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을 쓰는 건 그 자체로 정말 근사한 일입니다
작가가 되겠다는 목표 같은 건 없었다. 그냥 끄적이는 게 좋았다. 쓸 게 있으면 그걸 쓰고, 쓸 게 없으면 책에서 찾은 인상 깊은 구절을 옮겨 적었다. 그렇게 자주 쓰다 보니 어느 순간 나는 시를 쓰고 있었다. 시는 형편없었지만, 시를 쓰는 나는 근사했다. -김연수 <시절일기>
유명한 작가들을 보면 처음부터 유명한 작가가 되겠다고 마음먹고 시작한 사람들이 많지 않음을 보게 됩니다. 그저 읽고 쓰는 거 외에 딱히 할 게 없었고, 그렇게 쓰다 보니 쓰는 게 좋아졌다고 말하곤 합니다. 김연수 작가도 시절일기에서 비슷한 말을 합니다. 그냥 끄적이는 게 좋았다고.
그렇게 자주 쓰다 보니 시를 쓰고 있었고, 그 시는 형편없었지만, 시를 쓰고 있는 자신은 근사했다고 말합니다.
글을 쓰는 건 정말 근사한 일입니다. 저도 가끔 시를 씁니다. 누군가에게 보여주기에는 형편없는 글일지 모르겠지만, 나 자신에게만큼은 참 근사한 글입니다. 적어도 지금 이 순간의 감정을 고스란히 담아내는 데 성공했으니까요.
요즘은 매일 이렇게 책을 읽고 글을 한편씩 씁니다. 참 신기한 건 쓰는 순간순간에는 그저 그 시간에만 몰입했을 뿐인데, 가끔 참 내가 읽어도 괜찮은 글을 쓰고 있는 저를 봅니다. 만약 누군가에게 잘 보이기 위한 글을 썼다면 며칠도 지속하기 어려웠을 것 같습니다. 글쓰기에 할애할 수 있는 시간이 제한적이라 꼼꼼히 제 글을 다시 피드백하기 어렵기 때문에 오타도 많고, 문맥에 맞지 않는 문장도 있고, 엉뚱한 제 생각이 갑자기 툭 튀어나와 들어간 경우도 허다하거든요. 하지만 지금 쓰는 건 매일매일의 성장의 기록이라고 생각하고 글을 씁니다. 나이가 들어 어릴 때 사진을 봐도 기분이 좋을 수 있는 건 "그때만 할 수 있는 무언가"가 있기 때문일 겁니다. 아이들을 보면 말을 잘하지도 못하고, 잘 걷지도 못하지만, 너무 귀엽잖아요. 가끔은 제 글을 그런 마음으로 지켜봅니다. ㅎㅎ
다만 여전히 어린아이와 같은 상태로 머물러 있다면, 이전에 모습이 전혀 재미있지 않을 겁니다. 그래서 성장의 기록입니다. 무럭무럭 성장하면 나중에 지금 글이 풋풋해 보일 날이 있을 테니까요..ㅎㅎ
글쓰기는 그 자체로 이미 근사한 일이지만, 또 하나의 특별한 기능이 있습니다. 바로 글쓰기를 통해 나 자신을 위로하고 치유해 줄 수 있다는 것입니다. 매일 짧은 글이라도 한번 솔직하게 써보세요. 그 짧은 글 속에서 나를 만날 수 있습니다. 힘들었던 나, 방황하던 나, 지쳐있는 나를 만납니다. 그런 나를 만나면 우리는 스스로를 위로해 줄 수 있습니다. 괜찮다고, 잘하고 있다고, 다시 해보자고. 마음으로 토닥토닥 등을 쓸어주기도 하고, 아이 같은 나를 번쩍 안아서 목마를 태워줄 수도 있습니다. 아무리 나이가 들고 성숙해 가더라도 내 내면에는 늘 어린 내가 살고 있고, 쉽게 상처받고, 쉽게 방황하는 내가 있기 때문입니다.
또 기분 째지는 나, 신나 버린 나, 설레는 나, 착해빠진 나, 성장에 목마른 나, 자유롭고 싶은 나를 만납니다. 글을 쓰지 않았다면 아마 만나지 못했을 나입니다. 만남은 다 저마다의 의미가 있지만, 나 자신과의 만남만큼 특별하고 의미 있는 경험은 없습니다. 독서와 글쓰기가 주는 행복은 그 경험을 더 많이 만들어주기 때문이기도 하고요.
하지만 처음에는 몇 줄 솔직하게 쓰는 것조차 힘듭니다. 누구나 겪는 일입니다. 어떤 위대한 작가라도 처음엔 몇 줄도 쓰기 힘들었던 시절이 있었을 테니까요. 쓰면서 극복하면 될 일입니다. 글쓰기가 힘든 이유는 내 안에서 알 수 없는 시선들이 나를 옭아매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저는 여전히 그런 시선을 느끼곤 하는데, 조금만 깊이 생각해 보면 다 나 스스로 만들어낸 허상일 뿐임을 느낍니다. 사실 진짜 문제는 누군가가 내 글을 읽고 나를 비판하거나 나의 못난 모습이 드러나는 게 아니라, 정작 아무도 안 읽어준다는 게 문제거든요..ㅎㅎㅎ 내 글이 어느 정도 성장해서 누군가에게 영향력을 줄 수 있을 만큼 커지기 전에는 사람들은 정말 놀랍도록 무관심합니다. 그러니 다 불필요한 걱정인 거죠.
저희 아들은 유독 크면서 성장통을 많이 호소했습니다. "아빠 발목이 아파, 아빠 무릎이 아파" 이런 식인데요. 첨엔 뭔가 대단한 일인가 싶어서 병원도 가고 검사도 받아보고 했는데, 결론은 성장통이었습니다.
내면의 성장도 비슷하다고 생각합니다. 돌아보면 뭐 대단한 성장을 하는 것 같지 않은데도 그 당시의 저는 아프고, 부끄럽고, 힘들고 그랬습니다. 성장통이지요. 이제는 조금 알게 되었습니다. 아픈 만큼 성장한다는 게 무슨 말인지, 건강한 고통은 어떻게 우리의 친구가 되는지 말이죠.
혹시 아직 글을 쓰면서 자신을 만나보지 못했다면, 당장 몇 줄이라도 한번 적어보세요.
글을 쓰다가 괴롭고, 불편하고, 힘든 자신을 만나면, 꼭 끌어안고 위로해 주세요.
글을 쓰다가 신나고, 즐겁고, 기분 좋은 자신을 만나면 같이 덩실덩실 기쁨의 춤을 춰보세요.
나를 평생 가장 아끼고, 보살펴야 하는 건 다른 누구도 아닌 나 자신이라는 사실을 잊으면 안 됩니다. 그러니 가급적 빨리 더 친해져서, 어떻게 내가 더 좋은 삶을 살 수 있게 할 것인지 같이 고민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