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아이원 Aug 30. 2021

너와 나의 마늘빵

'원래'란 무엇일까

집에서 만든 마늘빵

미국인 학생 부부의 집에 식사 초대를 받아 그들의 집으로 가는 길이었다.

선물로 뭐가 좋을까 고민하다가 디저트로 먹을 수 있는 빵을 사기로 정했다. 근처 유명한 빵집에 가서 신중히 고르고 있는데 한 코너를 차지하고 있는 마늘빵이 눈에 들어왔다. 그 집에서는 그게 시그니처라고 했다.


생각해보니 몇 년 전, 그곳에서 마늘빵과 샌드위치 등 유명한 메뉴를 사서 먹어본 적이 있었다. 원래 마늘을 별로 좋아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그 집의 마늘빵은 맛있게 먹었던 기억이 있다. 그래서 그 빵을 집어 드려는 순간, 또 다른 기억이 번뜩 떠올랐다.



그 미국인 학생 부부와 나는 유독 친해서 같이 식사를 하거나 술을 마시러 간 적이 많았는데 그때 이런 대화를 나눈 적이 있었다.


"한국 음식은 너무 달아요. 마늘빵까지 달아서 진짜 깜짝 놀랐어요."

"마늘빵은 원래 달잖아요."

"아니죠, 원래 달면 안 되는 거죠."

"아, 진짜요? 마늘빵이라는 게 '원래'어떤 건지 모르겠지만 내가 먹어본 건 대체로 단데 미국은 안 그런가 봐요."


이런 대화를 나누고 생각을 해보니, 아주 어릴 때 먹어 본 마늘빵은 단 맛이 거의 없었던 것 같다. 그래서 내가 좋아하지 않았고 달달한 마늘빵만을 찾아 먹었던 것 같다. 그 말은 그저 내가 달달한 마늘빵만 먹고 다니고 찾아다녔던 것이지 모든 마늘빵이 단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그날 이후, '원래'라는 말을 쓰기가 조심스러워졌다. 오로지 나의 경험과 내가 알고 있는 것을 기준으로 '원래'를 붙여 말하는 경우가 많았던 것 같다. 


우리 집은 김장할 때 항상 굴이나 갈치를 넣었기에 '원래' 모든 김치엔 굴 또는 갈치가 들어가는 줄 알았고 콩국수엔 소금을 넣어 '원래' 짜게 먹는 건 줄 알았다.


음식으로만 표현했지만 다른 분야에서도 '원래'라는 말을 써가며 나만의 기준으로 정의를 내리는 경우도 많았을 것이다. 어릴 땐 더욱 심했으리라.


대학 진학으로 서울에 올라오면서 정말 다양한 사람들을 많이 만나고 여러 환경을 접할 수 있었다. 그러면서 내가 우물 안 개구리였다는 것을, 내가 아는 '원래'의 세상이 전부가 아니라는 것을 깨달았다. 나아가 한국어 과외를 시작해 세계 각국의 학생들을 만나면서 그 깨달음은 점점 커져갔다.


그래서 지금은 누군가와 대화를 할 때,  내 기준과 다르다고 해서 그 사람의 말을 바로 부정하거나 판단하지 않으려 노력한다. 되도록이면 '아, 진짜? 나는 이렇게 생각했는데 너는 그렇게 생각하는구나'라고 객관적으로 이야기한 후 그 친구의 말을 다시 생각해보려 한다. 


물론 쉬운 일은 아니다. 바로 반박하고 싶고 아니라고 이야기하고 싶을 때가 한두 번이 아니며 실제로 그렇게 하는 경우도 꽤 많다. 하지만 내가 생각하는 것이 절대적 기준이 되어서는 안 된다는 점, 사람들마다 기준이 다르다는 점, 그렇기에 여러 만남과 대화를 통해 의견을 나눠봐야 한다는 점을 잊지 않으려 한다. 그래야 함께 어우러져 살 수 있으니까, 서로의 기준을 조율해볼 수 있으니까 말이다.



그래서 디저트로 뭘 사갔냐고?

마늘빵을 놓고 옆에 있는 또 다른 시그니처 빵을 샀다.

시나몬과 달콤한 시럽으로 덮인 빵.


미국 사람들은 '원래' 시나몬을 좋아하니까.

그렇다. 난 아직도 멀었다. 




이전 07화 우산이 있어도 쓰고 싶지 않은 날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