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산들바람 Jan 15. 2024

김치국밥을 아시나요?

비주얼은 대략 이러하다.

국밥이야 워낙 친숙한 우리나라 음식이기도 하고 그 종류도 참 다양한데 전통적인 국밥의 형식은 그릇에 담긴 내용물에 따뜻한 국물을 여러 번 부어 데우는 토렴의 과정을 거쳐 국에 밥이 말아져 나오는 것이 정석이다.

그러나 6.25 전쟁 당시 대구 지역의 피난민들이 국에 밥을 함께 말아먹는 것은 상스러운 행위라 해서 양반과 상놈을 구분하는 밥 따로, 국 따로의 '따로국밥'의 형태가 생겨났다고 한다.

그런 의미에서 보자면 김치국밥은 김칫국에 밥을 단순히 말아낸다기보다는 김치와 쌀을 함께 넣어 푹 끓여내는 형식으로 정확하게는 '김치죽'에 가까우나 어릴 때부터 이 음식을 김치국밥이라 부르던 소릴 듣고 자라왔다.

경상도가 고향인 나로서는 친정 엄마를 통해서도 자주 접하던 음식이다.

상황에 따라 콩나물이나 굴 등을 넣기도 하지만 나는 그냥 깔끔한 게 좋아서 특히 겨울이 무르익은 날이면 잘 익은 김장김치만 넣고 끓여 먹곤 한다.


김치국밥의 유래를 찾아보자니 이것은 식량이 부족했던 시절, 추운 겨울을 날 수 있게 한 구황음식으로 멸치와 다시마를 우려낸 국물에 콩나물, 김치, 고구마를 넣어 끓였다고 하며 주로 경상도 내륙에서 먹을 것이 없던 시절, 이것저것 넣어 양을 불려 먹는데서 유래된 것인데 이것의 명칭은 지역에 따라 김치밥국, 갱생이, 밥국, 국시기, 갱국, 갱죽, 갱시기 등으로도 불렸다고 한다.

특히 단어만으로는 무슨 뜻인지 추정하기 어려운 '갱시기'에 대한 어원을 찾아보니 '갱'은 국을 의미하고 '시기'는 한자로 밥식(食) 자를 '시기'로 발음한 것으로 국에 밥을 함께 넣어 끓인 국밥의 김천식 표기일 것이라 추정하고 있다.

또한 칠곡 지역에서는 갱죽이라 부르기도 하며 충북에서는 갱싱이죽, 경북에서는 콩나물갱죽, 제주도에서 갱이죽이라는 이칭으로 불려지기도 하는데, 이는 경상도 지역의 향토 음식으로 알려져 있으나 그 옛날엔 배고픈 것은 어느 곳이나 매 한 가지이고, 그것을 극복해 내는 인간의 방법도 거기서 거기이니 충청도, 제주도까지 이러한 음식의 형태가 비슷하게나마 존재했던 것 같다.  


김치국밥은 주린 배를 불리는데 목적이 있던 음식인지라 꼭 밥이 아니더라도 소면, 수제비, 떡국떡, 만두, 칼국수, 콩나물, 무 등을 마구잡이로 넣어 끓인 탓에 음식의 태가 영 나지 않아 타 지역 사람들은 꿀꿀이죽, 개밥이라 비하하며 거부감을 드러내곤 하는데 내가 보기에도 그리 식욕을 자극할 만한 음식의 형태는 아닌 것으로 보인다.

아쉽게도 우리 아이들 또한 별로 입맛에 맞지 않은지 나만 추억을 생각하며 열심히 먹는 음식인데 가끔 남편도 개운하고 시원한 맛에 함께 즐기기도 한다.


요즘은 식량이 없어서가 아니라 추억과 관습에 의해 별미로 먹는 음식인 데다 김치가 메인 재료이기 때문에 김치의 맛에 따라 김치 국밥의 성패가 좌우된다고 볼 수 있다.

김치찌개도 그렇고, 김치찜도 그렇듯 익지 않은 것보다 신김치를 넣고 끓이는 것이 감칠맛을 더 한다.

춥고 굶주린 겨울을 나고자 하는 까닭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왠지 이 음식은 여름보다는 겨울에 먹어야 제 맛을 느낄 수 있는데 특히 얼마 전처럼 눈이 펑펑 쏟아지는 날, 창밖을 내다보며 먹는 이것은 어느 일류요리 부럽잖은 것이다.

김이 펄펄 나는 이것을 후후 불어 한그릇 먹고 나면 어느새 땀이 송골송골 맺히며 열이 펄펄 나던 감기몸살도 뚝 떨어질 것 같고, 꽉 막힌 코감기도 뻥 뚫릴 것만 같고, 느끼한 음식에 속이 니글니글 할 때도 개운함을 느끼게 하는 건강 보조제 역할을 톡톡히 할 만한 것이다.

적어도 나에게는 말이다.  


그저 음식을 먹는 것이 아닌 지난날의 회상을 먹으며 정감을 맡고 싶은 탓에 나는 이것을 종종 찾는 것이 아닐까?

오늘의 메뉴가 걱정이신 분들이라면 오늘은 자신의 추억의 음식을 식탁 위에 올려보는 것도 좋을 듯하다.


별 볼 것 없는 음식을 통해서도 위로를 받고, 작은 행복을 느끼며 엷은 미소를 띨 수 있는 그런 소박한 한날 한날이 참 감사할 따름이다.


나이를 먹어가며 철이 들어간다는 것 아닐까?


* 김치국밥 레시피

1. 멸치나 디포리 등의 재료로 육수의 원천을 삼는다.

2. 펄펄 우러난 육수에 송송 썰던, 듬성듬성 썰던, 쫑쫑 썰던 그냥 막 취항대로 김치를 썰어 넣고, 쌀은 일찍부터, 밥은 좀 늦게 넣어 함께 끓인다.

3. 김치와 밥이 뭉근하게 끓어오르면 취향에 따라 갖은 재료를 넣어도 되나 본인은 그냥 심플함을 즐긴다. 대표적으로는 콩나물을 가장 많이 넣어 끓이는 듯하다.

4. 모자란 간은 국간장 또는 액젓, 소금을 넣는데 나는 액젓이나 참치액으로 간을 한다.

김치에 마늘이 기본적으로 들어 있으나 마늘을 좋아하는 나로서는 김치 속의 발효된 마늘과는 별도로 간 마늘을 넣어 감칠맛을 확 살린다.

5. 국물이 꽤 있는 게 좋으면 그때쯤 불을 끄고, 좀 뻑뻑한 게 좋으면 더 졸여 끓이면 된다.

6. 사실 그냥 원하는 재료를 다 때려 넣고 푹 끓여 먹으면 된다는 얘기를 괜히 주절주절 떠들어본 것이다. ^^



이전 06화 성구 오빠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