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애이미 Sep 27. 2024

우리 자화상

2019년 봉준호 감독의 <기생충>은 세계적인 영화이다. 기택 가족은 반지하에 기거하며 상자 접기로 겨우 연명하는 도시 빈민층이다. 그 아들 기우를 비롯한 전 가족이 박 사장 집에 위장 취업을 하여 그들에게 접근하고 이들은 박 사장이 캠핑 간 사이에 파티를 열면서 사건이 급전개 된다.


 예전 가정부이던 문광의 등장과 지하에 은닉한 문광의 남편 근세와 직면하게 되자 갈등이 고조된다.  다가 박사장의 조기 귀가로 문광을 지하에 가두고 그 집을 나온 사이 그들의 본거지인 반지하는 물에 잠긴다.

  도시빈민의 삶을 잘 담고 있는 이 공간 설정은 사뭇 리얼해서  안타깝다.


 기택 가족이 수재민 대피소에 있을 때 박 사장 아들 생일 파티 계획에 따라 다시 그 집에 집결한다. 기정이 케이크를 옮길 때에  박 사장과 기택이 기정을 습격하여 박 사장 아들을 꼬마 영웅화하려는 계획이 의도였으나

갑자기  지하에 갇혔던 근세가 출현하여 기정을 칼로 찌르는 예상치 못한 일이 발생한다.

 이일로  파티장은 엉망이 되고 엎친 데 덮친 격으로 하층민의 냄새가 나는 근세를 역겨워하는 박 사장을 기택이 칼로 찌르게 된다.

  모두 혼비백산하여 잔치하던 장소는  곧 아수라장이 되고 기택은 종적을 감춘다.


 주인이 바뀐 박 사장 집을 염탐하던 기우는 전등의 모스부호를 보고 기택이  지하에 숨어 있음을 알고 자신이 부자가 된 미래의 어느 날을 꿈꾸며 아버지를 구출 계획을 세우는 편지를 쓰면서 영화는 막을 내린다.


 이 영화 감상을 신화의 희생제의적 관점에서 살펴보면 “축제분위기-대규모 죽음-정화와 축하-토지의 재생과 회춘”의 구조화되어서 인상적이었다.


  작품을 인상적 비평이 아닌 신화적 구조로 보니 상당히 어려운 작품이며 창의적인 것이란 생각이 들었다. 비정상적인 세계 질서가 희생 제의에 의해 정상화 되는 것을 내포하고 있어 더 놀라웠다.


  이 작품에서는 케이크가 제물로 상징되고  정도 제물로서 거품 목욕을 통해 카타르시스 되는 것과 기정이 변기 위에 올라가 흡연하는 장면은 담배연기는 신에게 배향하는 것으로 상징되며, 주 캐릭터가 이웃집 와이파이를 더듬는 행위를 신과의 소통 행위로 해석하는 것에는 원시 무속적인 느낌도 있었다.  


  영화 속 인물들의 퍼포먼스는 인생 자체가 퍼포먼스라는 것을 각성하게 한 것으로 도시 빈민의 가족이 현실 지옥을 탈피하려는 노력이 참담한 결말로 종식된 비극미를 지닌 문제작이다.


 현재 시대 지금 여기를 살고 있는 우리 이웃의 자화상이 아닐까 하는 성찰을 하게 하는 작품이다.



 


이전 22화 영화 아가씨를 다시 보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