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kohmack Sep 29. 2021

혜안(慧眼)

September 28, 2021

머리카락이 어깨까지 오는 남자아이와 사람 많은 곳에 가는 것이 이렇게 흥미진진한 일인가 싶다.


지금까지 백이면 구십구, 우리 집 어린아이를 ‘남자아이’라고 표현한 사람을 본 적이 없고. 여기서 말하는 ‘사람’은 거의 어른이라고 볼 수 있다.


“저 여자아이도 그네 타고 싶나 봐. 비켜주자.”

“저 여자아이가 양보해 주네?”

“저 여자아이 자전거 빠르게 탄다.” 등등


보통 누군가가 “여자아이(Mädchen)”라는 단어를 사용할 때 아이와 나는 눈을 마주치며 찡긋 웃어본다. 아이가 웃길래, 그러길래 나는 아이도 그 상황을 재밌어하는 줄 알았다.


오늘도 어김없이 놀이터에서 여자아이라는 소리를 들었고. 밤이 되어 잠자리에 누웠는데 문득 아이에게 직접 물어봐야 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에단아, 사람들이 너를 여자아이라고 부르면 기분이 어때?

-안 예뻐. (보통 좋지 않다는 것을 이렇게 표현)

-아 진짜? 기분이 안 좋아? 엄마는 너가 웃길래 엄마처럼 재밌어하는 줄 알았어. 근데 왜 기분이 안 좋아?

-나는 Junge(남자아이) 니까.


그럼 사람들이 여자아이라고 말할 때 엄마가 어떻게 해줬으면 좋겠냐 물으니 우리 에단이는 남자아이라고 말해 주란다.


한국 여자아이와 놀이터에서 몇 번 만나 놀고 온 그날도, 나에게 분홍색 종이를 주며 “여자는 핑크”라고 말했더랬다.


-에단이 너도 여자는 핑크라고 생각해?

-아니, 00이가 그렇게 말했어.

-색깔에는 여자, 남자가 따로 없어. 누구든지 무슨 색이든 좋아할 수 있는 거야. 에단이 너도 핑크 좋아하잖아. -응! 엄마도 핑크 좋아하지?


이게 어디 남자, 여자 에만 해당되는 이야기일까.

나는 A 확실한데 자꾸 나에게 B라고 하니 기분이 별로일 수밖에. 혹여나 A 같이 보인다 할지라도 진짜 A가아닐 수도 있을 수밖에. A, B 정하지 말고 A B 모두 안아줄 C 발견할 수밖에.

이전 09화 우리는 언제부터 울음을 참아야 했을까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