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글모 May 17. 2024

해수욕장

8살 나의 일기

1997년 7월 29일 화요일

날씨: 무더움?(해가 웃고 있어서)

일어난 시각: 6시

잠자는 시각: 9시


해수욕장에서 튜브를 타고 놀았다.

아빠가 튜브를 밀어 주었다.

발이 바닷물에 닿아서 발이 시원했다.

바닷물이 빠져나간 후 갯벌에서 조개를 잡았다.

조개를 잡는것도 참 재미있었다.



어른이 된 나의 소회


기억력이 그리 안 좋은 건 아닌데도 어릴 적 추억같은 건 특별히 기억나는 게 많진 않은 편이다.

그럼에도 아빠와 해수욕을 했던 기억은 비교적 즐거운 추억으로 또렷이 기억된다.

평소엔 가장으로서의 무게를 견디느라 아빠의 미간은 늘 찌푸려져 있었고 

퇴근 후 집에 오신 아빠는 주로 소파에 앉아 뉴스를 보다 꾸벅꾸벅 졸았다.

그런 아빠가 '즐거워보인다'고 느껴서 나도 함께 행복했던 기억이 바로 이 해수욕장에서였다.

간만에 휴가를 내어 가족들과 해수욕장에서 맘껏 수영하고

딸의 튜브를 밀어주며 놀았던 것이 아빠도 참 자유롭고 재밌으셨을 거다.

직장을 다녀보고 사회인이 되어보니 집에선 무뚝뚝하시던 아빠가 왜 해수욕장에선 함박웃음을 지으셨는지

충분히 이해가 간다.


내 기억에 엄마는 저 그림과는 달리 늘 파라솔 아래 그늘에 앉아 계셨었다.

신나게 놀다 와서는 엄마도 같이 바다에 들어가자고, 왜 안 들어가냐고 여쭈면

엄마는 어지러워서 바다에 들어가기 싫다고 하셨다.

그땐 바다에 들어가는 게 왜 어지러운지 도통 이해가 안 됐었는데,

내가 그때의 엄마 나이가 되어보니 이제야 알겠다.

30대 중반의 반고리관은 어릴 때의 그것과는 달라도 한참 다르다는 것을...


어느새 시간이 흘러 나는 엄마의 나이가 되었고 엄마는 그 나이의 두 배 가량이 되었고

저번에 보니 아빠의 머리는 새하얘져서 호호 할아버지가 되신 거 같다.

그럼에도 내 머릿속에서 관념적인 엄마아빠의 모습은 

이날 해수욕장에서의 하늘색 원피스를 입은 엄마와 

아이처럼 신나게 웃으며 내 튜브를 밀어주던 까만머리의 아빠로 영원히 남아있을 것만 같다.



글모 선생님의 코멘트

가족들과 해수욕장에서 가서 튜브도 타고 조개도 잡았구나!

신나게 놀고 까맣게 타서 돌아오겠네?^^

이전 08화 산림 전시관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