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킷 16 댓글 공유 작가의 글을 SNS에 공유해보세요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분명 난데?" 아기 때 기억, 정말 사라진 걸까?

뇌 과학이 찾은 놀라운 단서

by 사람인척 Mar 21. 2025

"첫돌 사진 속 저 아기, 분명히 나인데… 왜 전혀 기억이 안 날까?"


누구나 한 번쯤 가져봤을 이 의문. 아장아장 걷던 순간, 울음을 터뜨리던 이유, 엄마 품에 안긴 따뜻한 감정까지—그 시절의 모든 기억은 정말 사라져버린 걸까요?


이 흔한 질문에 최근 뇌 과학계가 새로운 단서를 제시하며, 오랫동안 굳어졌던 통설에 균열을 냈습니다. 단순한 ‘기억 부재’가 아닌 ‘기억 접근 불가’라는 가능성. 우리가 아기 때의 일을 기억하지 못하는 이유, 그 핵심이 조금씩 밝혀지고 있습니다.

브런치 글 이미지 1

"기억이 없던 게 아니라, 꺼내지 못했던 것일 수도"

기존 뇌과학은 '해마(hippocampus)'가 충분히 발달되지 않았기 때문에 유아기의 기억은 저장 자체가 되지 않는다고 설명해왔습니다. 실제로 이 시기의 기억 부재 현상은 '유아기 기억상실(infantile amnesia)'로 알려져 있죠.


하지만 최근 예일대학교 연구팀은 이 가설에 도전장을 던졌습니다.

2025년 3월 20일, 메디컬 프레스(Medical Press)는 예일대 심리학자 닉 터크-브라운 교수 연구팀의 새로운 실험 결과를 보도했습니다.


생후 4개월~2세 사이의 영아 26명을 대상으로 한 이 실험에서, 연구진은 아기들이 새로운 이미지를 볼 때 뇌 속 해마의 활동을 fMRI로 관찰했습니다. 그 후 같은 이미지를 다시 보여주자, 해마가 더 활발하게 반응했던 아기일수록 해당 이미지를 오랫동안 응시하는 경향이 나타났습니다.


이것은 단순히 “보았던 걸 기억하고 있다”는 시각 반응 이상의 의미를 지닙니다. 아기 뇌는 특정 경험을 인코딩하고, 훗날 이를 재인식할 수 있을 만큼 기억을 저장하고 있다는 증거죠.

브런치 글 이미지 2

해마, 그리고 ‘기억의 성장 순서’

해마는 하나의 기능만 담당하는 기관이 아닙니다. 이번 연구는 해마의 역할을 더 세밀하게 나누어 해석합니다.


✔️앞쪽(전방): 반복적인 패턴을 인식하는 ‘통계적 학습’

✔️뒤쪽(후방): 개별 사건을 기억하는 ‘에피소드 기억’

전자는 아기들이 세상의 규칙을 빠르게 익히기 위해 생후 수개월부터 활성화되며, 후자는 생후 1년 이후부터 서서히 등장합니다.

즉, 기억이 없던 것이 아니라, 그 방식과 쓰임이 다르고 발달 속도가 달랐던 것입니다.


예를 들어, ‘젖병을 보면 곧 먹는 시간이구나’라는 감각은 일찍부터 가능하지만, ‘어제 밤에 젖병을 먹은 후 울다가 안긴 경험’ 같은 사건 중심의 기억은 나중에 생겨나는 셈입니다.

브런치 글 이미지 3

“기억은 사라진 게 아니라, 길을 잃었을 뿐”

그렇다면 왜 우리는 그 기억을 성인이 된 지금 떠올릴 수 없을까요?


터크-브라운 교수는 기억이 형성은 되었지만, 장기 저장소로 옮겨지지 않거나 회상 경로가 닫혀버렸을 가능성을 제기합니다.

현재 연구팀은 아기 시절에 촬영된 홈비디오를 유치원 시기의 아이들에게 보여주는 실험을 진행 중입니다. 일부 아이들은 영상 속 장면에 대해 놀라움, 친숙함 등 감정 반응을 보이며 기억의 ‘흔적’을 드러냈습니다.


기억은 어딘가에 존재할지도 모릅니다. 단지 우리가 꺼내는 법을 잃어버렸을 뿐이죠.

브런치 글 이미지 4

과학은 지금, 잃어버린 기억의 열쇠를 찾고 있다

이번 발견은 단순히 뇌 발달의 사실을 밝힌 것을 넘어서, '기억'이라는 인간 경험의 본질을 다시 묻는 질문입니다.


✔️우리가 기억하지 못한다고 해서, 그 기억이 없던 걸까?

✔️어떤 기억은 평생을 지배하는데, 어떤 기억은 왜 그렇게 쉽게 사라질까?

✔️그리고, 언젠가 아기 시절의 기억을 과학이 되살릴 수 있다면, 우리는 그것을 다시 마주할 준비가 되어 있을까?


과학은 오늘도 그 열쇠를 찾고 있습니다. 어쩌면 당신의 첫 기억은, 지금 이 순간에도 뇌 어딘가에서 조용히 잠들어 있는지도 모릅니다.


기억은 사라지지 않습니다. 다만, 당신이 다시 꺼내길 기다리고 있을 뿐입니다.




작가의 이전글 죽기 직전, 뇌는 무엇을 스쳐 지나가는가?…

브런치 로그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