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산업'이 변해야 생존할 수 있다
기후변화의 주범을 꼽으라면 대부분 온실가스를 선택한다. 여러 온실가스 중에서도 이산화탄소가 지구온난화, 즉 기후변화에 가장 큰 영향을 주고 있다고 평가하고 있다.
그렇다면 인류의 어떤 행위에서 이산화탄소가 가장 많이 발생할까?
IPCC 5차 보고서에 다르면 1970년부터 2010년 사이 인류가 인위적으로 늘린 이산화탄소 중 78%가 화석연료 연소와 산업 공정에서 나왔다.
이 같은 비율은 2000년에서 2010년 기간에도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특히 화석연료가 연소되면서 발생한 이산화탄소는 2010년에서 2011년 사이에 약 3% 증가하고, 2011년에서 2012년 사이에 약 1~2% 늘었다.
이산화탄소를 포함한 온실가스로 범위를 넓혀도 양상은 비슷하다.
2000년부터 2010년 사이 인위적으로 배출된 온실가스 증가분 중 에너지 분야 즉 화석연료 연소로 발생한 온실가스 비중이 47%, 거의 절반에 해당한다.
산업 과정에서 나온 온실가스는 전체 증가분의 30%를 차지하고, 교통 부문은 11%를 차지하고 있다.
지역을 전 세계에서 우리나라로 한정하면 어떤 결과가 나올까?
지난해(2019년)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가 확정해 발표한 2017년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을 보면 7억 914억 톤이었다. 이는 2016년 6억 9,257만 톤보다 1700만 톤(2.4%) 증가한 수치다.
이 중 에너지 분야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6억 1,580만 톤으로 전체의 86.7%를 차지했다.
조금 더 세부적으로 살퍄보면 화석연료 연소로 에너지를 만드는 산업인 에너지 산업 비중은 44.0%, 제조업 등 산업 활동과 연관된 온실가스 배출 비중은 30.3%, 자동차 등 수송 분야 비중은 16%였다.
온실가스 배출 비중을 본다면 답은 명확하다. 가장 많이 배출되는 분야부터 온실가스 배출을 줄여야 한다.
바꿔 말하면 '에너지와 산업' 분야의 획기적인 변화 없이는 기후변화를 막을 수 없다는 것은 너무나도 명확하다.
탄소배출중립은 지구온난화를 유발하는 온실가스 배출을 신재생에너지 전환 등의 다른 방식으로 흡수해 실질적인 배출 총량을 '0'(제로)로 만든다는 개념이다.
우선 가장 활발히 참여하는 지역은 유럽이다.
유럽연합(EU)은 2019년 12월 '저탄소’를 넘어 '탄소중립'을 위한 중장기 전략으로 '그린딜’(Green Deal)'을 채택했다.
2050년까지 유럽을 탄소중립 지역으로 만든다는 게 핵심으로 10년 후인 2030년까지 역내 온실가스 배출량을 1990년 대비 55%까지 감축한다는 단기 목표를 세웠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앞으로 10년간 최대 1조 유로, 우리 돈으로 1405조 원가량을 투자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유럽에서도 기후변화에 가장 기민하게 대응하고 있는 국가인 독일의 경우 2038년까지는 화력발전소도 완전히 폐쇄하는 목표를 세웠다.
덴마크는 2050년 탄소중립이 아닌 에너지 분야 탈탄소를 위해 에너지 분야 화석연료 '0'를 만들겠다고 밝혔고, 영국은 2050년 탄소중립 목표를 법으로 만들기도 했다.
온실가스 배출이 적지 않은 우리나라는 기후변화 방지를 위해 어떤 준비를 하고 있을까?
우리나라도 2020년 7월 발표한 한국판 뉴딜 중 그린 뉴딜 정책을 통해 2050년 탄소배출중립을 달성하겠다고 밝혔다.
단기적으로는 2019년 말에 발표한 '제2차 기후변화 대응 기본계획'을 통해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5억 3,600만 톤으로 줄이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5억 3600만 톤의 온실가스 배출은 2017년 배출량의 25%가량을 줄인 양이다.
기후변화를 막기 위해 많은 나라들이 협력을 약속한 파리협정에 따르면 지구 평균온도 상승을 산업화 이전 대비 2℃ 이하로 제한하는 범지구적 목표 달성을 위해 모든 당사국에게 2020년까지 '2050 장기 저탄소 발전전략' 수립을 요청했다.
지금까지 이 요청에 답을 한 나라는 2019년 6월 기준 일본, 독일, 프랑스, 미국, 캐나다, 멕시코, 영국 등 12개국에 불과하다.
우리나라 역시 2030년까지 목표만 있을 뿐 2050년까지의 장기 계획은 아직 만들어지지 않았는데, 현재 논의되고 있는 사안은 2017년 기준 온실가스 배출량을 2050년까지 최대 75%(제1안)에서 최저 40%(제5안)까지 감축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다.
정부는 이 가운데 하나를 선택해 파리협약이 정한 기한인 2020년 말 제출할 예정이다.
정부가 지난 7월 발표한 '한국 기후변화 평가보고서 2020'의 분석 결과인데. 우리의 미래는 어떻게 예측되고 있을까?
온실가스 감축 노력 정도에 따라 다르겠지만 온실가스 저감 정책이 상당히 실현된다고 가정할 경우 21세기 말(2071∼2100) 우리나라 평균 기온은 지금보다 2.9℃ 높아진다.
만약 온실가스 저감 노력 없이 지금 추세가 이어진다면 우니라나의 평균 기온은 4.7℃ 상승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해당 보고서에서는 이 같은 기온 상승으로 인해 우리나라의 생태계와 종, 재배작물 등이 변화고 질병 발생이 증가하는 등 사회 전 부문에 큰 영향이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지금 추세대로 온실가스가 배출되다고 가정할 경우, 소나무 숲은 21세기 말(2080년) 현재보다 15% 줄고, 벼 생산은 25% 이상 감소한다. 사과는 자랄 수 없게 되고 감귤은 강원도 지역까지 재배가 가능해진다.
연간 10일 정도였던 폭염일수는 21세기 후반에는 3.5배인 35.5일로 증가하며, 온도 상승에 따라 동물 매개 감염병, 수인성 및 식품 매개 감염병도 증가할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그렇다면 파리협약에서 말하는 상승폭 2℃ 제한을 위해선 우리나라는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
한국 기후변화 보고서 2020에서는 현재 우리가 세운 여러 기후변화 대책을 상당한 수준, 즉 대부분 실행하고 성과를 거둬야만 한다고 분석하고 있다. 1.5℃ 이내로 상승폭을 제한하기 위해선 지금의 기후변화 대책보다 더 강도 높은 대책을 준비하고 당장 시행해야만 한다.
여러 연구 결과들은 종합해보면 1.5℃는 2℃보다 전체적인 위험도가 대략 20% 줄어든다. 20%의 위험도 감소는 앞으로 30년 후 어떤 효과를 가져올지 예상할 수 없지만 최소한 우리가 좀 더 안전하게 생존할 수 있는 확률이 20%는 올라가지 않을까?
1.5℃를 위한 과감한 결정과 당장 실행할 수 있는 결단이 필요한 시점이다.