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기간 대비 변화 확인하기
그래서 얼마나 나아졌는데?
회사에서 보고서를 쓸 때 빠질 수 없는 핵심 데이터가 있다. YoY(Year-over-Year)와 MoM(Month-over-Month)다. 지난달과 비교해 매출이 얼마나 늘었는지 알고 싶을 때, 작년에 비해 우리 회사가 얼마나 성장했는지 궁금할 때 사용하는 지표다.
성과를 관리하는 직장인에게 뗄레야 뗄 수 없는 숫자가 되기도 한다. 작년 우리 팀의 성과를 뛰어넘는 것, 그 자체가 올해의 KPI가 될 수 있으니까. 우리를 웃고 울게 만드는 지표. YoY와 MoM을 뽀개보도록 하자.
먼저 YoY를 알아보자. Year-over-Year의 약자로, 전년 동기(같은 기간) 대비 변화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2025년 1월과 2024년의 1월을 비교할 수 있다. 같은 시점을 기준으로 작년과 올해를 비교헤서 %로 나타내는 거다.
YoY는 매출, 고객수, 시장점유율 등등 장기적인 관점에서 성장을 평가하거나 비교할 때 유용하다. 연도 간 비교가 필요할 경우에는 아래 표를 기억해보자.
특히 계절이나 시즌에 영향을 받는 비즈니스의 경우, YoY를 확인하는 게 도움이 될 수 있다. 날씨나 명절 같은 외부 요인은 잘 변하지 않기 때문에, 비슷한 조건일 때 작년과 올해의 수치를 비교할 때 유용하다. 예를 들어 우리 회사의 경우 선글라스의 판매량이 급증하는 5~8월이 성수기인데, 이 때 YoY를 보면 (놀라울만큼) 매해 비슷비슷한 패턴으로 증감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그렇다면 MoM는 무엇일까? 그렇다. 지난달 대비 이번 달의 변화를 의미한다. Month-over-Month의 약자로, 한 달 단위로 변화율을 비교할 때 유용하게 쓰인다.
MoM의 변화율을 살필 때는 주로 이럴 때다. 이번달에 새롭게 브랜딩 캠페인이나 마케팅 프로모션을 진행했을 경우. 광고 집행 이전과 비교해서 매출 증가 여부를 파악하거나, 지난달 대비 신규 고객 증가 여부를 확인할 때 유용하다. 즉, 단기적인 변화를 확인할 때는 MoM를 본다.
YoY와 MoM은 음수(-), 즉 마이너스로 나타날 수도 있다. 이런 경우 값이 하락한 것을 의미하는데, 원인을 파악하고 분석하는 중요한 지표로 활용할 수 있다.
개념을 잘 이해했다면 이제 연습문제를 풀어보자.
Q. 작년 매출 8천만 원에서 올해 매출이 1억 원으로 증가했다면, YoY 변화율은?
1억 - 8천 / 8천 * 100
2천 / 8천 * 100
=25%
즉, YoY 변화율은 25% 증가다.
Q. 지난달 매출이 7천만 원, 이번 달 매출이 6천만 원이라면 MoM 변화율은?
6천만 - 7천만 / 7천만 * 100
-1천만 / 7천만 * 100
-= 14.29%
즉, MoM 변화율은 14.29% 감소다.
Q. 작년 같은 달 매출이 1억 5천만 원, 올해 같은 달 매출이 1억 8천만 원이라면 YoY 변화율은?
1억 8천 - 1억 5천 / 1억 5천 * 100
3천/1억5천 * 100
= 20%
즉, YoY 변화율은 20% 증가다.
조금 더 빠르게 계산을 하는 꿀팁이라면, 소수점을 간단하게 처리하는 방법이 있다. 숫자가 너무 크다면, 백만 단위로 축소해서 계산한 다음에 결과를 다시 백분율로 변환하면 쉽다.
비즈니스 상황은 시시각각 변화하고 내/외부 요인이 총체적으로 작용하는 결과다. 단순히 숫자만 놓고 성장을 비교하기 보다는, '어떤 요인'이 숫자를 바꾸게 만들었는지를 확인하는 참고 지표 정도로 MoM, YoY와 같은 수단을 활용하면 좋다. 떨어졌으면 왜 떨어졌는지, 늘었으면 왜 늘어났는지를 알아야 전략적으로 다음 판단을 내릴 수 있으니까!
다음 시간에는 금융 사례를 통해서 더 많은 사례들을 공부해보도록 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