내가 천편일률 무개성하게 깎아버리게 될까 봐.


유빙, 유빙, 유빙, 하면 어때. 언제 또 유빙이라는 단어를 써 보겠어. 유빙은 물 위에 떠내려가는 얼음덩이기도 하지만, 유빙, 유빙, 하는 소리는 이제 막 시동을 걸고 어딘가 출발하려는 탈것의 엔진 소리 같기도 하다. 

유빙, 유빙, 유빙!!

자, 지루하고 고된 퇴고 따위 집어치우고 어린아이처럼 신나게 써보자.

유빙, 유빙, 유빙!

매거진의 이전글 마음만 적시려던 안일한 마음 때문에 마음은 젖지 못했던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